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아밀로이드증(Amyloidosis)
아랑드롱드롱
2024. 12. 19. 05:51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 아밀로이드증(Amyloidosis)
아밀로이드증은 비정상적인 단백질(아밀로이드)이 체내 조직과 기관에 축적되어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이는 만성 염증성 질환, 감염, 또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강아지에서 드문 질환으로 간주됩니다. 특정 품종에서는 유전적 소인으로 인해 더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아밀로이드증의 정의
- 아밀로이드: 불용성, 비정상적으로 접힌 단백질의 집합체로 조직 내에 침착되어 세포 기능과 조직 구조를 방해.
- 침착 부위: 신장, 간, 비장, 심장, 췌장, 위장관, 그리고 드물게 다른 조직.
- 형태:
- 전신성(Systemic): 신장, 간 등 여러 장기에 영향을 미침.
- 국소성(Localized): 특정 부위에 국한됨.
2. 병인과 병리
- 원인:
- 만성 염증성 질환(예: 관절염, 감염).
- 특정 유전적 소인(예: 샤페이, 비글).
- 면역계 이상.
- 병리적 기전:
- 만성 자극으로 인해 간에서 혈청 아밀로이드 A(SAA)라는 단백질이 과도하게 생성.
- SAA가 분해되지 않고 비정상적인 아밀로이드 섬유로 전환.
- 조직 내에 아밀로이드 섬유가 축적되어 조직 손상 및 기능 장애 유발.
3. 주요 장기에 따른 아밀로이드 침착 증상
3.1 신장(Kidney)
- 특징: 가장 흔한 침착 부위.
- 증상:
- 단백뇨(Proteinuria): 소변에 단백질 배출 증가.
- 신장 기능 저하: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
- 부종, 다뇨/다갈.
- 결과:
-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저알부민혈증, 부종, 고콜레스테롤혈증.
- 진행된 경우 신부전.
3.2 간(Liver)
- 증상:
- 간비대(Hepatomegaly): 간 크기 증가.
- 간 기능 저하: 황달, 응고 장애.
- 식욕 저하, 체중 감소.
- 결과:
- 간 파열 가능성: 심한 경우 내부 출혈.
3.3 비장(Spleen)
- 증상:
- 비장비대(Splenomegaly): 만져지는 비장 확대.
- 면역 기능 저하.
3.4 심장(Heart)
- 드물게 침착되며, 심부전 증상(예: 기운 없음, 기침, 호흡 곤란) 유발.
3.5 기타 장기
- 위장관: 흡수 장애, 설사.
- 췌장: 당뇨병 유발 가능.
- 피부 및 관절: 샤페이 열(Shar-Pei Fever)과 연관된 관절염.
4. 품종 소인
- 샤페이(Shar-Pei):
- "샤페이 열(Shar-Pei Fever)"와 연관된 유전적 전신성 아밀로이드증.
- 만성 염증으로 인해 신장과 간에 아밀로이드 축적.
- 비글(Beagle), 콜리(Collie), 아키타(Akita): 유전적 경향.
5. 진단
5.1 병력과 임상 증상
- 만성 염증성 질환 병력.
- 급성 또는 만성 장기 기능 부전 증상.
5.2 진단 검사
- 혈액 검사:
- 저알부민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 신장 기능 장애: 크레아티닌(Creatinine) 및 BUN 상승.
- 소변 검사:
- 단백뇨(Proteinuria).
- 요침사에서 비정형적인 침전물 관찰.
- 영상 검사:
- 초음파: 신장, 간 비대 및 조직 이상 확인.
- 조직 검사(확진 검사):
- 침범된 장기에서 생검 후 콩고 레드 염색(Congo Red Stain)으로 아밀로이드 확인.
- 전신 스캔:
- Scintigraphy를 이용한 전신 아밀로이드 침착 부위 탐지.
6. 치료
아밀로이드증은 근본적으로 완치가 어려운 질환으로, 관리와 증상 완화 치료가 중점입니다.
6.1 원인 치료
- 만성 염증 또는 감염 질환이 있는 경우 이를 우선적으로 치료.
- 면역억제제 사용(루프스나 기타 자가면역 질환 동반 시).
6.2 대증 요법
- 신장 보호:
- ACE 억제제(예: 에나프릴, 베나제프릴): 단백뇨 감소 및 신장 보호.
- 저단백질 식이: 신장 부담 감소.
- 이뇨제:
- 부종 관리.
- 간 보호제:
- 우르소데옥시콜산(Ursodeoxycholic acid): 간 손상 완화.
- 항염증제:
- 콜히친(Colchicine): 샤페이의 열 관리.
- 항응고제:
- 혈전 위험이 있는 경우 저용량 아스피린 사용.
6.3 장기 기능 보조
- 투석(신부전 진행 시).
- 간부전 시 간 보호 및 영양 보충.
7. 예후
- 예후는 불량: 특히 신부전이 진행된 경우 생존율이 낮음.
- 샤페이 열: 적절한 관리로 진행 속도 완화 가능.
- 진단과 치료가 조기에 이루어질수록 생존 기간이 연장.
8. 예방
- 유전적 소인이 있는 품종의 경우 정기 검진.
- 만성 염증성 질환 조기 치료.
- 건강한 식단과 스트레스 최소화.
결론
강아지의 아밀로이드증은 드문 질환이지만, 발생 시 심각한 장기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원인 질환 치료가 중요하며, 특히 유전적 소인이 있는 품종에서는 예방적 관리와 정기적인 검진이 필수적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