카테고리 없음

고양이 대동맥협착증(Aortic Stenosis)

아랑드롱드롱 2024. 12. 20. 06:48
728x90

고양이 대동맥협착증(Aortic Stenosis)

고양이에서 대동맥협착증(Aortic Stenosis, AS)은 드문 심혈관계 질환으로, 대동맥을 통해 좌심실에서 혈액을 배출하는 데 장애가 생기는 상태입니다. 이 질환은 일반적으로 선천성 기형과 연관되며, 고양이에서 발생하는 다른 심장질환(예: 비대성 심근병증)과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정의

  • 대동맥협착증은 대동맥 유출로(Aortic outflow tract)가 좁아지는 질환으로, 혈액이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정상적으로 흐르지 못하게 합니다.
  • 고양이에서 대동맥협착증은 주로 대동맥판막 하부(Subvalvular Aortic Stenosis, SAS)에서 발생하며, 좌심실의 압력 부하를 증가시켜 심혈관계 합병증을 초래합니다.

2. 병리생리학

  1. 좌심실의 과부하:
    • 협착으로 인해 좌심실은 대동맥으로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 더 높은 압력을 생성해야 하며, 이는 좌심실 비대(Hypertrophy)를 유발합니다.
  2. 혈역학적 영향:
    • 대동맥의 협착 부위에서 혈류의 난류(Turbulence)가 발생하여 심잡음을 유발합니다.
  3. 관상동맥 혈류 감소:
    • 협착과 좌심실 비대는 관상동맥으로의 혈류를 방해하여 허혈성 손상(Ischemia)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심부전 및 부정맥 위험:
    • 장기적인 압력 부하로 인해 좌심실 기능이 저하되고, 심실성 부정맥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3. 원인

3.1 선천적 원인

  • 고양이에서 대동맥협착증은 드물지만, 일부 선천성 심장질환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 대동맥판막 또는 대동맥 유출로의 기형이 주요 원인입니다.

3.2 유전적 요인

  • 특정 품종에서 유전적 소인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고양이의 경우 강아지보다 유전적 연관성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4. 호발 품종 및 연령

  • 모든 품종에서 발생 가능하지만 드물게 보고됩니다.
  • 선천성 질환이므로 어린 고양이에서 더 흔히 진단됩니다.

5. 증상

대동맥협착증의 증상은 협착의 심각도에 따라 다릅니다.

5.1 경증

  • 무증상일 수 있으며, 정기 건강검진 중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심잡음이 주요 발견 소견.

5.2 중등도에서 중증

  • 운동 불내성(쉽게 피로함).
  • 기절(Syncope), 특히 활동 중.
  • 호흡 곤란(Dyspnea).
  • 간헐적인 기침 또는 구토.
  • 심부전 증상:
    • 복수(Ascites), 말초 부종.
  • 심한 경우 돌연사 가능.

6. 진단

6.1 신체검사

  • 심잡음:
    • 흉골 좌측 기저부에서 청진되는 수축기 심잡음.
    • 심잡음 강도가 협착의 중증도를 반영할 수 있음.

6.2 심초음파 검사(Echocardiography)

  • 협착 부위 확인:
    • 대동맥 유출로에서 섬유성 조직의 협착이 관찰됨.
  • 도플러 초음파:
    • 협착 부위의 혈류 속도 측정.
    • 압력구배(Pressure gradient) 계산을 통해 협착 정도 평가:
      • 경증: <25 mmHg
      • 중등도: 25~80 mmHg
      • 중증: >80 mmHg.

6.3 흉부 방사선 촬영(X-ray)

  • 좌심실 비대 및 대동맥 확장이 관찰될 수 있음.
  • 폐울혈이나 폐부종이 심부전의 증거로 나타날 수 있음.

6.4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 좌심실 비대(Hypertrophy) 징후.
  • 심실성 부정맥 또는 전도 장애.

6.5 심장 도관술(Cardiac catheterization)

  • 좌심실과 대동맥 간의 압력차를 직접 측정하여 협착 정도를 확인.
  • 침습적 검사이므로 고위험 환자에서는 제한적으로 시행.

7. 치료

7.1 약물 치료

  • 베타차단제(Beta-blockers):
    • 좌심실 부하를 줄이고 심박수를 조절하며, 심근 허혈 및 부정맥 위험 감소.
    • 예: 아테놀롤(Atenolol).
  • 항부정맥제(Antiarrhythmics):
    • 심실성 부정맥 조절.
  • 심부전 치료:
    • 필요 시 ACE 억제제 및 이뇨제를 사용.

7.2 외과적 치료

  • 수술적 절제(Surgical Resection):
    • 협착 부위의 섬유성 조직 제거.
  • 풍선 확장술(Balloon Valvuloplasty):
    • 중등도 이상의 협착에서 협착 부위를 확장.
    • 장기적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음.

7.3 기타 치료

  • 삽입형 제세동기(ICD):
    • 심실성 부정맥 및 돌연사를 예방하기 위해 심한 환자에서 고려.

8. 예후

  • 경증: 대부분 정상적인 수명을 유지하며, 정기적인 모니터링만 필요.
  • 중등도에서 중증:
    • 심부전이나 돌연사 위험이 증가.
    •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며, 일부 환자에서 예후가 제한적일 수 있음.

9. 관리 및 예방

9.1 정기적 모니터링

  • 심초음파를 통해 좌심실 기능과 협착 부위를 주기적으로 평가.
  • 초기 단계에서 진행 정도를 추적 관리.

9.2 생활 관리

  • 운동 제한:
    • 격렬한 활동은 심박수 증가로 인해 돌연사의 위험을 높일 수 있음.
  • 스트레스 최소화:
    • 과도한 스트레스는 심혈관계에 부담을 줄 수 있음.

9.3 번식 제한

  • 선천적 질환 가능성이 있는 경우 번식을 제한하여 유전적 전파를 방지.

10. 대동맥협착증과 고양이 심질환의 연관성

  • 고양이는 대동맥협착증보다 비대성 심근병증(HCM) 같은 다른 심질환이 더 흔하지만, 두 질환이 함께 나타날 경우 임상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심장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결론: 고양이 대동맥협착증은 드물지만, 조기 진단과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증상은 협착의 중증도에 따라 다양하며, 적절한 약물 또는 수술적 치료를 통해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