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의 다식성 체중 감소 (Polyphagic Weight Loss)
강아지가 많이 먹는데도 불구하고 체중이 감소하는 현상을 "다식성 체중 감소 (Polyphagic Weight Loss)"라고 합니다. 이는 여러 가지 내과적 질환이나 대사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요 원인과 진단 접근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원인 (Causes)
다식성 체중 감소는 대사율 증가, 영양 흡수 장애, 에너지 소비 증가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내분비 질환 (Endocrine Disorders)
- 당뇨병 (Diabetes Mellitus)
- 인슐린 부족 또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함
- 세포 에너지 부족 → 신체는 지방과 단백질을 분해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
- 증상: 다식(Polyphagia), 다뇨(Polyuria), 다갈(Polydipsia), 체중 감소, 백내장 발생 가능
- 갑상선 기능 항진증 (Hyperthyroidism, 드물게 발생)
- 갑상선 호르몬 증가 → 기초대사율(BMR) 증가 → 에너지 소모 증가
- 증상: 다식, 체중 감소, 빈맥(Tachycardia), 과잉 행동, 털 상태 저하
- 쿠싱증후군 (Cushing's Syndrome, 부신피질기능항진증)
- 과도한 코르티솔 생산 → 단백질과 지방 대사 이상 → 근육 감소와 지방 재분포
- 증상: 다식, 복부 팽만(팟 벨리), 피부 얇아짐, 근육 위축
(2) 소화기 및 흡수 장애 (Gastrointestinal and Malabsorption Disorders)
- 췌장 외분비 기능 부전 (Exocrine Pancreatic Insufficiency, EPI)
- 췌장에서 소화 효소 분비 감소 →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 소화 불량
- 증상: 다식, 체중 감소, 지방변(Steatorrhea, 기름진 변), 설사
- 단장 증후군 (Short Bowel Syndrome)
- 장 절제 후 영양 흡수 감소 → 다식하지만 체중 증가 어려움
- 소장 세균 과증식 (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SIBO)
- 비정상적인 세균 증식 → 영양소 흡수 방해
(3) 만성 감염 및 종양 (Chronic Infections and Neoplasia)
- 기생충 감염 (Parasitic Infections)
- 회충, 십이지장충, 편충 등 → 영양소 흡수 방해
- 만성 감염 (Chronic Infections, 결핵 등)
- 지속적인 에너지 소모 증가
- 암 (Neoplasia, 특히 림프종)
- 신체 대사 증가, 종양 성장으로 에너지 소모 증가
2. 진단 접근법 (Diagnostic Approach)
다식성과 체중 감소가 함께 발생하면, 아래의 진단 과정이 필요합니다.
(1) 병력 청취 및 신체검사
- 다식의 정도, 식사량 변화, 활동성 여부, 기타 동반 증상(다뇨, 다갈 등) 확인
(2) 혈액 검사 (CBC, Blood Chemistry, Hormone Tests)
- 당뇨병 의심 → 혈당(Blood Glucose), 당화혈색소(HbA1c)
- 갑상선 기능 항진증 의심 → 총 T4 (TT4), 유리 T4 (fT4), TSH 검사
- 쿠싱증후군 의심 → ACTH 자극 검사, 저용량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LDDS Test)
- 췌장 외분비 기능 부전 의심 → TLI (Trypsin-like Immunoreactivity) 검사
(3) 영상 검사 (Radiography, Ultrasonography)
- 복부 초음파: 췌장, 부신, 간 이상 확인
- 흉부 및 복부 X-ray: 종양 또는 감염 확인
(4) 분변 검사 (Fecal Examination)
- 기생충 감염 여부 검사
- 지방변 여부 확인 (췌장 외분비 기능 부전 의심 시)
3. 치료 및 관리 (Treatment and Management)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 당뇨병 → 인슐린 치료, 혈당 관리
- 갑상선 기능 항진증 → 항갑상선제, 방사성 요오드 치료
- 쿠싱증후군 → Trilostane(베트릴), 부신 제거 수술
- 췌장 외분비 기능 부전 → 췌장 효소 보충제(Pancreatic Enzyme Supplement)
- 기생충 감염 → 구충제 사용
- 소화기 질환 → 저지방, 고소화성 사료 공급
4. 결론
강아지가 많이 먹는데도 체중이 줄어든다면, 단순한 식사량 문제라기보다 내분비 질환, 소화기 질환, 만성 감염, 종양 등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분변 검사 등이 필요하며, 원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