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부신피질기능항진증
강아지 부신피질기능항진증, 또는 쿠싱 증후군(Cushing’s Syndrome)은 강아지의 부신피질에서 과도한 양의 코르티솔이 분비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코르티솔은 스트레스에 반응해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대사와 면역 조절 등 다양한 역할을 하지만, 과다할 경우 건강에 여러 문제를 일으킵니다. 강아지의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은 일반적으로 노령견에게서 발생하며, 다양한 임상 증상과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강아지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관리법에 대한 상세 설명입니다.
1. 원인 (Causes)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은 크게 두 가지 주요 원인으로 나뉩니다.
- 뇌하수체 의존성 부신피질기능항진증 (Pituitary-Dependent Hyperadrenocorticism, PDH)
전체 쿠싱 증후군의 약 80~85%를 차지하며, 뇌하수체에서 ACTH(부신피질자극호르몬)가 과도하게 분비되어 부신피질에서 코르티솔이 과도하게 생성되는 경우입니다. 뇌하수체 종양(대부분 양성)이 원인일 수 있으며, 이 종양이 ACTH 분비를 과도하게 자극하여 부신피질을 활성화시킵니다. - 부신 의존성 부신피질기능항진증 (Adrenal-Dependent Hyperadrenocorticism, ADH)
부신피질 자체에 종양이 생겨 코르티솔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부신 종양(양성 또는 악성)에 의해 발생하며, 전체 쿠싱 증후군의 약 15~20%를 차지합니다.
또한, 의인성 부신피질기능항진증(Iatrogenic Hyperadrenocorticism)은 스테로이드 약물을 장기간 사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인위적으로 과도한 코르티솔이 체내에 축적되어 쿠싱 증후군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2. 증상 (Symptoms)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의 증상은 코르티솔 과다로 인한 다양한 신체 변화로 나타납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음다뇨(Polydipsia and Polyuria):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을 자주 보게 됩니다. 코르티솔 과다가 신장에서 수분 재흡수를 방해하여 다뇨 증상이 나타납니다.
- 다식(Polyphagia): 식욕이 증가하며, 많은 양을 섭취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 복부 팽만: 복부 지방 축적과 근육 약화로 인해 복부가 팽창하며, 흔히 "포트 벨리(pot-belly)"라고 불립니다.
- 탈모 및 피부 변화: 피부가 얇아지고, 대칭적 탈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처 치유가 지연되기도 합니다. 일부 강아지들은 피부 색소 침착이나 칼슘이 축적되어 피부에 결절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 근력 약화: 근육 약화로 인해 기력이 떨어지고, 움직임이 둔해질 수 있습니다.
- 불규칙한 발정 주기 및 생식기 문제: 암컷 강아지의 경우 발정 주기에 이상이 생기거나 생식기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리 근육이 약화되어 움직임이 둔해지고, 평소보다 쉽게 피곤해지는 등의 비특이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진단 (Diagnosis)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의 진단에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주요 진단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초 혈액 및 소변 검사: 전해질 불균형, 알칼리성 인산효소의 상승, 고혈당 등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일반적인 혈액 수치 이상은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을 의심할 근거가 됩니다.
- ACTH 자극 검사(ACTH Stimulation Test): 강아지에게 ACTH를 주사한 후 혈중 코르티솔 농도를 측정합니다. 부신피질기능항진증 환자의 경우, ACTH 주사 후 코르티솔 수치가 정상 이상으로 높아집니다.
- 저용량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Low-Dose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LDDST): 덱사메타손을 주사해 혈중 코르티솔 농도를 억제해보고, 특정 시간 후 다시 코르티솔 농도를 측정합니다.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이 있는 경우 코르티솔 농도가 충분히 억제되지 않거나 감소하지 않는 패턴을 보입니다.
- 고용량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High-Dose 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HDDST): 뇌하수체 의존성인지 부신 의존성인지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되며, 주사 후 코르티솔 억제 반응이 발생하지 않으면 부신 의존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 영상진단(초음파 또는 CT, MRI): 부신이나 뇌하수체 종양을 확인하기 위해 영상진단이 사용됩니다. 초음파는 종양의 크기와 위치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MRI는 뇌하수체 종양 진단에 사용됩니다.
4. 치료 (Treatment)
부신피질기능항진증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게 진행됩니다.
- 약물 치료: 대부분의 경우 약물 치료로 증상을 관리합니다. 일반적인 약물은 트릴로스탄(Trilostane)으로, 코르티솔 합성을 억제하여 혈중 코르티솔 수치를 조절합니다. 이 외에 미토테인(Mitotane)이라는 약물도 사용되지만, 독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수술적 치료: 부신 의존성 부신피질기능항진증에서 부신 종양이 발견된 경우, 부신절제술을 통해 종양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수술은 위험성이 높아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 방사선 치료: 뇌하수체 종양이 있는 경우 방사선 치료를 통해 종양의 크기를 줄이거나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수술이 어려운 경우 대체 치료로 사용됩니다.
5. 관리 및 예후 (Management and Prognosis)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은 치료가 필요한 만성 질환이며, 꾸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약물 치료를 받는 강아지들은 정기적으로 혈액검사를 통해 코르티솔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약물의 용량을 조정해야 합니다. 또한, 주인은 강아지의 행동과 식습관을 관찰하고, 증상이 악화될 경우 수의사에게 즉시 알려야 합니다.
예후는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에 따라 다릅니다. 뇌하수체 의존성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의 경우, 약물 관리로 증상을 잘 통제할 수 있으며, 부신 의존성의 경우에도 조기 발견 시 수술을 통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기 때문에, 주인의 지속적인 관심과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합니다.
강아지 부신피질기능항진증(쿠싱증후군)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이란?
부신피질기능항진증, 흔히 쿠싱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이 질환은 강아지의 부신에서 코티솔이라는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질환입니다. 코티솔은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혈당 조절, 면역 체계 조절 등 다양한 생리 기능에 관여하는 호르몬인데, 이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신체에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원인
- 뇌하수체 종양: 가장 흔한 원인으로, 뇌하수체에서 과도한 ACTH(부신피질자극호르몬)가 분비되어 부신을 자극하여 코티솔을 과도하게 생산하게 합니다.
- 부신 종양: 부신 자체에 종양이 생겨 코티솔을 과도하게 생산하는 경우입니다.
- 외부적인 코티솔 투여: 스테로이드제를 장기간 투여한 경우에도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 다음 다뇨: 물을 많이 마시고 소변을 자주 봅니다.
- 체중 증가: 특히 복부 비만이 나타납니다.
- 털 빠짐: 털이 가늘어지고 쉽게 빠지며, 피부가 얇아지고 쉽게 상처를 입습니다.
- 근육량 감소: 근육이 약해지고 무기력해집니다.
- 식욕 증가: 식욕이 왕성해지지만 체중은 증가합니다.
- 호흡 곤란: 복부 비만으로 인해 호흡이 곤란해질 수 있습니다.
- 배뇨 장애: 방광이 약해져 배뇨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 혈액 검사: 코티솔 수치, 간 기능 검사, 신장 기능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합니다.
- 요 검사: 코티솔/크레아티닌 비율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 영상 검사: 복부 초음파, CT, MRI 등을 통해 부신의 크기나 종양 유무를 확인합니다.
- 저용량 데카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LDTT) 검사: 뇌하수체성인지 부신성인지 감별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치료
- 약물 치료: 뇌하수체성인 경우에는 뇌하수체의 ACTH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을 투여하고, 부신 종양인 경우에는 부신의 코티솔 생산을 억제하는 약물을 투여합니다.
- 수술: 부신 종양이 큰 경우에는 수술로 종양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예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예후가 좋습니다. 하지만 치료를 하지 않거나 방치하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방
- 정기적인 건강검진: 초기 증상을 발견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동물병원에 방문하여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스테로이드제 장기 투여 주의: 스테로이드제는 부신피질기능항진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 시에는 수의사와 상담하여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