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신경계 질환 (Neurological Disorders in Cats)
고양이 신경계 질환 (Neurological Disorders in Cats)
고양이 신경계 질환은 중추신경계(CNS, 뇌와 척수)와 말초신경계(PNS, 신경 및 근육 연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질환을 포함합니다. 원인에 따라 선천성, 감염성, 염증성, 종양성, 외상성, 대사성, 퇴행성, 독성, 면역매개성 질환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선천성(Congenital) 및 유전성(Genetic) 신경계 질환
이 질환들은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거나 어린 시기에 발병합니다.
(1) 수두증(Hydrocephalus)
- 뇌척수액(CSF)이 뇌실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뇌가 압박됨.
- 주로 페르시안, 히말라얀, 버마 고양이에서 발생.
- 증상:
- 두개골이 비정상적으로 커짐
- 보행 장애, 방향 감각 상실
- 시력 저하, 발작
- 치료:
- 약물 치료(이뇨제, 스테로이드)
- 심한 경우 뇌실-복막 단락술(VP Shunt) 시행
(2) 소뇌형성부전(Cerebellar Hypoplasia)
- 태아기에 파보바이러스(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
- 증상:
- 균형 장애, 과장된 움직임(Hypermetria)
- 고양이가 점프할 때 제대로 착지하지 못함
- 치료:
- 치료법 없음, 하지만 고양이는 장애를 극복하며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음.
2. 감염성(전염성) 및 염증성 신경계 질환
(1)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
- 코로나바이러스 변종(FCoV)이 원인.
- 습성(복수)형과 건성(신경형)형이 있으며, 신경형 FIP는 뇌와 척수에 영향을 미침.
- 증상:
- 운동 장애, 발작
- 후지 마비, 행동 변화
- 치료:
- 최근 GS-441524 및 Remdesivir 같은 항바이러스제 사용.
(2) 톡소플라스마증(Toxoplasmosis)
- 원충인 Toxoplasma gondii에 의해 발생.
- 주로 면역력이 약한 고양이에서 문제됨.
- 증상:
- 경련, 보행 이상
- 시력 저하, 혼수 상태
- 진단: 혈청 검사 (IgG, IgM 항체 검사).
- 치료: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 4주간 투여.
(3) 광견병(Rabies)
- 바이러스 감염으로 치명적인 신경 질환.
- 증상:
- 공격성 증가, 과도한 침 흘림
- 근육 경련, 마비
- 예방: 백신 접종 필수.
3. 종양성(Neoplastic) 신경계 질환
(1) 뇌종양(Brain Tumors)
- 수막종(Meningioma)이 가장 흔함.
- 증상:
- 발작, 행동 변화
- 시력 손실, 보행 장애
- 치료:
- 외과적 절제, 방사선 치료.
(2) 척수 림프종(Spinal Lymphoma)
-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와 관련 있음.
- 증상:
- 후지 마비, 배뇨 장애
- 치료:
- 항암제 치료(화학요법).
4. 외상성(Traumatic) 신경계 질환
(1) 두부 외상(Traumatic Brain Injury, TBI)
- 자동차 사고, 높은 곳에서 떨어짐으로 발생.
- 증상:
- 혼수, 발작
- 동공 비대칭(뇌압 상승)
- 치료:
- 뇌부종 감소(만니톨, 스테로이드), 산소 공급.
(2) 척수 손상(Spinal Cord Injury)
- 교통사고, 외부 충격으로 인해 발생.
- 증상:
- 마비, 근육 위축
- 치료:
- 수술(디스크 제거술), 재활 치료.
5. 대사성(Metabolic) 신경계 질환
(1) 간성뇌병증(Hepatic Encephalopathy)
- 간 기능 부전으로 암모니아 증가 → 신경 독성 발생.
- 증상:
- 이상행동, 보행 장애, 발작
- 치료:
- 저단백 식이, 락툴로오스, 항생제.
(2) 저혈당성 발작(Hypoglycemic Seizures)
- 당뇨병, 인슐린종(췌장 종양) 등으로 인해 발생.
- 증상:
- 혼수, 발작, 허약
- 치료:
- 포도당 투여, 원인 질환 치료.
6. 퇴행성(Degenerative) 신경계 질환
(1) 퇴행성 척수병증(Degenerative Myelopathy, DM)
- 노령 고양이에서 흔함.
- 증상:
- 후지 약화, 보행 이상
- 치료:
- 대증 치료(물리 치료, 운동).
(2) 신경근육질환(Polyneuropathy)
- 말초신경 손상으로 인한 근력 약화.
- 증상:
- 사지 마비, 근위축
- 치료:
- 비타민 보충, 물리 치료.
7. 독성(Toxic) 신경계 질환
(1) 파라세타몰(아세트아미노펜) 중독
- 고양이에서 치명적.
- 증상:
- 청색증, 경련, 호흡 곤란
- 치료:
- N-아세틸시스테인(NAC) 투여.
(2) 살충제 중독(Organophosphate Toxicity)
- 증상: 근육 경련, 호흡 곤란
- 치료: 아트로핀 투여.
8. 면역매개성(Immune-mediated) 신경계 질환
(1) 고양이 다발성 신경염(Feline Polyneuritis)
- 면역계 이상으로 신경 손상 발생.
- 증상:
- 후지 마비, 감각 이상
- 치료:
-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결론
고양이 신경계 질환은 원인이 다양하며,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MRI, CT, 뇌척수액 검사, 혈액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며, 치료는 약물, 수술, 재활 치료가 포함됩니다.
고양이가 발작, 보행 이상, 이상 행동을 보이면 즉시 수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
고양이 신경계 질환 상세 설명
고양이의 신경계 역시 뇌, 척수, 말초 신경으로 구성된 복잡하고 중요한 시스템입니다. 고양이의 독특한 생리적 특성과 특정 질병에 대한 감수성 때문에 개와는 다른 양상으로 신경계 질환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고양이에게 흔히 발생하거나 중요한 신경계 질환들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발작 및 간질 (Seizures & Epilepsy)
- 정의: 뇌의 비정상적인 전기적 흥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반복적인 발작(경련) 증상입니다.
- 원인:
- 특발성 간질: 명확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로, 개보다는 고양이에서 진단 빈도가 낮고, 발병 연령도 더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 구조적 원인: 뇌종양 (특히 노령묘의 수막종), 뇌염/뇌수막염 (FIP, 톡소플라즈마, 크립토코쿠스 등 감염성 또는 비감염성 염증), 뇌졸중, 선천적 기형(수두증 등), 외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반응성 발작: 뇌 자체의 문제가 아닌 전신 질환에 의한 것으로, 간부전(간성뇌증), 신부전, 저혈당, 고혈압, 특정 독소(살충제 성분인 퍼메트린 등), 티아민(비타민 B1) 결핍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증상:
- 전신 발작: 의식 소실, 쓰러짐, 사지 강직 및 노 젓는 움직임, 침 흘림, 안면 경련, 배뇨/배변 실수 등.
- 국소 발작: 의식은 유지될 수 있으며, 얼굴 한쪽의 경련, 특정 다리의 떨림, 침 과다 분비, 이상 행동(갑자기 공격적이 되거나 허공을 응시)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고양이에서는 국소 발작이 더 흔하게 관찰될 수 있습니다.
- 발작 전/후 증상: 개와 유사하게 불안, 숨기, 울음 등의 전조 증상이나 발작 후 혼란, 방향 감각 상실 등을 보일 수 있습니다.
- 진단: 병력 청취, 신경학적 검사, 혈액 검사, 소변 검사, 감염성 질환 검사(FIP, 톡소플라즈마, FeLV/FIV 등), 혈압 측정, 영상 진단(MRI, CT), 뇌척수액(CSF) 검사 등을 통해 원인을 감별합니다.
- 치료:
- 항경련제 투여: 발작 빈도와 심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약물(페노바르비탈, 레베티라세탐, 조니사마이드 등)을 사용합니다. (디아제팜은 고양이에게 간독성 위험이 있어 장기 투여는 피합니다.)
- 원인 질환 치료: 확인된 원인(감염, 종양, 대사성 질환 등)에 대한 치료를 병행합니다.
2. 전정계 질환 (Vestibular Disease)
- 정의: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전정기관(내이, 뇌간)의 기능 이상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원인:
- 말초성:
- 특발성 전정계 증후군: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로, 특히 노령묘에서 갑자기 발생합니다.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 중이염/내이염: 귀 감염이 내이로 파급되거나, 비인두 폴립(어린 고양이에서 흔함)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중추성: 뇌간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FIP, 톡소플라즈마증, 크립토코쿠스증, 뇌종양, 뇌졸중, 티아민 결핍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말초성:
- 증상:
- 머리 기울임 (Head tilt)
- 균형 상실 (Ataxia): 비틀거림, 넘어짐, 특정 방향으로 구르거나 도는 행동.
- 안구 진탕 (Nystagmus): 눈동자가 수평, 수직 또는 회전 방향으로 빠르게 떨립니다. (중추성일 경우 수직 안구진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구토, 식욕 부진
- 중추성 추가 증상: 의식 변화, 다른 뇌신경 마비 증상, 사지 마비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진단: 신경학적 검사(말초성 vs 중추성 감별이 중요), 이도 검사, 영상 진단(CT/MRI - 특히 중이/내이 및 뇌 확인), 뇌척수액 검사, 감염성 질환 검사 등을 실시합니다.
- 치료:
- 원인 치료: 감염 치료(항생제/항진균제), 폴립 제거 수술 등.
- 대증 치료: 멀미약, 구토 억제제 투여, 안전한 환경 제공.
- 특발성 전정계 증후군: 특별한 치료 없이 수일에서 수주 내에 자연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나, 증상 완화를 위한 보조 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3.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 - 신경형
- 정의: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CoV)의 변이로 발생하는 치명적인 면역 매개성 질환으로, 신경계에도 염증(육아종성 뇌척수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원인: 변이된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 증상: (습식 FIP 또는 건식 FIP의 다른 증상과 동반될 수 있음)
- 신경 증상: 보행 실조(특히 뒷다리), 발작, 행동 변화, 안구 진탕, 머리 기울임, 사지 마비, 과민 반응 등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구 증상: 포도막염(눈 염증)이 흔히 동반됩니다.
- 진단: 진단이 매우 어렵습니다. 특징적인 임상 증상, 혈액 검사(높은 글로불린 수치, 낮은 알부민/글로불린 비율), 뇌척수액 검사(단백질 및 세포 수 증가), 영상 진단(MRI), 안과 검사 등을 종합하여 잠정 진단합니다. (최근에는 특정 항바이러스제에 대한 반응을 진단에 참고하기도 합니다.)
- 치료: 과거에는 예후가 매우 불량했으나, 최근 특정 항바이러스제(렘데시비르, GS-441524 등) 치료가 효과를 보이며 치료 가능성이 열리고 있습니다. (단, 약물 접근성 및 비용, 법적 규제 등은 고려해야 합니다.) 그 외에는 염증 완화를 위한 스테로이드 등 대증 치료를 합니다.
4. 뇌수막염/뇌염 (Meningitis/Encephalitis)
- 정의: 뇌 또는 뇌를 싸는 수막의 염증입니다.
- 원인:
- 감염성: FIP 바이러스, 톡소플라즈마 (Toxoplasma gondii), 크립토코쿠스 (Cryptococcus neoformans - 곰팡이균), 세균, 기타 바이러스(FeLV/FIV 관련 포함) 등.
- 비감염성 (면역 매개성/원인 불명): 개보다는 덜 명확하게 분류되지만, 염증성 뇌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증상: 발작, 행동 변화(공격성, 무기력), 시력 상실, 선회 운동, 머리 누르기, 발열, 목 경직 및 통증 등 매우 다양하며 급성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진단: 신경학적 검사, 혈액 검사(감염원 검사 포함), 뇌척수액 검사(염증 세포 확인, 단백질 수치, 감염원 PCR/배양 등), 영상 진단(MRI)이 중요합니다.
- 치료:
- 감염성: 원인균에 맞는 항생제, 항진균제, 항원충제 등을 투여합니다. FIP의 경우 특정 항바이러스제를 고려합니다.
- 비감염성: 면역 억제제(스테로이드 등)를 사용합니다.
- 대증 치료: 항경련제, 뇌부종 관리 등을 병행합니다.
5. 척수 질환 (Spinal Cord Disease)
- 정의: 척수 신경의 손상이나 압박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원인:
- 외상: 교통사고, 낙상 등 고양이에서 흔한 원인입니다.
- 종양: 림프종(FeLV와 연관될 수 있음), 수막종, 골육종 등이 척수를 압박하거나 침범할 수 있습니다.
- 추간판 탈출증 (IVDD): 개보다는 발생 빈도가 낮지만, 특히 노령묘에서 퇴행성 변화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섬유연골성 색전증 (FCE): 척수로 가는 혈관이 막혀 갑작스러운 마비가 발생합니다. 통증이 없는 것이 특징일 수 있습니다.
- 염증성 질환: FIP, 톡소플라즈마증 등이 척수에도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증상: (손상 위치와 정도에 따라 다름)
- 통증: 등을 만지거나 움직일 때 아파합니다. (FCE는 통증이 없을 수 있음)
- 보행 이상: 뒷다리 약화, 비틀거림, 완전 마비.
- 배뇨/배변 곤란 또는 실금.
- 꼬리 마비.
- 진단: 신경학적 검사(손상 부위 추정), X-ray(골절, 종양 확인), CT 또는 MRI(척수 압박 및 병변 확인에 가장 유용), 뇌척수액 검사.
- 치료: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 보존적 치료: 엄격한 운동 제한, 소염진통제, 재활 치료 (경미한 경우).
- 수술적 치료: 척수 감압술 (심한 디스크 탈출, 골절, 종양 제거).
- 항암 치료/방사선 치료: 특정 종양의 경우.
- 지지 요법: 방광 압박 배뇨, 청결 관리, 욕창 방지 등.
6. 뇌종양 (Brain Tumor)
- 정의: 뇌에 발생하는 종양. 고양이에서는 수막종(Meningioma)이 가장 흔한 원발성 뇌종양이며, 비교적 경계가 명확하고 양성인 경우가 많아 수술적 제거 시 예후가 좋은 편입니다. 림프종 등 다른 종양이나 전이성 종양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원인: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노령묘에서 더 흔합니다.
- 증상: (종양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보통 서서히 진행됨)
- 발작: 특히 노령묘에서 새로 발생한 발작은 뇌종양을 의심해야 합니다.
- 행동 변화: 성격 변화, 무기력, 숨기, 배회, 선회 운동.
- 보행 이상, 균형 감각 상실.
- 시력 상실.
- 머리 누르기.
- 진단: 신경학적 검사, 영상 진단(MRI 또는 CT)이 필수적입니다. 뇌척수액 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치료:
- 수술: 수막종의 경우 완전 제거 시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방사선 치료: 수술이 어렵거나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항암 화학 요법: 림프종 등의 경우.
- 대증 치료: 항경련제, 뇌부종 감소(스테로이드) 등 증상 관리.
7. 뇌졸중 (Stroke, Cerebrovascular Accident)
- 정의: 뇌혈관의 문제(막힘-허혈성, 터짐-출혈성)로 인해 뇌 조직 손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 원인: 고양이에서는 고혈압 (만성 신부전,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이 주요 원인입니다. 심장 질환(혈전 생성), 응고 장애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증상: 갑작스러운 발병이 특징입니다.
- 균형 상실, 머리 기울임, 선회 운동
- 급성 실명
- 의식 변화, 발작
- 보행 이상
- 진단: 갑작스러운 발병력, 신경학적 검사, 혈압 측정(필수), 혈액 검사(신기능, 갑상선 기능 확인), 심장 검사, 영상 진단(MRI)으로 뇌 병변을 확인합니다.
- 치료:
- 원인 질환 관리: 혈압 강하제 투여, 신부전/갑상선 기능 항진증 관리.
- 지지 요법: 수액 처치, 산소 공급, 항경련제 투여 등.
- 시간이 지나면서 신경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재활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8. 고양이 인지 기능 장애 증후군 (Feline Cognitive Dysfunction Syndrome, CDS)
- 정의: 노령묘에서 나타나는 뇌의 노화와 관련된 인지 능력 저하 질환입니다.
- 원인: 뇌의 구조적, 화학적 변화 (베타 아밀로이드 침착 등).
- 증상 (DISHAA 약자 참고):
- 방향 감각 상실 (Disorientation): 익숙한 곳에서 길을 잃거나 멍하게 벽을 보고 있음.
- 상호작용 변화 (Interaction changes): 가족과의 상호작용 감소 또는 과도한 요구, 공격성 변화.
- 수면-각성 주기 변화 (Sleep-wake cycle changes): 밤에 잠 안 자고 울거나 배회, 낮에 잠 많이 잠.
- 배변 실수 (House-soiling): 화장실이 아닌 곳에 배변/배뇨.
- 활동량 변화 (Activity level changes): 활동량 감소 또는 목적 없는 배회 증가.
- 불안 (Anxiety): 분리 불안 증가, 사소한 자극에 대한 과민 반응.
- 학습 및 기억력 저하.
- 진단: 노령묘에서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고, 다른 의학적 원인(통증, 감각 저하, 대사성 질환, 뇌종양 등)을 배제하여 진단합니다.
- 치료: 완치는 불가능하지만 관리를 통해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 환경 관리: 일관된 환경 유지, 편안한 잠자리 제공, 화장실 접근성 개선.
- 행동 풍부화: 규칙적인 놀이 시간, 퍼즐 장난감 등.
- 식이 요법/보조제: 항산화제, 중쇄지방산(MCT), 오메가-3 지방산 등이 포함된 처방식 또는 보조제.
- 약물 치료: 불안 완화를 위한 약물(필요시 수의사와 상담).
9. 소뇌 형성 부전 (Cerebellar Hypoplasia)
- 정의: 어미 고양이가 임신 중 특정 바이러스(주로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증 바이러스, 파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태어난 새끼 고양이의 소뇌 발달이 미숙한 선천적 질환입니다.
- 증상: 태어나서 걷기 시작할 때부터 뚜렷한 운동 실조 증상을 보입니다.
- 의도 진전 (Intention tremor): 무언가에 집중하거나 움직이려 할 때 머리가 심하게 떨림.
- 과대 운동 (Hypermetria): 걸음걸이가 과장되고 발을 높이 드는 모습.
- 넓은 자세 (Wide-based stance): 균형을 잡기 위해 다리를 넓게 벌리고 서 있음.
- 심한 비틀거림.
- 지능이나 의식 수준은 정상이며, 통증은 없습니다. 증상은 진행되지 않습니다.
- 진단: 특징적인 임상 증상과 병력(어린 고양이)으로 진단합니다. MRI로 작은 소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치료: 치료법은 없으며, 상태는 평생 지속됩니다. 하지만 고양이들은 놀랍도록 잘 적응하며, 안전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면 정상적인 수명을 누리며 행복하게 살 수 있습니다.
신경계 질환 의심 증상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동물병원에 방문하여 수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발작 또는 경련
- 갑작스러운 행동 변화 (공격성, 무기력, 숨기 등)
- 보행 이상 (비틀거림, 다리 끌기, 마비)
- 머리 기울임, 한쪽으로 뱅글뱅글 돌기
- 눈동자 떨림 (안구 진탕)
- 시력 상실 (갑자기 벽이나 물건에 부딪힘)
- 의식 저하 또는 혼미
- 목이나 등을 만졌을 때 통증 반응
- 울음소리 변화, 삼킴 곤란
- 배뇨/배변 조절 불가
중요성
고양이의 신경계 질환은 매우 심각하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상 증상이 보이면 망설이지 말고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호자의 세심한 관찰과 이해가 고양이의 건강과 삶의 질 유지에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