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심잡음
고양이의 심잡음(Murmurs)은 심장 내에서 혈액이 정상적으로 흐르지 않거나, 심장의 구조적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소리입니다. 심잡음은 고양이의 심장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중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심잡음 자체가 반드시 심각한 질병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병리적 원인에 의한 심잡음은 기저 심장 질환과 관련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심잡음의 정의
심잡음은 심장에서 들리는 비정상적인 소리로, 심장의 판막이나 혈류의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 정상적인 심장 박동은 ‘두둑, 두둑’과 같은 규칙적인 소리로 들리지만, 심잡음이 있을 때는 ‘쉬익’ 또는 ‘루르’와 같은 추가 소리가 들립니다.
2. 심잡음의 분류
심잡음은 그 강도, 발생 시기, 위치 등에 따라 분류됩니다. 이러한 분류는 심잡음이 발생하는 원인을 찾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1) 강도에 따른 분류
심잡음은 그 강도에 따라 1등급부터 6등급까지 나뉩니다.
- 1등급: 매우 미약한 잡음으로 청진기로도 듣기 어렵습니다.
- 2등급: 약간 들리지만 미약한 잡음입니다.
- 3등급: 명확하게 들리며 중등도의 잡음입니다.
- 4등급: 심한 잡음으로, 쉽게 들리며 때로는 흉벽을 통해 진동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 5등급: 매우 강한 잡음으로 손으로도 진동을 느낄 수 있습니다.
- 6등급: 아주 강한 잡음으로, 청진기를 흉벽에 대지 않고도 들을 수 있습니다.
2) 발생 시기에 따른 분류
- 수축기 심잡음: 심장이 수축할 때 발생하는 잡음입니다. 대부분의 심잡음이 수축기 동안 발생합니다.
- 이완기 심잡음: 심장이 이완할 때 발생하는 잡음으로, 드물지만 심각한 심장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연속성 심잡음: 수축기와 이완기 모두에서 들리는 잡음입니다. 주로 혈액이 비정상적으로 심장에서 혈관으로 흐를 때 발생합니다.
3) 발생 위치에 따른 분류
잡음의 발생 위치에 따라 심장 내 문제가 있는 부위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청진을 통해 좌측이나 우측 흉부에서 심잡음이 더 크게 들리는지에 따라 문제가 있는 심장 구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좌측 심잡음: 대동맥판 또는 승모판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우측 심잡음: 삼첨판 또는 폐동맥 관련 문제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심잡음의 원인
심잡음은 생리적 원인(일시적)과 병리적 원인(기저 질환)을 포함합니다.
1) 생리적 심잡음(Physiologic or Innocent Murmur)
생리적 심잡음은 특별한 기저 질환 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개 고양이의 성장기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타납니다. 대부분 문제 없이 사라지며,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어린 고양이에서의 무해한 심잡음: 6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사라질 수 있으며,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2) 병리적 심잡음(Pathologic Murmur)
병리적 심잡음은 심장의 구조적, 기능적 문제로 인해 발생하며, 기저 심장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심장 판막 질환(Valvular Disease): 심장 판막이 손상되어 혈류가 역류하거나 비정상적으로 흐를 때 심잡음이 발생합니다. 특히 고양이에서는 승모판막 질환이 빈번합니다.
- 비후성 심근병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 고양이에게서 가장 흔한 심장 질환으로, 심근이 비대해져 혈류에 장애를 일으키고 심잡음을 유발합니다.
- 선천성 심장 기형(Congenital Heart Defects): 심장 구조의 선천적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실 중격 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은 심실 사이에 구멍이 생겨 비정상적인 혈류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동맥관 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 PDA):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의 혈관이 태어나면서 닫히지 않아 비정상적인 혈류가 지속되면 연속성 심잡음이 나타납니다.
- 대동맥 협착(Aortic Stenosis): 대동맥이 좁아져 심장에서 나가는 혈류에 저항이 생기면 심잡음이 발생합니다.
- 심내막염(Endocarditis): 심장 판막에 염증이 생겨 판막 기능 이상이 발생하면 심잡음이 들릴 수 있습니다.
4. 증상
고양이의 심잡음 자체는 증상이 아닙니다. 그러나 심잡음이 기저 심장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기력 저하(Lethargy): 평소보다 활동성이 떨어지고 쉽게 피로해질 수 있습니다.
- 호흡 곤란(Dyspnea): 심장의 기능 저하로 인해 폐에 체액이 축적되면 호흡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기침(Coughing): 드물게 고양이에서 기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심장 문제나 호흡기 문제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
- 복부 팽만(Abdominal Distension): 복수(ascites)가 발생하면 복부에 체액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
- 실신(Syncope): 심박출량 감소로 인해 순간적인 혈압 저하가 발생하여 의식을 잃을 수 있습니다.
5. 진단
심잡음은 기저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진단 검사가 필요합니다.
1) 청진(Auscultation)
심잡음의 성질을 평가하기 위해 청진기를 사용합니다. 심잡음의 강도, 발생 시점, 위치 등을 확인합니다.
2) 흉부 방사선 촬영(Chest X-ray)
심장의 크기, 모양, 폐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으며, 심부전으로 인한 폐부종이나 흉수(pleural effusion)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3)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심장 구조와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판막 기능, 심실 벽 두께, 혈류 속도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후성 심근병증 같은 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4)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부정맥이나 전도 장애를 확인합니다.
5) 혈액 검사
기저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신적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6. 치료
고양이 심잡음 자체는 치료 대상이 아니며, 기저 원인에 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1) 심근증 치료
비대성 심근병증(HCM)과 같은 질환이 원인일 경우, 심근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심장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 베타 차단제(Beta-blockers): 심박수를 조절하고 심장의 산소 요구량을 줄여줍니다.
- 칼슘 채널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s): 심장의 이완을 촉진하고 혈류를 개선합니다.
- ACE 억제제(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심장의 부담을 줄여 혈압을 조절합니다.
- 이뇨제(Diuretics): 폐부종이나 복수를 줄이기 위해 체액을 배출시킵니다.
2) 수술
심실 중격 결손이나 선천적 기형이 심각한 경우, 외과적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에서의 심장 수술은 드물지만, 심한 기형이 생명에 위협이 될 경우 고려될 수 있습니다.
3) 판막 질환 치료
판막 역류가 원인일 경우, 혈압을 조절하고 심장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약물 치료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4) 심부전 관리
심부전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약물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뇨제나 혈관 확장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7. 예후와 관리
고양이의 심잡음이 기능성이라면 예후는 좋으며, 치료 없이도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병적 심잡음의 경우, 근본적인 질환의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가 늦어질 경우 심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심잡음이 있는 고양이는 심장 질환의 진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심장 검사를 받아야 하며, 질병이 악화되지 않도록 주기적인 약물 조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심잡음
심잡음이란 고양이의 심장에서 청진기를 통해 들리는 비정상적인 소리를 의미합니다. 마치 심장이 규칙적인 박동 소리 외에 추가적인 소리를 내는 것처럼 들리는데요, 이는 심장 내부에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심잡음이 발생하는 이유
심장은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키는 펌프 역할을 합니다. 심장 안에는 혈액이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판막이 있는데, 이 판막에 문제가 생기거나 심장 구조에 이상이 있을 때 심잡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판막 질환: 심장 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거나 좁아져 혈액이 새거나 흐름이 방해될 때 발생합니다.
- 심장 기형: 선천적으로 심장 구조에 이상이 있는 경우 심잡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심근병증: 심장 근육이 비대해지거나 얇아지는 질환으로, 심장 기능 저하를 유발하고 심잡음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심장 벌레 감염: 심장 벌레는 심장에 손상을 입혀 심잡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질환: 빈혈, 갑상선 질환 등 다른 질환이 심잡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심잡음의 종류와 특징
심잡음은 발생 위치, 소리의 강도, 시기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수의사는 청진기를 통해 심잡음을 듣고, 심장 초음파 검사 등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심잡음의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합니다.
심잡음의 증상
심잡음 자체로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심잡음이 심해지거나 심장 질환이 진행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기침: 심장 질환으로 인해 폐에 혈액이 정체되면서 기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호흡 곤란: 운동 시 숨이 차거나 안정 시에도 숨쉬기가 힘들어 할 수 있습니다.
- 무기력증: 심장 기능이 저하되어 몸 전체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무기력해집니다.
- 부종: 심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다리나 배에 부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식욕 부진: 심장 질환으로 인해 소화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심잡음 진단 및 치료
수의사는 청진, 심전도, 흉부 X-ray, 심장 초음파 등 다양한 검사를 통해 심잡음의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합니다. 치료는 심잡음의 원인과 심장 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달라지며, 약물 치료, 수술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방
심잡음을 완전히 예방할 수는 없지만,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선천적인 심장 질환이 있는 품종의 경우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주의: 심잡음은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양이에게 심잡음이 의심된다면 즉시 동물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