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양이 심낭질환(Pericardial Disease in Cats)
아랑드롱드롱
2025. 3. 10. 08:22
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심낭질환(Pericardial Disease in Cats)
1. 개요
고양이에서 심낭질환(Pericardial Disease)은 상대적으로 드문 질환이지만, 심낭삼출(pericardial effusion)이나 심낭염(pericarditis)이 발생하면 심박출량 감소와 심부전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강아지보다 심낭질환의 빈도가 낮고, 특발성(idiopathic) 원인보다는 심근질환, 종양, 감염성 질환과 연관된 경우가 많습니다.
2. 고양이 심낭의 해부학적 구조 및 기능
(1) 심낭의 구조
- 장측 심낭(visceral pericardium, epicardium): 심장을 덮고 있는 얇은 막
- 벽측 심낭(parietal pericardium): 바깥쪽을 둘러싸며 섬유층을 포함
- 심낭강(pericardial cavity): 두 층 사이에 위치한 공간으로, 윤활을 위한 소량의 액체가 존재
(2) 심낭의 기능
- 심장을 보호하고 급격한 확장을 방지
- 심장 박동 시 마찰을 줄이는 역할 수행
3. 고양이에서 발생하는 주요 심낭질환
고양이의 심낭질환은 일반적으로 심근병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과 같은 심장 질환과 관련되며, 종양이나 감염성 질환이 원인일 가능성이 큽니다.
(1) 심낭삼출(Pericardial Effusion)
① 정의
심낭강 내에 비정상적인 양의 액체가 축적되는 상태로, 심장을 압박하여 혈류 역학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② 원인
- 심근질환:
- 비대성 심근병증(HCM,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고양이에서 가장 흔한 심장병
- 제한성 심근병증(RCM, Restrictive Cardiomyopathy)
- 종양:
- 림프종(lymphoma)
- 혈관육종(hemangiosarcoma)
- 장막종(mesothelioma)
- 감염성 요인:
- 전신적 감염(FeLV, FIV, FIP 등)
- 화농성 심낭염(purulent pericarditis, 세균 감염)
- 염증성 원인: 면역 매개 질환, 특발성 심낭염
- 출혈성 원인: 외상, 응고 장애
③ 임상 증상
- 운동 불내성, 무기력
- 호흡곤란(pleural effusion 동반 가능)
- 식욕 감소 및 체중 감소
- 복수(Ascites) 또는 흉수(Pleural effusion) 동반
④ 진단
- 흉부 X-ray: 심장이 둥글게 확대된 모습 (water bottle heart)
-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심낭강 내 액체 확인 가능
- 심전도(ECG): 저전압 QRS 복합파, 전기적 교대현상(Electrical alternans)
- 심낭천자(Pericardiocentesis): 삼출액 분석 (혈성, 장액성, 염증성)
⑤ 치료
- 응급 시 심낭천자(Pericardiocentesis) 시행
- 기저 질환(종양, 감염 등) 치료
- 만성적인 경우 심낭절제술(Pericardiectomy) 고려
(2) 심낭염(Pericarditis)
① 정의
심낭의 염증성 질환으로, 세균 감염, 바이러스 감염, 면역매개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음.
② 원인
- 전염성 복막염(FIP,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심낭삼출의 주요 원인
- 바이러스 감염: FeLV, FIV
- 세균 감염: 패혈증과 연관됨
- 면역 매개 질환
③ 임상 증상
- 발열, 무기력
- 호흡 곤란 및 복부 팽만
- 식욕 부진
④ 진단
- 심초음파: 염증성 삼출 확인
- 혈액검사: 염증 지표 상승(CRP, WBC)
⑤ 치료
- 원인에 따라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면역억제제 사용
(3) 심낭종양(Pericardial Tumors)
① 주요 종양 유형
- 림프종(Lymphoma): FeLV 양성 고양이에서 흔함
- 장막종(Mesothelioma)
- 혈관육종(Hemangiosarcoma)
② 증상 및 진단
- 심낭삼출과 유사한 증상
- 심초음파로 종양 덩어리 확인 가능
- 세포학적 검사 및 조직검사 필요
③ 치료 및 예후
- 종양에 따라 항암 치료 또는 외과적 절제 시행
- 림프종은 항암 치료 반응이 좋지만, 혈관육종의 예후는 불량
(4) 심장눌림(심장압전, Cardiac Tamponade)
① 정의
- 심낭삼출이 심장을 압박하여 심박출량 감소를 유발하는 응급 상황
② 증상
- 쇼크 상태, 저혈압
- 호흡 곤란
- 심음 감소
③ 치료
- 응급 심낭천자 시행
- 기저 원인(종양, 감염) 치료
4. 고양이 심낭질환과 개의 차이점
구분 강아지 고양이
발생 빈도 | 흔함 | 드물음 |
주요 원인 | 특발성(idiopathic), 종양 | 심근병증(HCM), 감염(FIP) |
종양 유형 | 혈관육종, 심장기저부 종양 | 림프종, 장막종 |
임상 증상 | 심부전, 복수 | 호흡곤란, 식욕 감소 |
진단 방법 | 심초음파, X-ray | 심초음파, X-ray, 바이러스 검사 |
치료 | 심낭천자, 심낭절제술 | 원인 치료(FIP, HCM, 종양) |
5. 결론 및 예후
고양이 심낭질환은 비교적 드물며, 주로 비대성 심근병증(HCM) 또는 감염성 질환(FIP 등)과 관련 있습니다. 진단은 심초음파가 가장 중요하며, 치료는 기저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고양이에서 심낭절제술은 드물게 시행되며, 예후는 기저 질환(예: HCM, 림프종)에 따라 다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