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양이 위내 기생충 (Stomach Worms in Cats)

아랑드롱드롱 2025. 3. 3. 18:52
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위내 기생충 (Stomach Worms in Cats)

고양이에서 위에 국한되어 기생하는 기생충은 드물지만, 특정 기생충이 위점막에 기생하면서 만성 구토나 체중 감소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위내 기생충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Ollulanus tricuspis입니다.


1. 주요 고양이 위내 기생충 종류

기생충 명칭                학명                     특징

올룰라누스 트리쿠스피스 Ollulanus tricuspis 가장 대표적인 고양이 위내 기생충, 소형 선충
가스트로필루스 종 Gasterophilus spp. 드물게 보고, 말 기생충이나 위에서 발견 사례 존재
스피로세르카 룸발리스 Spirocerca lupi 매우 드물게 보고, 주로 식도 기생충이지만 위 침범 가능

이 중에서 Ollulanus tricuspis가 고양이 위내 기생충의 대표 주자입니다.


2. Ollulanus tricuspis의 특징

항목                        내용

분류 선충류 (Nematode)
크기 암컷 약 0.8~1.0 mm, 수컷 약 0.7 mm
서식 부위 위 점막 및 점액층
생존 환경 위산이 있는 환경에서도 생존 가능
생활사 직접 생활사 (토사물 통해 전파)
전파 방법 감염된 고양이의 토사물을 섭취할 때 감염

3. 감염 경로

  • 감염 고양이의 토사물 섭취가 가장 흔한 전파 경로입니다.
  • 외부 환경에서는 충란(egg)이 아닌 유충 또는 성충이 토사물에 포함되어 전염됩니다.
  • 다묘가정, 보호소, 야생 고양이 집단 등에서 감염률이 높습니다.

4. 병리 작용

  • 위 점막에 기생하여 만성 위염을 유발합니다.
  • 점막 자극 → 미란, 궤양 형성 가능
  • 위산 분비 이상
  • 위장관 운동성 저하
  • 만성 구토 및 소화불량 유발

5. 임상 증상

증상                                설명

만성 구토 식사 후 반복적인 구토
식욕 감소 위 불편감으로 식사량 저하
체중 감소 만성 소화불량 및 영양 흡수 저하
탈수 반복적 구토로 인한 수분 손실
드물게 설사 위염과 병발 가능

6. 진단 방법

병력 청취

  • 만성 구토 여부
  • 다묘가정 여부, 감염 개체 접촉 여부

신체 검사

  • 탈수, 위부 통증 여부 확인

토사물 검사 (핵심)

  • 신선한 토사물 채취 후 현미경 검사로 성충 관찰
    (충란이 아닌 성충 형태로 발견)

내시경 검사

  • 위 점막의 미란, 충체 관찰 가능
  • 점막 생검으로 병리학적 위염 확인

분변 검사

  • 효과 낮음 (충란이 거의 배출되지 않음)

7. 치료

치료법                   약제/방법

구충제 투여 Fenbendazole (펜벤다졸): 5일 이상 투여 권장
  Levamisole (레바미솔)
  Ivermectin (이버멕틴)도 사용 가능 (주의해서 사용)
보조 치료 위 보호제 (수크랄페이트 등)
  항구토제 (Ondansetron, Maropitant 등)
  수액 요법 (탈수 보충)
식이 관리 소화가 잘 되는 사료 제공 (저지방, 고소화성)

※ 재감염 방지를 위해 다묘가정에서는 모든 고양이 동시 구충 권장.


8. 예후

  •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히 구충 치료를 하면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감염이 오래되었거나 반복되면 위 점막 손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구토가 지속된다면 위내시경 등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9. 예방

  • 다묘가정, 보호소에서 토사물 빠르게 치우기
  • 감염 의심 개체 격리 및 신속한 치료
  • 정기적 구충 (3~6개월 주기)
  • 야생 고양이와 접촉 제한
  • 정기 건강검진 및 토사물 관찰

10. 참고 사항

  • Ollulanus tricuspis는 위산 환경에서도 생존 가능하여 일반적인 소화기 기생충보다 치료가 까다로운 편입니다.
  • 토사물 검사로만 진단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신선한 토사물 확보가 중요합니다.
  • 사람에게 전염된 사례는 거의 없지만 위생 관리가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