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의 위(Stomach) 질병
아랑드롱드롱
2025. 4. 27. 21:42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의 위(Stomach)에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질병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강아지 위장 질환은 매우 흔하며, 다양한 원인과 증상을 보입니다.
1. 급성 위염 (Acute Gastritis)
- 정의: 위의 내벽(점막)에 갑작스럽게 염증이 생긴 상태입니다. 강아지에게 구토를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 원인:
- 식이성: 상한 음식, 쓰레기, 사람 음식, 갑작스러운 사료 변경, 과식 등
- 이물 섭취: 장난감 조각, 뼈, 돌, 플라스틱 등 소화되지 않는 물질 섭취
- 독성 물질: 특정 식물, 화학 물질, 약물(특히 NSAIDs 계열 소염진통제)
- 감염: 바이러스(파보, 코로나 등), 세균, 기생충
- 스트레스: 환경 변화, 분리불안 등
- 증상:
- 갑작스러운 구토: 소화되지 않은 음식, 투명한 액체, 노란색 담즙, 거품 등을 토함. 심하면 혈액이 섞여 나올 수도 있음.
- 식욕 부진 또는 절폐
- 기력 저하, 무기력
- 복통 (배를 만지면 아파하거나 웅크림)
- 탈수 증상 (잇몸 건조, 피부 탄력 저하)
- 진단: 병력 청취(무엇을 먹었는지 등), 신체 검사, 혈액 검사, 방사선(X-ray) 검사,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다른 질병(이물, 췌장염 등)을 감별합니다.
- 치료:
- 단기 절식: 위를 쉬게 하기 위해 12~24시간 정도 음식 급여를 중단합니다. (물은 소량씩 급여)
- 수액 처치: 탈수 교정 및 전해질 균형 유지를 위해 정맥 또는 피하 수액을 투여합니다.
- 약물 치료: 구토 억제제, 위산 분비 억제제, 위 점막 보호제 등을 사용합니다. 감염이 의심되면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식이 관리: 증상이 호전되면 소화가 잘 되는 처방식 사료를 소량씩 자주 급여하며 점차 일반식으로 전환합니다.
- 예방: 먹지 말아야 할 것을 먹지 못하게 관리하고, 갑작스러운 사료 변경을 피하며, 정기적인 구충이 중요합니다.
2. 만성 위염 (Chronic Gastritis)
- 정의: 위의 염증이 간헐적이거나 지속적으로 장기간 나타나는 상태입니다.
- 원인: 급성 위염의 원인이 해결되지 않고 지속되거나, 음식 알레르기, 만성적인 이물 자극, 면역 매개성 질환, 특정 세균 감염(헬리코박터 등), 만성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증상:
- 간헐적이거나 만성적인 구토 (음식물, 담즙 등)
- 만성적인 식욕 부진 또는 기복
- 체중 감소
- 기력 저하
- 때때로 혈액이 섞인 구토나 검은색 변(Melena, 위출혈 의미)을 보일 수 있음.
- 진단: 급성 위염 진단 방법 외에, 정확한 원인 감별을 위해 내시경 검사 및 조직 생검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 치료: 원인에 따른 치료가 중요합니다. 식이 알레르기가 의심되면 처방식 사료(가수분해 사료 등)를 급여하고, 면역 매개성 질환이 의심되면 면역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산 억제제, 위 점막 보호제 등도 장기간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관리: 꾸준한 식이 관리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재발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위궤양 (Gastric Ulcers)
- 정의: 위 점막의 일부가 깊게 손상되어 패인 상태입니다. 심하면 위에 구멍(천공)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 원인:
- 약물: NSAIDs(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 제제의 장기 또는 과다 사용
- 질병: 신부전, 간부전, 심한 스트레스(쇼크, 수술 등), 비만세포종(Mast cell tumor) 등 특정 종양
- 만성 위염: 심한 만성 염증이 궤양으로 발전
- 독성 물질 섭취
- 증상:
- 구토 (종종 혈액이 섞여 나옴 - 신선한 피 또는 커피 찌꺼기 같은 검은색 물질)
- 검은색 타르 같은 변 (Melena)
- 식욕 부진, 기력 저하
- 복통 (매우 심할 수 있음)
- 창백한 잇몸 (빈혈)
- 체중 감소
- 진단: 병력 청취(약물 복용력 등), 신체 검사, 혈액 검사(빈혈 확인), 방사선, 초음파 검사, 내시경 검사(직접 궤양 확인 및 조직 검사 가능)가 중요합니다.
- 치료:
- 원인 제거 (예: 원인 약물 중단, 기저 질환 치료)
- 위산 분비 억제제 (강력한 제제 사용)
- 위 점막 보호제 (수크랄페이트 등)
- 수액 처치, 수혈 (심한 출혈이나 빈혈 시)
- 위 천공 시 응급 수술 필요
- 예후: 원인과 궤양의 심각도, 천공 여부에 따라 다양합니다. 천공 시 예후는 매우 불량할 수 있습니다.
4. 위 확장 및 염전 증후군 (GDV, Gastric Dilatation-Volvulus)
- 정의: 위가 가스나 음식물로 과도하게 팽창(확장)하고, 심한 경우 위가 꼬이는(염전) 매우 응급적이고 치명적인 상태입니다.
- 원인: 정확한 원인은 복합적이나, 주로 가슴이 깊고 배가 잘록한 대형견(도베르만, 세인트버나드, 그레이트 데인 등)에게 다발합니다. 식후 격렬한 운동, 빠른 식사 속도, 한 번에 많은 양의 사료 섭취 등이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증상:
- 갑작스러운 복부 팽만: 배가 풍선처럼 부풀어 오름
- 헛구역질: 토하려고 하지만 아무것도 나오지 않음 (침이나 거품만 나옴)
- 안절부절못함, 불안
- 심한 복통, 낑낑거림
- 호흡 곤란, 헐떡임
- 침 흘림
- 창백한 잇몸
- 기력 저하, 쇼크, 허탈 (쓰러짐)
- 진단: 특징적인 임상 증상과 신체 검사, 방사선 검사(꼬인 위 모양 확인)를 통해 신속하게 진단합니다.
- 치료: 즉각적인 응급 처치가 생존에 필수적입니다.
- 쇼크 처치: 정맥 수액을 대량으로 투여하여 혈압을 안정시킵니다.
- 위 감압: 튜브를 삽입하거나 큰 주사 바늘로 위를 찔러 가스를 빼냅니다.
- 응급 수술: 위를 원래 위치로 되돌리고, 손상된 조직이 있다면 제거합니다. 재발 방지를 위해 위를 복벽에 고정하는 수술(위 고정술, Gastropexy)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예후: 발견 및 치료가 늦어지면 사망률이 매우 높습니다. 신속한 수술과 집중적인 입원 관리가 필요합니다.
- 예방: 위험 품종의 경우, 식사를 여러 번 나눠서 급여하고, 식후 1~2시간 동안 격렬한 운동을 피하며, 식기를 높여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방적 위 고정술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5. 위내 이물 (Gastric Foreign Body)
- 정의: 강아지가 소화되지 않는 물체(장난감, 돌, 양말, 뼈 조각 등)를 삼켜 위에 머무르는 상태입니다.
- 증상:
- 만성적인 간헐적 구토
- 식욕 부진 또는 기복
- 기력 저하
- 복통
- 이물이 유문(위 출구)을 막으면 급성 구토 및 심각한 증상 유발 가능
- 진단: 병력 청취(이물 섭취 목격), 방사선 검사(방사선 비투과성 이물 확인), 초음파 검사, 조영 검사, 내시경 검사(이물 확인 및 제거 시도)
- 치료:
- 내시경 제거: 이물의 크기, 모양, 재질에 따라 내시경을 통해 제거를 시도합니다.
- 수술적 제거: 내시경으로 제거가 불가능하거나 위험한 경우, 개복 수술을 통해 이물을 제거합니다.
- 예방: 강아지가 삼킬 수 있는 작은 물건들을 주변에 두지 않고, 뼈 간식 등은 주의해서 급여합니다.
6. 위 종양 (Gastric Neoplasia)
- 정의: 위에 발생하는 악성(암) 또는 양성 종양입니다. 개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지만, 발생 시 예후가 좋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가장 흔한 악성 종양은 선암(Adenocarcinoma)입니다.
- 증상: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비특이적일 수 있습니다.
- 만성 구토 (종종 혈액 포함)
- 체중 감소
- 식욕 부진
- 기력 저하
- 검은색 변 (Melena)
- 빈혈
- 진단: 혈액 검사, 방사선, 초음파, 내시경 검사 및 조직 생검을 통해 확진합니다. CT 검사는 전이 여부 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치료: 종양의 종류, 크기, 위치, 전이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 수술적 제거가 가능한 경우 시도하며, 항암 화학 요법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 예후: 대부분의 위 악성 종양은 진단 시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아 예후가 불량한 편입니다.
이 외에도 유문 협착(Pyloric Stenosis - 위 출구가 좁아지는 질환), 위 운동성 저하 등 다양한 위 질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중요: 강아지가 구토, 식욕 부진, 기력 저하 등 위장 관련 증상을 보일 때는 가볍게 여기지 말고, 반드시 동물병원에 방문하여 수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GDV와 같이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도 있으므로, 증상이 심하거나 갑작스럽게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