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세침 흡인 생검(Fine-Needle Aspiration, FNA)과 세침 생검(Fine-Needle Biopsy, FNB)

아랑드롱드롱 2025. 2. 23. 06:39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 세침 흡인 생검(Fine-Needle Aspiration, FNA)과 세침 생검(Fine-Needle Biopsy, FNB)

세침을 이용한 검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세침 흡인 검사(FNA, Fine-Needle Aspiration): 주사기를 연결하여 음압을 걸어 세포를 흡인하는 방식
  • 세침 생검(FNB, Fine-Needle Biopsy): 음압을 걸지 않고 바늘로 조직을 절제하여 확보하는 방식

하지만 일반적으로 세침을 이용한 검사는 FNA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세침 흡인 생검(FNA)과 세침 생검(FNB)의 차이점

구분            세침 흡인 생검 (FNA)                               세침 생검 (FNB)

방법 바늘을 삽입 후 음압을 걸어 세포를 흡인 바늘을 삽입 후 절개하듯이 움직여 조직을 확보
얻는 샘플 세포 단위의 검체 (Cytology) 미세한 조직 단위의 검체 (Histology)
장점 간단하고 최소 침습적, 빠른 결과 확인 가능 조직 구조까지 평가 가능, 더 많은 정보 제공
단점 세포의 구조적 배열이 보이지 않음, 감별진단이 어려울 수 있음 FNA보다 조금 더 침습적이며 시간 소요 가능

2. 세침 생검(FNA/FNB)의 적응증 (언제 시행하는가?)

세침 검사는 다양한 병변에 대해 시행됩니다.

  1. 종괴 (Tumor)
    • 피부, 피하, 장기(간, 신장, 림프절 등)에 발생한 혹이나 덩어리
    • 양성인지 악성인지 감별
  2. 림프절 비대
    • 감염성 or 종양성 여부 확인
  3. 체액(삼출액, 복수, 흉수 등) 검사
    • 염증성인지 종양성인지 평가
  4. 감염성 병변
    • 화농성 염증, 결절성 병변, 감염성 종괴
  5. 장기 평가 (초음파 유도 하에 시행)
    • 간, 신장, 비장, 췌장, 폐 등 장기의 병변 평가

3. FNA/FNB의 시행 방법

(1) 준비 과정

  • 강아지 보정: 움직임 방지를 위해 적절한 보정 필요
  • 소독: 알코올 또는 포비돈-아이오딘 소독
  • 마취 여부: 일반적으로 무마취, 하지만 장기 조직에서는 진정제 사용 가능

(2) 시행 방법

세침 흡인 생검(FNA) 방법

  1. 주사기(22~25G바늘)와 3~10mL 주사기 준비
  2. 병변을 촉진하여 바늘을 삽입
  3. 음압을 걸어 세포를 흡인 (3~5회 정도 반복)
  4. 바늘을 제거한 후 슬라이드에 도포
  5. 도말 후 염색 (Diff-Quik, Giemsa, Wright 염색 등)

세침 생검(FNB) 방법

  1. 바늘만 이용하여 병변에 삽입
  2. 바늘을 전후좌우로 움직여 조직을 채취
  3. 슬라이드 또는 포르말린 용액에 담아 조직 병리 분석

4. 검사 후 결과 해석

세침 검사는 세포를 평가하는 검사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염증성 병변
    • 화농성, 림프구성, 육아종성 염증
    • 감염성 원인 확인 (박테리아, 곰팡이, 기생충 등)
  2. 양성 종양
    • 지방종, 섬유종, 유두종, 혈관종 등
  3. 악성 종양
    • 육종(sarcoma), 상피세포암(carcinoma), 림프종(lymphoma) 등
  4. 비특이적 반응
    • 혈액만 흡인되거나 진단이 어려운 경우 추가 조직 검사 필요

5. 세침 생검(FNA/FNB)의 장점과 한계

장점

  • 빠르고 간단한 검사
  • 비침습적이며 마취 없이 시행 가능
  • 비용이 저렴하고 결과 확인이 빠름

한계

  • 세포 형태만 평가 가능 (조직 구조를 볼 수 없음)
  • 일부 종양(예: 섬유육종)의 경우 정확도 낮음
  • 혈액이 많으면 평가가 어려울 수 있음

6. 세침 생검 후 주의 사항

  • 출혈, 멍, 감염 등의 합병증 주의
  • 부작용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
  • 병변이 계속 자라거나 추가 검사가 필요하면 조직 생검 고려

7. 초음파 유도 세침 생검 (Ultrasound-guided FNA/FNB)

복부 장기(간, 신장, 비장, 췌장, 폐 등)에 대한 세침 검사는 초음파 유도하에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실시간으로 바늘의 위치를 확인하며 조직을 채취
  • 신속하고 안전하게 조직 확보 가능
  • 최소 침습적인 방법으로 장기 손상 위험 감소

결론

세침 흡인 생검(FNA)과 세침 생검(FNB)은 강아지의 종괴나 림프절 비대 등 다양한 병변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진단 방법입니다.

  • FNA는 세포학적 검사로 빠르고 간단하지만, 조직 구조를 볼 수 없다는 한계가 있음
  • FNB는 조직 구조까지 확인 가능하여 좀 더 정확한 진단이 가능
  • 적절한 경우 초음파 유도 하에 시행하여 안전성과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음

필요한 경우 조직 생검(excisional biopsy)과 병행하여 최종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