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양이 심혈관계 퇴행성 질환(Degenerative Cardiovascular Disease)

아랑드롱드롱 2025. 3. 15. 19:12
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심혈관계 퇴행성 질환(Degenerative Cardiovascular Disease)

고양이에서 발생하는 심혈관계 퇴행성 질환은 개와는 다소 다른 특징을 보입니다. 특히, 개에서 흔한 승모판 폐쇄부전증(MVI)은 고양이에서는 드물고, 대신 비대성 심근병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이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고양이는 심혈관 질환이 진행될 때까지 뚜렷한 증상이 없을 수 있어 무증상기에도 정기적인 검진이 매우 중요합니다.


1. 비대성 심근병증(HCM, Hypertrophic Cardiomyopathy)

개요

  • 고양이에서 가장 흔한 심장 질환(전체 심장 질환의 약 60~70%)
  • 메인쿤, 랙돌, 페르시안, 브리티시 쇼트헤어 등 특정 품종에서 유전적 소인이 강함
  • 좌심실 벽이 비대해지면서 심실의 용적이 감소하고 심박출량 감소 및 이완 기능 장애 발생
  • 심한 경우 좌심방 내 혈전(Thrombus) 형성 → 전신 혈전색전증(FATE) 발생 가능

병태생리

  1. 좌심실 벽이 두꺼워짐 → 좌심실 용적 감소
  2. 심실 이완 기능 저하(Diastolic dysfunction) → 혈류 저하
  3. 좌심방 확장 → 혈전 형성 위험 증가
  4. 진행되면 좌심부전(폐부종, 흉수) 발생
  5. 전신 혈전색전증(FATE, Feline Arterial Thromboembolism) 발생 가능

증상

무증상(초기) → 정기 검진에서 우연히 발견
심부전 진행 시:

  • 호흡곤란, 개구호흡
  • 활동량 감소
  • 식욕 저하
    혈전색전증(FATE) 발생 시:
  • 후지 마비(뒷다리 마비)
  • 통증, 발가락이 차가워짐
  • 급성 쇼크

진단

청진: 심잡음(하지만 일부에서는 정상 청진음)
흉부 X-ray:

  • 심비대 확인(특히 좌심방 확장)
  • 폐부종, 흉수 확인 가능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 좌심실 비대, 좌심방 확장
  • 혈전 유무 확인
    혈압 측정: 고혈압 동반 여부 확인
    심전도(ECG): 비정상 리듬 확인(심방세동 가능)

치료

무증상 HCM: 정기적 모니터링
심부전 진행 시:

  • Beta-blocker(Atenolol, Propranolol) → 심박수 조절
  • 칼슘 채널 차단제(Diltiazem) → 심근 이완 촉진
  • 이뇨제(Furosemide, Spironolactone) → 폐부종 조절
    혈전색전증(FATE) 발생 시:
  • 항응고제(Clopidogrel, Heparin) 사용
  • 강력한 통증 조절(Morphine 등)
  • 예방적 항응고제 사용(Plavix)

2. 확장성 심근병증(DCM, Dilated Cardiomyopathy)

개요

  • 현재는 매우 드문 질환(타우린 결핍이 주요 원인)
  • DCM은 주로 대형견에서 호발하지만, 고양이에서도 타우린 결핍 시 발생
  • 좌심실 확장 및 심근 수축력 감소로 심부전 진행

병태생리

  1. 타우린 결핍 → 심근 기능 저하
  2. 좌심실 확장 및 수축력 감소
  3. 심박출량 감소 → 좌심부전 진행
  4. 폐부종, 흉수 발생

증상

  • 호흡곤란, 개구호흡
  • 운동불내성
  • 폐부종, 흉수로 인해 호흡음 변화

진단

흉부 X-ray: 심비대 확인
심초음파: 좌심실 확장, 수축력 저하
혈중 타우린 검사

치료

타우린 결핍이 원인일 경우타우린 보충제(Taurine 250-500mg/day) 투여
부전 진행 시:

  • Pimobendan(강심제)
  • ACE 억제제
  • 이뇨제

3. 일차성 고혈압(Primary Hypertension)

개요

  • 고양이에서 신장질환(CKD), 갑상샘기능항진증(Hyperthyroidism), 당뇨병과 연관
  • 만성적으로 진행되며 심근 비대 및 망막 박리(실명) 초래

증상

  • 대부분 무증상
  • 심한 경우 망막 출혈 및 실명

진단

혈압 측정(>160 mmHg 시 고혈압 의심)
망막 검사(출혈, 박리 확인)

치료

칼슘 채널 차단제(Amlodipine) → 혈압 조절
저염식 식이 관리


4. 전신 혈전색전증(FATE, Feline Arterial Thromboembolism)

개요

  • HCM 환자의 주요 합병증
  • 좌심방 내 혈전 → 대동맥으로 이동 → 후지 마비 초래
  • 사망률이 높음

증상

  • 갑작스러운 뒷다리 마비
  • 심한 통증, 차가운 발
  • 쇼크, 호흡곤란

치료

초기 응급 처치:

  • 통증 조절(Morphine, Fentanyl)
  • 혈전 용해 치료(Heparin, Clopidogrel)
    예방적 항응고제(Plavix) 사용

5. 결론 및 관리

고양이는 심혈관 질환이 진행될 때까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기적인 심장 검진 필수
HCM은 유전적 요인이 강하므로 유전적 소인이 있는 품종(메인쿤, 랙돌 등)은 조기 검진 권장
HCM 환자는 항응고제(Plavix) 예방적 사용 고려
고양이는 개와 다르게 승모판 질환보다는 심근 질환(HCM, DCM)이 더 흔함

요약:

  • 비대성 심근병증(HCM)이 가장 흔함
  • 혈전색전증(FATE) 발생 위험이 높음
  • 타우린 결핍으로 인한 DCM은 현재 드물지만 여전히 고려해야 함
  • 고혈압이 망막 및 심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혈압 관리 중요

고양이 심혈관계 질환은 조기 발견과 예방적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유전적 소인이 있는 품종에서는 정기적인 심초음파 검사가 권장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