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림프종 (Canine Lymphoma)

아랑드롱드롱 2025. 2. 7. 17:56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 림프종 (Canine Lymphoma) 

1. 개요

강아지 림프종(lymphoma)은 림프구(lymphocyte)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개에서 흔히 발생하는 암 중 하나입니다. 림프구는 면역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세포로, 주로 림프절(lymph node), 비장(spleen), 골수(bone marrow) 및 기타 림프 조직에서 발견됩니다.

2. 발생 원인

강아지 림프종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환경적 및 유전적 요인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유전적 요인: 특정 품종(예: 골든 리트리버, 복서, 코커 스패니얼, 불독 등)에서 더 높은 발생률을 보임
  • 환경적 요인: 농약, 제초제, 담배 연기, 화학물질 등의 노출이 영향을 줄 가능성
  • 면역 체계 이상: 자가면역 질환 및 면역 억제 상태에서 발생 가능성 증가
  • 바이러스 및 감염: 특정 바이러스나 감염이 림프종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음

3. 병리학적 분류

강아지 림프종은 형태학적 및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1) 해부학적 분류 (발생 부위에 따른 분류)

  1. 다중 림프절형 (Multicentric Lymphoma)
    • 가장 흔한 형태 (80~85%)
    • 말초 림프절이 비대해지며 점차 다른 장기로 확산됨
  2. 소화기형 (Alimentary Lymphoma)
    • 소화관에 발생하며 구토, 설사, 체중 감소 등의 증상 유발
  3. 종격동형 (Mediastinal Lymphoma)
    • 흉부 종격동 내 림프절 또는 흉선에서 발생
    • 호흡 곤란, 기침, 흉수(pleural effusion) 등의 증상 동반
  4. 피부형 (Cutaneous Lymphoma)
    • 피부에 결절(nodule) 형태로 발생
    • 원발성(Primary)과 전신 질환의 일부분(Secondary)으로 나타남
  5. 신경형 (CNS Lymphoma)
    • 중추신경계(뇌, 척수)에 발생하며 신경학적 이상 유발

(2) 조직학적 분류 (세포 종류 및 공격성에 따른 분류)

  1. B세포 림프종 (B-cell Lymphoma)
    • 예후가 상대적으로 좋으며 CHOP 항암치료에 반응률이 높음
  2. T세포 림프종 (T-cell Lymphoma)
    • 예후가 나쁘며, 공격적인 성장을 보임
  3. 고등급(High-grade) vs 저등급(Low-grade) 림프종
    • 고등급: 세포 분열이 활발하며 빠르게 진행, 치료 반응이 좋지만 재발 가능성이 높음
    • 저등급: 천천히 진행되지만 치료 반응이 제한적임

4. 증상

강아지 림프종의 증상은 발생 부위와 진행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 림프절 비대 (목, 겨드랑이, 서혜부 등에서 쉽게 촉진 가능)
  • 식욕 부진, 체중 감소
  • 무기력, 우울
  • 다뇨/다음 (Polyuria/Polydipsia) – 고칼슘혈증과 관련
  • 소화기 증상 (구토, 설사) – 소화기형 림프종에서 흔함
  • 호흡 곤란 – 종격동형 림프종

5. 진단 방법

  1. 신체검사 및 림프절 촉진
  2. 세침흡인세포검사 (Fine Needle Aspiration, FNA)
    • 림프절에서 세포를 흡인하여 세포학적으로 림프종 여부 확인
  3. 조직생검 (Biopsy) 및 면역조직화학검사 (Immunohistochemistry, IHC)
    • 조직학적 확인과 B/T세포 림프종 감별
  4. 혈액 검사 및 생화학 검사
    • 림프구 증가/감소, 고칼슘혈증 확인
  5. 흉부 및 복부 방사선 촬영(X-ray), 초음파 검사
    • 장기 침범 여부 확인
  6. 면역표지자 검사 (Flow Cytometry, PARR Test)
    • B세포 및 T세포 림프종 구분

6. 치료 방법

강아지 림프종은 완치보다는 관해(remission) 를 목표로 치료가 진행됩니다.

 

(1) 항암 치료 (Chemotherapy) – 1차 치료법

  • CHOP 프로토콜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Vincristine, Prednisone)
    •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 (80~90%의 초기 반응률)
    • 평균 생존 기간: 12~14개월
  • L-asparaginase (Elspar): 보조적 사용
  • 단독 항암 치료: Doxorubicin 또는 Prednisone 단독 사용 시 단기 생존 기간 (2~3개월)

(2) 방사선 치료

  • 국소 림프종(예: 종격동형)에서 사용 가능

(3) 수술적 절제

  • 국소적 림프종(예: 소화기형)에서 제한적으로 적용

(4) 스테로이드 치료

  • Prednisone 단독 사용 시 일시적인 증상 완화 가능 (1~2개월 생존 연장)

7. 예후

  • 치료하지 않을 경우 평균 생존 기간: 4~6주
  • CHOP 항암 치료 시 평균 생존 기간: 12~14개월
  • 일부 개체에서 2년 이상 생존 가능하지만, 대부분 재발 발생

8.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림프종 유형: B세포형이 T세포형보다 예후가 좋음
  • 치료 반응 여부: CHOP 프로토콜에 반응하는 경우 생존 기간 연장
  • 고칼슘혈증 동반 여부: 예후 나쁨
  • 진단 시 병기(Stage): 초기 단계일수록 예후가 좋음

9. 예방 및 관리

림프종의 명확한 예방책은 없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이 권장됩니다.

  • 건강한 생활 환경 제공 (화학물질, 제초제 노출 최소화)
  • 정기적인 건강검진 및 조기 발견
  • 항산화제 및 면역 보조제 고려

강아지 림프종은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하며, 개체에 따라 치료 반응과 생존 기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