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 갑상선 절제술(Thyroidectomy)
1. 개요
강아지에서 갑상선 절제술(Thyroidectomy)은 갑상선 종양(Thyroid tumor), 갑상선 기능항진증(Hyperthyroidism), 또는 기타 병변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하는 외과적 수술이다.
- 대부분의 경우: 강아지는 갑상선 기능항진증이 드물고, 갑상선 절제술은 주로 갑상선 종양(특히 선암, Adenocarcinoma) 때문에 시행된다.
- 일부 경우: 결절성 과형성(Hyperplasia)이나 염증으로 인해 필요할 수도 있다.
2. 적응증 (Indications)
갑상선 종양 (Thyroid Tumors)
- 갑상선 선암(Thyroid adenocarcinoma)이 가장 흔한 원인
- 보통 한쪽 갑상선에서 발생하지만, 양측성(20~40%)도 가능
- 침습성이 강하여 주위 조직(경동맥, 식도, 기관 등)으로 확장 가능
기능성 갑상선 종양 (Functional Thyroid Tumor)
- 매우 드물지만, 강아지에서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유발할 수 있음
- 수술을 통해 호르몬 과다 분비를 조절해야 할 수도 있음
비종양성 질환
- 갑상선 과형성(Hyperplasia)
- 염증성 갑상선염(Thyroiditis)
3. 수술 전 준비 (Preoperative Considerations)
환자 평가 및 진단 검사
- 혈액검사: CBC, 혈청화학, 전해질 검사
- 갑상선 호르몬 검사: T3, T4, fT4, TSH 측정
- 영상진단
- 초음파(Thyroid ultrasound): 갑상선 종양의 크기, 위치, 주위 조직과의 관계 평가
- 흉부 방사선 촬영(Thoracic radiographs): 폐 전이 여부 확인
- CT/MRI: 침습 정도 및 혈관, 신경 구조와의 관계 확인
- 세침흡인검사(FNA, Fine Needle Aspiration)
- 종양의 양성/악성 감별 목적 (단, 조직학적 감별이 어려운 경우 많음)
- 응고 검사: 수술 중 출혈 위험 평가
마취 준비
- 갑상선 종양은 기관을 압박할 수 있어 기관 협착(tracheal compression) 가능성 고려
- 저체온증 방지를 위한 체온 유지 필수
- 혈압 유지 및 심혈관 안정화 필요
수술 전 약물
- 기능성 종양의 경우, β-차단제(Propranolol, Atenolol)로 심박수를 조절
- 스테로이드(필요시)
4. 수술 방법 (Surgical Procedure)
1) 마취 유도 및 준비
- 정맥 마취 유도 후 기관 내 삽관(Intubation)
-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모니터링
- 수술 부위(경부, ventral neck) 면도 및 소독
2) 접근법 (Surgical Approach)
- Ventral midline cervical approach (경부 정중 절개)
- 피하 조직 및 근육 절개 후 갑상선 확인
3) 갑상선 절제 (Thyroidectomy)
- 피막 내 절제술(Intracapsular technique)
- 갑상선 조직만 제거, 부갑상선 보존 가능성이 높음
- 그러나 잔여 조직에서 종양이 재발할 가능성 있음
- 피막 외 절제술(Extracapsular technique)
- 갑상선을 완전히 제거, 재발 위험 적음
- 하지만 부갑상선(PTH glands) 손상 위험이 커 저칼슘혈증(Hypocalcemia) 유발 가능
- 혈관 결찰 및 지혈
- 갑상선 동맥(Thyroid arteries)과 정맥(Thyroid veins) 결찰 또는 전기소작
5. 수술 후 관리 (Postoperative Care)
1) 모니터링
- 수술 후 24~48시간 동안 저칼슘혈증(Hypocalcemia) 모니터링 (부갑상선 손상 여부 확인)
- 저혈압, 부정맥 발생 여부 관찰
2) 합병증 관리
- 저칼슘혈증 (Hypocalcemia)
- 경련, 근육 경직, 무기력증 발생 가능
- 치료: 정맥 내 칼슘 보충(Calcium gluconate), 장기적으로 비타민 D 보충
- 반회후두신경 손상(Recurrent Laryngeal Nerve Injury)
- 후두 마비(Laryngeal paralysis)로 인해 호흡곤란 발생 가능
- 출혈 및 혈종(Hematoma)
- 지혈이 불완전할 경우 발생 → 필요 시 재수술
3) 갑상선 호르몬 보충 (Hormone Replacement Therapy)
- 양측 갑상선 절제(Bilateral Thyroidectomy) 후
→ 갑상선 호르몬 보충(L-thyroxine, Levothyroxine) 필수 - 일측 갑상선 절제(Unilateral Thyroidectomy) 후
→ 반대쪽 갑상선이 기능을 보충할 수 있으므로 보통 필요 없음
4) 장기적 예후
- 양성 결절(Adenoma, Hyperplasia) → 수술 후 예후 양호
- 갑상선 선암(Thyroid carcinoma)
- 종양의 침습성에 따라 예후가 다름
- 수술 후 방사선 치료(Radiation therapy) 또는 항암 치료 필요할 수 있음
- 폐 전이 시 예후 불량
6. 결론
- 강아지의 갑상선 절제술은 대부분 갑상선 종양(특히 선암) 때문에 시행됨
- 적절한 영상진단과 사전 평가를 통해 수술 계획을 세워야 함
- 수술 시 부갑상선 및 후두신경 손상을 최소화해야 함
- 저칼슘혈증과 갑상선 기능저하증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
- 종양의 침습 정도에 따라 예후가 달라지므로, 수술 후 병리검사를 통해 장기적인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함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