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하부기도 질병 (Lower Respiratory Tract Diseases in Dogs)
아랑드롱드롱
2025. 3. 28. 07:55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 하부기도 질병 (Lower Respiratory Tract Diseases in Dogs)
하부기도(lower respiratory tract)는 기관(trachea), 기관지(bronchi), 세기관지(bronchioles), 폐(폐포 포함, alveoli)로 구성됩니다. 하부기도 질환은 주로 기관, 기관지, 폐에 염증, 감염, 기도 폐쇄, 종양, 면역계 이상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기관(trachea) 및 기관지(bronchi)의 질환
1) 기관허탈 (Tracheal Collapse)
개요
- 소형견(특히 요크셔테리어, 포메라니안, 말티즈 등)에서 흔히 발생하는 만성 진행성 질환으로, 기관 연골이 약해지면서 기관이 납작해지는 질환입니다.
증상
- 거위 울음 같은 기침(honking cough)
- 운동 후 또는 흥분 시 심해지는 기침
- 심한 경우 호흡곤란
진단
- 측면 흉부 방사선 촬영(X-ray)
- 기관조영술(Fluoroscopy): 실시간 기관 움직임 관찰
- 기관내시경(Tracheoscopy): 직접 기관의 허탈 확인
치료
- 경증: 체중 관리, 기침 억제제(코데인, 부토르파놀), 기관지확장제(테오필린)
- 중증: 기관 내 스텐트 삽입 또는 외과적 교정
2) 기관지염(Bronchitis)
개요
- 만성 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은 비감염성 염증성 질환으로, 지속적인 기관지 염증으로 인해 점액 분비 증가와 기도 협착이 발생합니다.
- 세균성 기관지염(Bacterial Bronchitis)은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며, 바이러스성 호흡기 감염 이후 2차 감염으로 흔히 나타납니다.
증상
- 만성 기침(주로 마른기침)
- 점액 또는 화농성 객담
- 심한 경우 호흡곤란
진단
- 흉부 방사선 촬영(X-ray)에서 기관지 벽 비후(bronchial thickening)
- 기관지세척검사(BAL, Bronchoalveolar Lavage)로 염증세포 및 감염원 확인
치료
- 스테로이드(프레드니솔론)로 염증 조절
- 기관지확장제(살부타몰)
- 항생제(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사용 (세균성 감염 시)
3) 기관지협착(Bronchial Stenosis)
개요
- 기도 내부가 좁아져서 호흡이 어려워지는 질환으로, 선천적(드물게) 또는 만성 염증 후유증으로 발생.
증상
- 지속적인 기침
- 호흡 시 잡음 발생
- 운동 불내성
진단
- 흉부 방사선 검사, CT 또는 기관지 내시경
치료
- 기관지확장제, 스테로이드
- 심한 경우 기관지 스텐트 삽입
2. 폐(Alveoli) 관련 질환
1) 폐렴(Pneumonia)
개요
-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등의 감염으로 인한 폐 실질 조직의 염증
종류
- 세균성 폐렴: 가장 흔함 (포도상구균, 대장균 등)
-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구토물, 음식물, 위산이 폐로 유입될 때 발생
- 진균성 폐렴(Fungal Pneumonia): 히스토플라스마(Histoplasma) 등 곰팡이에 의한 감염
증상
- 발열, 기침, 호흡곤란
- 청진 시 거친 호흡음 또는 수포음(crackles)
- 심한 경우 청색증(산소 부족)
진단
- 흉부 X-ray에서 폐 침윤 확인
- 기관지세척검사(BAL)에서 병원균 검출
- 혈액검사(CBC)에서 염증성 변화 확인
치료
- 항생제(베타락탐계+플루오로퀴놀론)
- 산소 치료, 수액 공급
- 기관지확장제 사용 가능
2)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개요
- 만성 기관지염과 폐기종(Emphysema)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질환.
- 노령견에서 흔히 발생.
증상
- 지속적인 기침과 호흡곤란
- 운동 불내성
진단
- 방사선 검사에서 폐과팽창(hyperinflation)
- 폐기능 검사(PFT, Pulmonary Function Test)
치료
- 기관지확장제(테오필린)
- 스테로이드로 염증 억제
- 환경 관리(먼지, 흡연 노출 제한)
3) 폐부종 (Pulmonary Edema)
개요
- 폐포 내에 체액이 축적되어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상태
- 심인성(heart failure로 인한 경우)과 비심인성(감염, 중독, 외상 등으로 발생)으로 나뉨.
증상
- 심한 호흡곤란
- 거품이 섞인 분홍색 객담
- 청진 시 습성 수포음(wet crackles)
진단
- X-ray에서 폐 침윤(Interlobular edema) 확인
- 심장 초음파로 심부전 감별
치료
- 이뇨제(푸로세미드)
- 산소 공급
- 원인 치료(심장병 치료 등)
3. 폐종양 (Lung Tumor)
개요
- 원발성 폐암(Primary lung cancer)은 드물며, 대부분 전이성(Secondary) 종양이 많음.
증상
- 초기 무증상
- 진행되면 기침, 체중 감소, 호흡곤란
진단
- X-ray에서 종괴 확인
- CT 스캔으로 병기 결정
- 세포학적 검사(FNA, Biopsy)
치료
- 외과적 절제(가능한 경우)
- 항암 치료, 방사선 치료
결론
강아지의 하부기도 질환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영상 검사(X-ray, CT), 기관지세척검사(BAL) 등이 필요합니다.
질환별로 스테로이드, 기관지확장제, 항생제, 산소치료 등이 적용되며, 중증의 경우 외과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관허탈과 폐렴은 임상적으로 흔하며,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