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양이 악성종양(암)의 원인

아랑드롱드롱 2025. 2. 22. 18:00
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악성종양(암)의 원인: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복합적 작용

고양이에서 악성종양(암)의 발생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바이러스 감염, 만성 염증, 환경 독소 등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일부 종양은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 (Genetic Factors)

고양이에서도 특정 암이 유전적으로 취약한 품종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1) 유전적 소인 (Breed Predisposition)

  • 림프종 (Lymphoma) → 샴, 페르시안, 메인쿤
  • 편평상피세포암 (Squamous Cell Carcinoma, SCC) → 흰색 털을 가진 고양이 (예: 흰 페르시안, 터키시 앙고라)
  • 섬유육종 (Fibrosarcoma) → 모든 품종에서 발생 가능하나 백신 접종 부위 관련 발생 증가
  • 유선암 (Mammary Carcinoma) → 샴 고양이에서 발생률 증가
  • 혈관육종 (Hemangiosarcoma) → 삼색털(칼리코)과 같은 특정 색을 가진 고양이에서 발생 가능성 증가

이처럼 특정 암에 대한 유전적 감수성이 높은 품종이 있으며, 유전적 돌연변이가 암 발생과 관련이 있습니다.

2) 유전자 돌연변이 (Genetic Mutations)

고양이의 암에서도 종양억제유전자(Tumor Suppressor Gene)와 원종양유전자(Proto-oncogene) 돌연변이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p53 유전자 돌연변이 → 피부암(편평상피세포암, SCC) 증가
  • KIT 유전자 돌연변이 → 비만세포종(Mast Cell Tumor, MCT) 발생 증가

2. 환경적 요인 (Environmental Factors)

고양이는 실내 생활을 많이 하지만, 발암물질이나 방사선, 환경 스트레스 등이 암 발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1) 화학적 발암물질 (Carcinogens)

  • 담배 연기 → 림프종, 구강암 발생 증가
  • 농약 및 화학물질(살충제, 제초제) → 혈관육종, 림프종 위험 증가
  • 방부제가 많은 가공 사료 → 소화기계 암 위험 증가

2) 방사선과 자외선 노출

  • 자외선(UV) 노출 → 피부암(편평상피세포암) 증가
    • 흰색 털을 가진 고양이 (예: 흰 페르시안, 터키시 앙고라)에서 특히 위험
    • 귀, 코, 눈 주위 피부에서 발생 빈도 높음
  • X-ray 및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 → 골육종(뼈암), 백혈병 발생 가능

3) 만성 염증과 외상

  • 만성 치은염 및 구내염 → 구강암(편평상피세포암, SCC) 위험 증가
  • 염증성 장 질환(IBD) → 장 림프종으로 발전 가능성 증가

3. 바이러스 및 세균 감염

고양이에서는 특정 바이러스 감염이 암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1)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FeLV, Feline Leukemia Virus)

  • FeLV 양성인 고양이는 림프종 발생 확률이 약 60배 증가
  • 골수암(백혈병), 림프종, 골육종 등과 연관

2)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FIV,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 면역 기능 저하 → 암 억제 기능 감소 → 림프종 발생 가능성 증가
  • FeLV와 동시 감염된 경우 암 발생 확률 더욱 높음

3) 파필로마바이러스 (Feline Papillomavirus)

  • 편평상피세포암(SCC) 발생과 연관

4. 호르몬 요인 (Hormonal Factors)

1) 유선암 (Mammary Tumors)

  • 암컷 고양이의 유선암(유방암)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과 관련
  • 중성화 시기가 유선암 위험에 중요한 역할
    • 6개월 이전 중성화 → 유선암 위험 91% 감소
    • 1세 이전 중성화 → 유선암 위험 86% 감소
    • 이후 중성화 → 위험도 증가

2) 부신 종양 및 내분비계 이상

  •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해 내분비성 종양이 발생할 수 있음

5. 생활 습관 요인 (Lifestyle Factors)

1) 비만과 대사 장애

  • 비만한 고양이는 유선암, 간암, 췌장암 위험 증가
  • 지방 조직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TNF-α) 분비 증가 → 암 발생 위험 증가

2) 식습관

  • 저품질 사료나 방부제 포함 사료 → 소화기계 암(위암, 장암) 증가 가능성
  • 항산화 성분이 부족한 식단 → DNA 손상 증가

6. 노화 (Aging)

  • 10세 이상 고양이에서 암 발생률 급격히 증가
  • 면역 기능 저하로 인해 암세포 제거 능력 감소
  • 노령 고양이에서 흔한 악성종양:
    • 림프종(Lymphoma)
    • 유선암(Mammary Carcinoma)
    • 구강암(Squamous Cell Carcinoma, SCC)

결론

고양이에서 악성종양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생활 습관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 유전적으로 특정 품종이 암 발생 위험이 높으며, 종양억제유전자(p53 등) 돌연변이가 암 발생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FeLV(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FIV(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이 암 발생 위험을 크게 증가시킵니다.
  • 자외선 노출, 방사선, 화학물질(담배 연기, 농약) 등의 환경적 요인도 종양 발생과 연관이 깊습니다.
  • 중성화 시기, 비만 관리, 건강한 식습관이 암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노령 고양이는 악성종양 위험이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FeLV, FIV 예방 및 정기 검진
6개월 이전 중성화 (유선암 예방)
건강한 식습관(신선한 단백질과 항산화 성분 포함)
실내 생활 유지 및 발암물질 노출 최소화
자외선 차단 (특히 흰 고양이의 경우)
정기 건강검진(특히 7세 이상 노령묘는 암 조기 발견이 중요)

고양이의 악성종양은 조기 발견이 치료에 매우 중요하므로, 암이 의심될 경우 빠른 수의학적 검사 및 치료가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