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양이의 생식기 장애
아랑드롱드롱
2025. 6. 1. 07:10
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의 생식기 장애는 발생 부위, 원인, 연령, 성별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생식기 장애는 생식선(고환, 난소), 부속 생식기관(자궁, 질, 음경, 전립선 등), 또는 내분비 기능과 관련된 이상으로 나눌 수 있으며, 기형, 염증, 감염, 종양, 호르몬 이상, 외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고양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생식기 장애들을 암컷과 수컷으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암컷 고양이의 생식기 장애
1. 선천성 기형
- 자궁무발생증 (uterine aplasia/hypoplasia): 드물지만 일부 고양이에서 자궁이 완전히 없거나 미성숙한 형태로 존재합니다. 번식이 되지 않으며, 외형상 증상은 없을 수 있습니다.
- 양측 난소무발생증: 성 호르몬 분비 부족으로 발정이 나타나지 않으며, 외음부도 미성숙한 경우가 많습니다.
- 질폐쇄(Imperforate hymen): 질의 개구부가 막혀 있는 기형으로, 발정 시 혈액 또는 분비물이 배출되지 못하고 자궁 내에 축적되어 자궁수종(hydrometra), 혈자궁(hematometra)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염증 및 감염성 질환
- 자궁축농증(Pyometra):
- 주로 호르몬(특히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을 받아 발정 이후 황체기 동안 발생.
- 개방형(open pyometra): 외음부로 고름이 배출되어 인식 가능.
- 폐쇄형(closed pyometra): 고름이 자궁 내에 축적되어 패혈증, 쇼크 위험이 큼.
- 증상: 식욕부진, 다갈다뇨, 구토, 무기력, 외음부 분비물 등.
- 질염(vaginitis): 드물지만 외음부 주위의 염증과 분비물 증가로 나타납니다.
3. 종양성 병변
- 유선종양(Mammary tumors):
- 암컷에서 매우 흔하며, 특히 중성화하지 않은 고양이에서 호르몬 영향으로 발병률이 높습니다.
- 대부분 악성(adenocarcinoma)이며 림프절 및 폐 전이가 흔함.
- 조기 중성화(특히 6개월 이전)는 유선종양의 위험을 현저히 낮춤.
- 난소종양(Ovarian tumors):
- 드물며 granulosa cell tumor, teratoma 등이 보고됨.
- 호르몬 과잉분비로 지속 발정 또는 자궁 이상을 유발할 수 있음.
수컷 고양이의 생식기 장애
1. 고환 관련 질환
- 잠복고환(Cryptorchidism):
- 정상적으로 복강 내 고환이 음낭으로 하강하지 않음.
- 유전적 성향이 있으며, 고환암(특히 세르톨리 세포종)의 위험이 증가함.
- 복강 내에 위치할 경우 촉진되지 않으며, 초음파 또는 CT로 확인 가능.
- 고환염(Orchitis)/부고환염(Epididymitis):
- 외상, 감염 또는 자가면역성 원인.
- 부종, 통증, 발열, 고환 비대 등이 관찰됨.
- 고환종양(Testicular tumors):
- 드물지만 세르톨리 세포종(Sertoli cell tumor), 간질세포종(Leydig cell tumor), 정세관종(Seminoma) 등이 보고됨.
- 여성화 증후군(feminization syndrome), 고혈에스트로겐혈증으로 인한 탈모, 유선 비대 등을 유발할 수 있음.
2. 음경 및 요도 관련 질환
- 음경탈출증(Penile prolapse, paraphimosis):
- 발정 중 또는 외상으로 인해 음경이 수축되지 않고 노출된 채 남아 있게 됨.
- 조직 괴사 위험이 있으므로 긴급 처치가 필요함.
- 포피염(Balanoposthitis):
- 음경과 포피(음경피부) 사이의 염증으로, 외음부 분비물, 통증 유발.
- 요도폐색(Urethral obstruction):
- 특히 거세된 수컷 고양이에서 흔한 문제.
- 방광결석, 요도 플러그, 요도 경련 등에 의해 발생.
- 생식기 외 관찰상 드러나지 않아도 생명에 위협이 되는 응급 질환.
내분비 이상 관련 생식기 장애
- 지속 발정(Persistent estrus):
- 고양이는 유도배란 동물(induced ovulator)로, 교미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발정이 반복적으로 지속됨.
- 난소낭종(ovarian cyst), 난포종(follicular cyst)과 연관됨.
- 호르몬성 피부 변화:
- 난소 종양, 세르톨리 세포종 등에 의해 에스트로겐 과잉 → 대칭성 탈모, 유선 비대.
진단법 요약
- 영상진단:
- 복부 방사선 및 초음파: 자궁, 난소, 고환, 방광 등 확인 가능.
- CT/MRI: 종양 평가 및 잠복고환 위치 파악에 유용.
- 혈액검사:
- 호르몬 프로파일(LH, FSH, estrogen, testosterone 등), 염증 마커(CRP, WBC)
- 세포 및 조직검사:
- 유선, 자궁, 난소, 고환 등의 종괴에 대한 FNA 또는 조직 생검.
치료 접근
- 외과적 절제(OHE, orchiectomy): 종양성 병변, 자궁축농증, 난소/고환 질환에서 가장 일반적.
- 항생제 및 보존적 치료: 포피염, 요도감염 등에서 1차적으로 시행.
- 호르몬 조절: 발정 억제 약물은 장기 사용 시 위험성 있음. 조기 중성화가 더 권장됨.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