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고양이 신장주위 가성낭종 (Perinephric Pseudocysts)
신장주위 가성낭종은 고양이에서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신장을 감싸는 비정상적인 액체 축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가성낭종"이라는 명칭은 이 구조가 상피세포로 이루어진 내벽을 가지지 않아 일반적인 낭종과 구분됩니다. 이는 주로 노령의 고양이에서 발견되며, 만성 신장 질환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1. 원인
고양이 신장주위 가성낭종의 정확한 원인은 불명확하지만, 다음 요인들이 관련될 수 있습니다.
1.1 만성 신장 질환
- 만성 신장 손상으로 인해 신장 주변에 체액이 축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이는 피막(perirenal capsule)과 신장 실질 사이에 삼출물이 고이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1.2 외상
- 신장 부위의 외상으로 인해 체액이 축적.
1.3 염증성 질환
- 신우신염(Pyelonephritis) 등 염증성 질환이 신장을 자극하여 가성낭종 발생.
1.4 종양
- 신장이나 주변 조직의 종양으로 인해 체액이 고일 수 있음.
2. 병리생리학
가성낭종은 신장을 감싸는 피막과 신장 실질 사이에 비정상적인 액체 축적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 액체는 일반적으로 다음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림프액
- 혈액
- 염증성 삼출물
가성낭종은 신장을 압박하여 정상적인 혈류를 방해하거나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주변 장기에 물리적 압박을 가할 수도 있습니다.
3. 증상
가성낭종은 초기에는 무증상일 수 있지만, 크기가 커지면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1 일반적인 증상
- 식욕 저하
- 체중 감소
- 무기력
- 복부 팽만
3.2 복부 촉진
- 신장 부위에서 비정상적인 덩어리가 촉지됨.
- 복부 통증 또는 민감성이 나타날 수 있음.
3.3 신장 기능 관련 증상
- 다뇨 및 다음(Polyuria/Polydipsia)
- 구토 (신부전의 초기 증상)
- 탈수
4. 진단
4.1 신체검사
- 복부에서 비정상적인 덩어리 촉지.
- 고양이가 복부 통증을 호소하는지 확인.
4.2 영상검사
- 초음파:
- 신장 주변의 무에코(anechoic) 또는 저에코(hypoechoic) 구조 확인.
- 신장 구조와 가성낭종의 경계를 명확히 평가.
- X-ray:
- 신장의 크기와 형태 변화를 평가.
- CT/MRI:
- 복잡한 경우나 종양과의 감별 진단 필요 시 사용.
4.3 낭종 천자
- 초음파 유도하에서 낭종 내용물을 채취하여 분석.
- 림프액, 염증성 삼출물, 또는 혈액 확인.
- 감염성 원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세균 배양 검사 수행.
4.4 혈액 및 소변 검사
- 신장 기능 저하 여부 평가:
- 혈중 BUN 및 크레아티닌 상승.
- 소변의 단백뇨 또는 혈뇨.
- 전해질 이상(특히 칼륨 수치 상승) 확인.
5. 치료
5.1 대증 요법
- 신장 보호:
- 저단백 식이와 수액 요법으로 신장 부담 감소.
- 통증 관리:
- NSAIDs나 기타 진통제 사용.
5.2 낭종 배액
- 초음파 유도하에서 낭종 배액을 시행하여 즉각적인 증상 완화.
- 단, 가성낭종은 재발 가능성이 높음.
5.3 외과적 치료
- 낭종 재발이 지속되거나 신장 기능이 악화된 경우 외과적 개입 필요:
- 낭종 절제술: 가성낭종을 제거.
- 신장 절제술(Nephrectomy): 신장 손상이 심하거나 반대쪽 신장이 정상 기능을 유지하는 경우.
5.4 감염 치료
- 신우신염이나 세균 감염이 동반된 경우 항생제 치료.
6. 예후
- 초기 치료 시: 낭종이 적절히 관리되면 증상 완화와 신장 기능 유지가 가능합니다.
- 재발 경향: 가성낭종은 완전 제거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 재발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신장 손상 동반 시: 신부전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어 예후가 불량할 수 있습니다.
7. 관리 및 예방
- 정기검진: 노령 고양이에서 신장 상태를 주기적으로 평가.
- 만성 신장 질환 관리:
- 체계적인 신장 관리로 신장 질환의 진행을 억제.
- 조기 발견:
- 가성낭종은 조기 발견 시 치료 효과가 높아지므로 영상검사를 포함한 정기 검사가 중요합니다.
고양이의 신장주위 가성낭종은 드문 질환이지만 조기 진단과 적절한 관리로 신장 기능 저하 및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꾸준한 모니터링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