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의 배뇨장애(Disorders of Micturition)
아랑드롱드롱
2025. 5. 21. 11:34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의 배뇨장애(Disorders of Micturition)는 배뇨 과정의 어느 단계(저장 또는 배출)에 문제가 생긴 상태로, 신경성 원인, 기계적 폐색, 감염, 염증성 질환, 행동학적 문제 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합니다. 배뇨장애는 단순한 요로계 질환이 아니라 비뇨기계·신경계·근육계·내분비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증후군으로 보아야 합니다.
아래는 강아지의 배뇨장애를 병태생리, 분류, 진단, 치료, 대표 질환별 특징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 내용입니다.
1. 배뇨의 생리적 이해
배뇨는 두 단계로 구성됩니다.
단계 기능 조절 기전
저장 단계 | 방광 이완 + 내요도괄약근 수축 | 교감신경(β, α 수용체) |
배출 단계 | 방광 수축 + 괄약근 이완 | 부교감신경(무스카린 수용체), 체성신경 억제 |
- 배뇨 중추: 뇌간의 pons micturition center
- 신경: 골반신경(부교감), 하복신경(교감), 음부신경(체성)
2. 배뇨장애의 분류
A. 저장기능 장애 (incontinence, 실금)
1) 해부학적 원인
- 요도괄약근 기능부전 (USMI)
- 방광외 요관 (ectopic ureter)
- 선천성 기형 (요도기형, 방광탈장)
2) 신경학적 원인
- 하부운동신경 마비 (LMN bladder): 괄약근 이완 불능
- 중추신경 손상
3) 기타
- 호르몬성 (중성화 후)
- 행동성 요실금
B. 배출기능 장애 (urinary retention, 무뇨)
1) 폐색성 (기계적 원인)
- 요석, 종양, 협착
- 전립선비대, 요도협착
2) 신경성 (배출저하성)
- 상위운동신경 마비 (UMN bladder): 방광수축 불능
- 하위운동신경 마비 (LMN bladder): 방광 이완성 무기력
3) 기능적 폐색
- 요도 괄약근 비정상 수축 (Dyssynergia)
- 스트레스성 배뇨 억제
3. 진단 접근
병력청취
- 중성화 여부
- 배뇨 자세는 취하나 소변이 안 나오는가?
- 수면 중 무의식적 배뇨?
- 배뇨 후 방광이 남아있는가?
신체검사 및 영상
- 복부 촉진: 방광팽만 여부
- 초음파/X-ray: 결석, 방광벽 비후, 기형
- 요검사/배양: 감염 여부
- 혈액검사: 신기능 평가
- 신경학적 검사: 골반반사, 항문반사, 통증반응
- 요속 측정 + 잔뇨량 평가 (post-void residual volume)
4. 대표 배뇨장애 질환 및 특징
A. 요도괄약근 기능부전 (USMI, Urethral Sphincter Mechanism Incompetence)
- 중성화한 암컷 대형견에서 흔함
- 수면 중 요실금 (의식 없을 때 발생)
- 방광 기능은 정상, 괄약근 약화
진단: 배제 진단
치료:
- α-작용제: phenylpropanolamine
- 에스트로겐 보충: estriol (Incurin)
- 수술: 콜라겐 주입, colposuspension
B. 외요관 (Ectopic ureter)
- 선천성 기형: 요관이 방광 아닌 요도, 질, 전정으로 연결
- 어린 암컷, 지속적인 요실금
진단: 초음파, IVP, CT-urography
치료:
- 수술적 교정: ureteroneocystostomy
- 레이저 개구술 (내시경 이용)
C. 신경인성 방광 (Neurogenic bladder)
UMN bladder (상부운동신경 마비)
- 방광 수축은 유지되나 괄약근 이완 불가 → 고압성 잔뇨
- 특징: 방광 팽창, 배뇨 시도는 있으나 배출 저하
LMN bladder (하부운동신경 마비)
- 방광 이완, 수축 불능 → 무기력성 요정체
- 특징: 방광 느슨하고 크며 압박 시 요 누출
치료:
- bethanechol (근육수축 촉진), prazosin (요도 이완)
- 방광 압박 또는 카테터 관리
D. 전립선 질환 (수컷)
- 전립선비대, 낭종, 감염, 종양 등으로 요도 압박
- 증상: 배뇨곤란, 간헐적 혈뇨, 변비 동반
진단: 직장수지, 초음파, X-ray
치료:
- 중성화
- 항생제
- 종양 시 항암 또는 외과적 절제
E. 요도 폐색 (Obstruction)
- 요석, 종양, 협착 등으로 폐색
- 배뇨 자세는 취하나 소변 안 나옴
- 방광 팽만, 복부 긴장, 구토
응급처치:
- 방광 감압
- 요도 개통 (카테터)
- 수액, 전해질 교정
F. 기능적 폐색 (Urethral Dyssynergia)
- 방광 수축과 괄약근 이완이 비동기 → 폐색 유사 증상
- 수컷 대형견, 신경학적 이상 없음
진단: 영상상 폐색 없음, 배뇨 시 저항 증가
치료:
- α-차단제 (prazosin)
- diazepam 병용
- 항불안제 ± 행동치료
요약 정리
유형 특징 대표 질환
저장 장애 | 실금 | USMI, 외요관, FIC |
배출 장애 | 배뇨곤란, 무뇨 | 폐색, 전립선비대, 신경인성 방광 |
혼합형 | 배출 후 잔뇨, 재요로감염 | 전립선비대, 기능적 폐색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