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기관 질환 (Tracheal Disease in Dogs)
아랑드롱드롱
2025. 2. 11. 07:01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 기관 질환 (Tracheal Disease in Dogs)
강아지의 기관(trachea)은 호흡기를 구성하는 중요한 구조물로, 공기를 폐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관 질환은 강아지에서 흔히 발생하며, 특히 소형견에서 자주 보고됩니다. 기관 질환은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질환으로 기관 허탈 (Tracheal Collapse), 기관염 (Tracheitis), 기관 협착 (Tracheal Stenosis), 종양 (Tumor) 등이 있습니다.
1. 기관 질환의 종류
1) 기관 허탈 (Tracheal Collapse)
가장 흔한 기관 질환으로, 특히 포메라니안, 요크셔 테리어, 치와와, 말티즈, 퍼그, 시츄 등 소형견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 기관 연골의 구조적 약화로 인해 기관이 납작해지면서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질환입니다.
- 선천적(유전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후천적으로 노화, 비만, 기도 자극(과도한 목줄 착용, 흡연, 오염된 공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 증상
- 거위 울음소리(goose honking sound)와 비슷한 건성 기침
- 운동 후 기침 악화
- 심한 경우 호흡 곤란 및 청색증(산소 부족으로 입술이나 혀가 푸르게 변함)
(2) 진단 방법
- 방사선(X-ray): 기관 직경의 감소 확인
- 기관경 검사(Bronchoscopy): 기관의 실제 허탈 정도를 평가
- 플루오로스코피(Fluoroscopy, 동적 X-ray 검사): 실시간 기관 움직임을 확인하여 흡기 및 호기 시 기관 허탈 여부 평가
(3) 치료 방법
- 보존적 치료
- 기침 억제제 (코데인, 부토르파놀 등)
- 기관 확장제 (테오필린, 테루토리올)
- 스테로이드 (염증 완화)
- 체중 관리 및 환경 개선 (담배 연기, 먼지 노출 줄이기)
- 외과적 치료 (심한 경우)
- 기관 스텐트 삽입 (기관을 지지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튜브 삽입)
- 기관 링 삽입 (기관을 강화하는 보형물 사용)
2) 기관염 (Tracheitis)
- 바이러스(켄넬코프, 파라인플루엔자), 세균(보르데텔라 브론키셉티카) 감염으로 인해 기관 점막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 강아지 유행성 호흡기 질환(전염성 기관기관지염, Kennel Cough)의 일환으로 자주 발생합니다.
(1) 증상
- 심한 기침 (보통 마른기침)
- 심하면 구토 유발
- 발열, 무기력증
(2) 치료 방법
- 항생제(독시사이클린,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 기침 억제제 (부토르파놀)
- 기관지 확장제 (살부타몰)
3) 기관 협착 (Tracheal Stenosis)
- 기관의 일부가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 기관 내벽의 과도한 섬유화, 염증 후 유착, 외상 등이 원인입니다.
(1) 증상
- 지속적인 기침
- 호흡 곤란 (특히 운동 시 악화)
(2) 치료 방법
- 기관 확장제, 항염증제 사용
- 심한 경우 수술(기관 확장술) 고려
4) 기관 종양 (Tracheal Tumor)
- 양성(폴립, 유두종) 또는 악성(편평세포암, 림프종 등) 종양이 기관 내에서 성장하는 경우 발생합니다.
- 고령견에서 흔히 발생하며, 장기간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1) 증상
- 만성 기침
- 점점 심해지는 호흡 곤란
- 체중 감소
(2) 치료 방법
- 수술적 절제 (가능한 경우)
- 항암 치료 (림프종 등 일부 종양)
- 증상 완화를 위한 기관 확장제 사용
2. 강아지 기관 질환의 관리 및 예방
1) 환경 관리
- 목줄보다는 가슴줄 사용 (목에 가해지는 압력 최소화)
- 담배 연기, 먼지, 화학물질 노출 줄이기
- 실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 (건조한 공기 피하기)
2) 체중 관리
- 비만한 강아지는 기관에 가해지는 부담이 증가하므로 체중 조절이 중요합니다.
3) 면역력 관리
- 정기적인 백신 접종 (켄넬코프 예방)
- 영양가 있는 식단 유지
4) 조기 진단과 치료
- 기침이 2주 이상 지속되면 수의사 진료 필요
- 심한 경우 즉시 응급 처치 (산소 공급, 기관 삽관)
3. 결론
강아지의 기관 질환은 특히 소형견에서 흔하며, 만성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관리하고,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기관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