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비강과 부비동의 질병
아랑드롱드롱
2025. 3. 25. 18:10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의 비강과 부비동(부비동, Paranasal Sinuses)은 호흡기 및 후각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다양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질병을 해부학적 구조, 병인, 증상, 진단, 치료 방법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비강(Nasal Cavity) 및 부비동(Paranasal Sinuses)의 해부학적 구조
강아지의 비강은 코를 통해 들어온 공기를 여과하고 가습하며, 후각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부비동은 두개골 내부의 공기로 차 있는 공간으로, 주로 전두동(Frontal Sinus)과 상악동(Maxillary Sinus)이 존재합니다.
- 비강 구조:
- 비강 내벽은 점막으로 덮여 있으며, 점액 분비를 통해 공기를 가습하고 이물질을 걸러냄.
- 코안에는 코선반(Nasal Turbinates, Ethmoturbinates)이 있어 공기 흐름을 조절함.
- 부비동 구조:
- 전두동(Frontal Sinus): 전두골 내 위치, 감염 시 화농성 삼출물이 축적될 가능성이 있음.
- 상악동(Maxillary Sinus): 상악골 내부 위치, 치근 감염과 관련될 수 있음.
2. 주요 비강 및 부비동 질환
(1) 비염(Rhinitis)
① 감염성 비염 (Infectious Rhinitis)
- 원인: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감염
- 바이러스성: 개 인플루엔자(Influenza), 개 파라인플루엔자(Parainfluenza), 개 디스템퍼(Canine Distemper)
- 세균성: Bordetella bronchiseptica, Pasteurella, Pseudomonas 등
- 곰팡이성: Aspergillus 감염(특히 돌출코를 가진 품종에서 흔함)
- 증상:
- 콧물(장액성, 점액성 또는 화농성)
- 재채기, 코막힘
- 후각 감소
- 중증 감염 시 비출혈
- 진단:
- 비강 내시경 검사(Rhinoscopy)
- 세균 및 곰팡이 배양 검사
- PCR 검사(바이러스 감염 확인)
- 방사선 및 CT 촬영(만성 비염 및 부비동 침범 확인)
- 치료:
- 원인균에 따라 항생제(세균 감염 시), 항진균제(곰팡이 감염 시) 투여
- 항염증제 및 점액 용해제 사용
- 네블라이저(증기 흡입 치료) 사용
② 알레르기성 비염 (Allergic Rhinitis)
- 원인: 꽃가루, 먼지, 곰팡이 포자, 집먼지진드기 등
- 증상: 재채기, 가려움, 맑은 콧물, 간헐적 코막힘
- 진단: 피부 알레르기 검사, 혈청 IgE 검사
- 치료: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환경 개선
(2) 비강 종양(Nasal Tumors)
- 종류:
- 악성: 선암(Adenocarcinoma), 편평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 섬유육종(Fibrosarcoma)
- 양성: 유두종(Papilloma), 폴립(Polyp)
- 증상:
- 지속적인 비출혈(Epistaxis)
- 비대칭적인 코 변형
- 코에서 악취 나는 분비물
- 심한 코막힘
- 진단:
- 비강 CT 또는 MRI
- 조직 생검(Biopsy)
- 방사선 촬영
- 치료:
- 외과적 절제(가능한 경우)
- 방사선 치료
- 화학요법(전이 위험이 있는 경우)
(3) 곰팡이성 비부비동염(Fungal Rhinosinusitis)
- 원인: Aspergillus fumigatus 감염
- 호발 품종: 돌출코가 있는 품종(보더 콜리, 골든 리트리버)
- 증상:
- 악취를 동반한 화농성 콧물
- 심한 비출혈
- 코 구조의 침식으로 인한 얼굴 변형
- 진단:
- 비강 내시경 검사
- CT 촬영(골 파괴 확인)
- 곰팡이 배양 검사
- 치료:
- 국소 항진균제(클로트리마졸) 비강 내 주입
- 전신 항진균제(이트라코나졸) 투여
(4) 비강 이물(Nasal Foreign Body)
- 원인: 풀씨, 작은 돌, 나뭇조각 등의 흡입
- 증상:
- 갑작스러운 심한 재채기
- 한쪽 비강에서만 콧물 배출
- 발작적인 코 비빔
- 진단:
- 비강 내시경 검사
- 방사선 또는 CT 촬영
- 치료:
- 내시경을 이용한 이물 제거
- 국소 항염 치료
(5) 치성 비부비동염(Dental Rhinosinusitis)
- 원인: 상악 치아 감염(특히 4번 전구치) → 상악동으로 전파
- 증상:
- 화농성 콧물
- 입 냄새(구취)
- 얼굴 부종
- 진단:
- 치과 방사선 검사
- 구강 검사
- 치료:
- 감염된 치아 발치
- 항생제 및 소염제 투여
3. 진단 및 영상진단학적 접근
- 방사선 촬영(X-ray)
- 비강 내 종양, 만성 비염, 이물, 치성 감염 평가
- CT/MRI
- 비강 내 구조 평가(종양, 곰팡이 감염, 부비동 침범 여부)
- 비강 내시경(Rhinoscopy)
- 직접적인 병변 관찰 및 생검
- 세균 배양 및 PCR 검사
- 감염성 병원체 확인
4. 치료 및 예후
- 감염성 질환은 적절한 항생제 또는 항진균제 투여 시 치료 가능
- 종양의 경우 조기 발견이 중요하며, 치료 후 재발 가능성이 높음
- 만성 비염은 장기적인 관리가 필요
강아지의 비강 및 부비동 질환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영상진단을 적극 활용하여 병변을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