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바토넬라 감염증(Bartonellosis)
아랑드롱드롱
2024. 12. 22. 05:16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 바토넬라 감염증(Bartonellosis)
바토넬라 감염증은 Bartonella 속의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강아지에서 다양한 임상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벼룩, 진드기, 모기와 같은 절지동물에 의해 전파되며, 세계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강아지에서 가장 흔한 병원체는 Bartonella vinsonii subsp. berkhoffii와 Bartonella henselae입니다.
1. 원인
1.1 병원체
- Bartonella 속은 세포 내에 기생하며, 혈관 내피세포와 적혈구에 감염합니다.
- 강아지에서는 B. vinsonii가 주로 보고되지만, B. henselae(고양이 발톱병의 원인균)와 다른 Bartonella 종도 감염 가능.
1.2 전파 경로
- 절지동물 매개체:
- 벼룩: Bartonella henselae의 주요 전파 경로.
- 진드기: Bartonella vinsonii와 관련됨.
- 동물 간 접촉: 감염된 혈액이나 타액을 통한 전염.
- 환경적 요인: 감염된 매개체와의 접촉 증가.
2. 병리학적 기전
- 세포 내 기생: Bartonella는 적혈구와 혈관 내피세포에 감염하여 생존.
- 혈관 손상: 염증 반응과 함께 혈관염(Vasculitis)이 발생.
- 면역 반응: 감염으로 인해 전신 염증 반응과 면역 매개 조직 손상 발생 가능.
3. 임상 증상
3.1 비특이적 증상
- 발열(간헐적이거나 지속적).
- 무기력, 식욕 부진.
- 체중 감소.
3.2 국소 증상
- 림프절 비대: 주로 말초 림프절이 부어오름.
- 관절염: 절뚝거림, 관절 부종.
- 심장 문제: 심내막염(Endocarditis)이나 심근염.
- 피부 병변: 피부 발진, 궤양.
- 눈 질환: 포도막염, 망막염.
- 출혈: 코피, 점막 출혈.
3.3 만성 감염
- 심장 질환, 신장 질환, 간 손상과 같은 장기적 문제.
4. 진단
4.1 병력 및 증상 확인
- 벼룩, 진드기 노출 여부.
- 임상 증상 및 감염 위험 요인.
4.2 실험실 검사
- 혈액검사:
- CBC: 비정상적인 백혈구 수, 빈혈.
- 생화학 검사: 간 효소 상승, 신장 기능 저하.
- PCR 검사:
- Bartonella DNA를 검출하여 감염 확인.
-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음.
- 혈청학적 검사:
- Bartonella에 대한 항체 존재 확인.
- 항체가 상승이 감염을 의미할 수 있음.
- 배양 검사:
- 특수 배양 기법을 사용하여 Bartonella를 분리.
4.3 영상 진단
- 흉부 및 복부 방사선: 심장비대, 간 비대 확인.
- 심장 초음파: 심내막염의 증거 확인.
5. 치료
5.1 항생제 치료
-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4주 이상 사용, 5-10mg/kg 하루 1~2회.
-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또는 리팜핀(Rifampin): Bartonella 감염에 효과적.
- 항생제 병용 요법:
- 리팜핀 + 독시사이클린 또는 아지트로마이신(Azithromycin)을 사용하여 치료 효과를 높임.
5.2 증상 완화 치료
- 항염증제: 관절염 및 염증 완화.
- 심장 지원 치료: 심내막염 시 적절한 약물 사용.
5.3 합병증 관리
- 심장질환, 간 또는 신장 손상 시 특별한 관리가 필요.
6. 예후
- 조기 진단 및 적절한 치료로 완치 가능성이 높음.
- 만성 감염이나 심각한 합병증이 있는 경우,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예후가 불량할 수 있음.
7. 예방
- 벼룩 및 진드기 관리:
- 적절한 구충제 사용(피프로닐, 이마클로프리드 등).
- 환경 위생 관리:
- 벼룩, 진드기 서식지 제거.
- 건강 관리:
- 정기적인 건강검진으로 조기 발견.
8. 요약
강아지 바토넬라 감염증은 벼룩 및 진드기에 의해 전파되는 세균성 감염으로, 다양한 임상 증상을 유발합니다. 감염의 진단은 PCR 및 혈청학적 검사로 가능하며, 적절한 항생제 치료와 예방 조치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