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만성장병증(Chronic Enteropathy, CE)

아랑드롱드롱 2025. 3. 7. 07:04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 만성장병증(Chronic Enteropathy, CE)은 장기간(보통 3주 이상) 지속되거나 재발하는 위장관 증상을 보이는 만성적인 장 질환을 의미합니다. 주로 설사, 구토, 체중 감소, 식욕 저하, 복부 팽만감 등의 증상을 보이며, 병리학적 원인이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드릴게요.


1. 정의

만성장병증(CE)은 최소 3주 이상 지속되거나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소화기 증상을 보이며, 다른 원인(기생충, 감염, 종양 등)을 배제한 후 진단되는 만성 염증성 장 질환의 범주입니다.
주로 면역 반응 이상, 장내 미생물 불균형, 음식에 대한 과민반응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발생합니다.


2. 원인에 따른 분류

만성장병증은 크게 치료 반응성에 따라 4가지로 분류합니다.

분류                                               특징                                   치료

Food-Responsive Enteropathy (FRE) 음식 성분(단백질 등)에 대한 과민반응 제한적 식이(단일 단백질, 저알레르기 식이)
Antibiotic-Responsive Enteropathy (ARE) 장내 세균 불균형에 따른 장 염증 항생제 투여(메트로니다졸, 독시사이클린 등)
Immunosuppressant-Responsive Enteropathy (IRE) 자가면역 반응 또는 염증성 장질환 (IBD) 면역억제제(스테로이드, 사이클로스포린 등)
Non-Responsive Enteropathy (NRE) 위 치료에도 반응 없는 경우 (림프종 등 가능성) 추가 검사 후 종양 치료 등

3. 증상

  • 만성 설사 (소장형 or 대장형)
  • 반복적 구토
  • 식욕 부진 또는 식욕 증가
  • 체중 감소
  • 복부 통증, 팽만
  • 변의 혈액(혈변) or 점액
  • 드물게 발열

4. 진단 접근법

Step 1: 기초 검사

  • CBC (빈혈, 염증 확인)
  • 생화학 (단백질, 알부민 저하 여부)
  • 전해질 검사
  • TLI, cPLI (췌장 질환 감별)
  • Giardiasis, 기생충 검사
  • 장내 세균균총 검사

Step 2: 영상 검사

  • 복부 초음파: 장벽 비후, 장운동성, 림프절 확인
  • 방사선: 장 가스 분포, 이물질 확인

Step 3: 식이 시험 (Elimination Diet Trial)

  • 6~8주간 저알레르기 식이 (가수분해 단백질, 새로운 단백질 식이)

Step 4: 항생제 시험

  • 2~3주간 항생제(메트로니다졸,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등) 사용 후 반응 관찰

Step 5: 내시경 + 생검

  • 위장관 점막 조직 검사로 염증세포 침윤, 림프구/형질세포 확인
  • 림프종 감별

5. 치료

치료는 원인 분류에 따른 맞춤형 치료가 원칙입니다.

식이 조절

  • 단백질 원을 제한하거나 새로운 단백질로 교체
  • 가수분해 단백질 사료
  • 저지방 사료 사용 (특히 림프관 확장증이 동반된 경우)

약물 치료

  • 항생제: 메트로니다졸, 독시사이클린
  • 면역억제제: 프레드니솔론, 부데소니드, 사이클로스포린
  • 프로바이오틱스: 장내 균형 조절
  • 오메가-3 지방산: 항염 작용
  • 지사제, 위산 억제제, 항구토제 등 보조적 처치

보조 치료

  • 저알부민혈증이 심한 경우 수액 요법
  • 출혈, 탈수 보정
  • 비타민 B12 보충 (장 흡수 저하 시)

6. 예후

  • FRE: 가장 예후가 좋으며, 식이만으로 조절 가능.
  • ARE: 항생제 중단 후 재발률 있음.
  • IRE: 장기적 면역억제 필요, 일부에서 완치 어려움.
  • NRE: 림프종, 종양 등은 예후 불량.

7. 요약

강아지 만성장병증은 복합적인 원인이 얽힌 질환이므로, 체계적인 진단 과정을 통해 원인을 구분하고, 적절한 치료 전략을 세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식이 반응성 여부 확인이 핵심이며, 내시경적 생검은 감별 진단에 큰 도움을 줍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