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직장 질환(Rectal Disease)
고양이의 직장(直腸, Rectum)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변을 저장하고 배변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직장 질환은 다양한 원인(염증, 감염, 종양, 외상 등)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초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1. 고양이 직장의 해부학적 구조
고양이의 직장은 대장의 끝부분으로, 항문과 연결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
- 점막층(Mucosa): 직장의 내부 표면을 덮고 있는 조직으로, 보호 및 흡수 기능 수행
- 근육층(Muscularis): 연동운동을 통해 변을 밀어내는 역할
- 항문 괄약근(Anal Sphincter): 배변을 조절하는 근육 (내괄약근: 불수의근, 외괄약근: 수의근)
2. 고양이의 주요 직장 질환
(1) 직장 협착(Rectal Stricture)
원인
- 외상 (예: 항문 수술 후 흉터)
- 만성 염증 (결장염, 직장염)
- 종양 성장으로 인해 협착 발생
- 방사선 치료 후 합병증
증상
- 변이 가늘고 리본 모양으로 나옴
- 변비와 배변 곤란
- 배변 시 통증과 혈변
진단
- 직장 수지검사(Rectal Palpation)
- 조영술(Barium Enema)
- 내시경 검사(Colonoscopy)
치료
- 풍선확장술(Balloon Dilatation)
- 외과적 절개(Surgical Resection)
- 직장 근육 이완제 사용
(2) 직장 폴립(Rectal Polyps)
원인
- 만성 염증성 자극
- 유전적 요인
- 종양 전 단계로 진행 가능
증상
- 점액성 혈변
- 배변 시 과도한 힘주기
- 변비와 설사가 번갈아 발생
진단
- 직장 내시경
- 생검(Biopsy)
치료
- 내시경적 절제(Endoscopic Polypectomy)
- 외과적 절제(Surgical Resection)
- 항염증 치료
(3) 직장 탈출(Rectal Prolapse)
원인
- 만성 변비 또는 설사
- 기생충 감염 (예: 편충, 촌충)
- 배변 시 과도한 힘주기
- 직장 내 종양
증상
- 항문 밖으로 붉은 점막 조직 돌출
- 배변 시 조직이 밖으로 빠져나옴
- 점액성 또는 혈액이 섞인 변
진단
- 육안검사 및 직장 촉진
- 내시경 검사
치료
- 초기 단계: 점막을 원위치로 밀어넣고 봉합
- 심한 경우: 외과적 절제 및 항문고정술
(4) 직장염(Rectitis)
원인
- 세균 감염(살모넬라, 대장균)
- 기생충 감염(편충, 이소스포라)
- 만성 알레르기성 장염
- 독성 물질 섭취
증상
- 혈변 및 점액변
- 배변 횟수 증가
- 복통 및 항문 주변 핥기
진단
- 분변 검사(Fecal Examination)
- 세균 배양 검사(Bacterial Culture)
- 직장 생검(Biopsy)
치료
- 항생제 및 항염증제
- 식이 조절(저자극성 사료)
- 기생충 감염 시 구충제 사용
(5) 직장 종양(Rectal Tumors)
원인
- 선암(Adenocarcinoma)
- 육종(Sarcoma)
- 편평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
- 유전적 요인
증상
- 배변 곤란 및 혈변
- 체중 감소
- 변비 및 복부 팽만
진단
- 직장 내시경 및 조직검사(Biopsy)
- 복부 초음파 및 CT 촬영
치료
- 외과적 절제(Surgical Excision)
- 방사선 치료(Radiotherapy)
- 화학요법(Chemotherapy)
(6) 항문주위농양(Perianal Abscess) 및 항문샘 질환
원인
- 항문샘(Anal Gland)의 감염
- 항문샘 배출 장애
- 항문 주변 외상
증상
- 항문 주위 부종 및 통증
- 항문을 바닥에 문지르는 행동
- 고름이나 피가 섞인 분비물
진단
- 직장 촉진 및 항문샘 검사
- 초음파 검사
치료
- 감염된 항문샘 배농 및 소독
- 항생제 및 항염증제 치료
- 재발 방지를 위한 항문샘 제거 수술
3. 고양이 직장 질환의 예방법
- 균형 잡힌 식단 제공
- 고섬유질 사료 급여로 배변 원활히 유지
- 고양이 전용 사료 사용하여 소화기 건강 유지
- 배변 습관 모니터링
- 변의 색깔, 점도, 빈도 관찰하여 이상 여부 확인
- 변비나 설사가 지속되면 즉시 검사
- 정기적인 건강검진
- 노령묘(7세 이상)의 경우 직장 내시경 검사 권장
- 종양 조기 발견을 위해 연 1~2회 검사
- 기생충 예방 및 감염 관리
- 실내 환경을 깨끗이 유지
- 정기적인 구충제 투여
4. 결론
고양이의 직장 질환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면 예후가 좋지만,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배변 습관 변화나 혈변이 보일 경우 즉시 동물병원에서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