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양이 적혈구의 질환
아랑드롱드롱
2025. 6. 2. 07:07
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적혈구(RBC; Red Blood Cell)의 질환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크게 빈혈(anemia), 적혈구 증가증(polycythemia), 용혈성 질환(hemolytic disease), 감염성 질환, 선천성 이상 등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각각을 상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빈혈 (Anemia)
1) 분류 기준
- 재생성 빈혈 (Regenerative anemia)
골수 기능이 정상이며 망상적혈구(reticulocyte) 증가 등으로 보상 반응이 있음 - 비재생성 빈혈 (Non-regenerative anemia)
골수 기능 저하, 또는 적혈구 생성 자체에 문제가 있음
2) 원인별 정리
재생성 빈혈
- 외상 또는 출혈 (Acute blood loss)
- 교통사고, 수술, 위장관 출혈 등
- PCV 감소, 망상적혈구 증가
- 용혈성 빈혈 (Hemolytic anemia)
- 적혈구가 조기 파괴됨
- 원인:
- 면역매개성 (IMHA)
- 혈장 삼투압 변화 (hypotonic solution 수액 후)
- 감염성 질환 (Haemotropic Mycoplasma felis)
- 독소 (양파, 아세트아미노펜 중독)
비재생성 빈혈
- 만성 질환 빈혈 (Anemia of chronic disease)
- 염증성, 감염성, 신부전성 질환에서 흔함
- 골수 질환
- 골수저형성증, 골수섬유화증, 골수이형성증 등
- 철분 결핍 (Iron deficiency anemia)
- 소화관 만성 출혈 등
- 저색소성, 소적혈구성
- 에리스로포이에틴 결핍
- 만성 신부전(CKD)에서 흔함
- 골수 자극 부족
2. 적혈구 증가증 (Polycythemia)
1) 상대적 증가 (Relative)
- 탈수로 인해 혈액 농축
- 치료: 수액요법
2) 절대적 증가 (Absolute)
- 1차성 (Primary)
- 진성 적혈구 증가증 (Polycythemia vera): 드묾, 골수 질환
- 2차성 (Secondary)
- 조직 저산소증 → EPO 증가 (심질환, 폐질환, 고지대 거주 등)
- 부신피질종양, 간종양 등 → 부적절한 EPO 생성
3. 용혈성 질환 (Hemolytic disease)
1) 면역매개성 용혈성 빈혈 (IMHA; Immune-Mediated Hemolytic Anemia)
- 고양이에서는 개보다 드물지만 존재
- 특징:
- 황달, 어두운 색 소변, 망상적혈구 증가
- 용혈성 위기 발생 가능
- Coombs test +, 혈액 도말상 spherocyte 관찰 가능
2) 신생아 용혈 (Neonatal isoerythrolysis)
- 혈액형 B의 어미가 A형 수컷과 교배 → A형 혹은 AB형 자묘 출산 시
- 초유 섭취 후 어미의 항-A 항체가 자묘의 적혈구를 파괴
4. 감염성 적혈구 질환
Haemotropic Mycoplasma (예: Mycoplasma haemofelis)
- RBC 표면에 부착하여 용혈성 빈혈 유발
- PCR 검사로 진단
- 증상:
- 무기력, 식욕부진, 발열, 황달
- 치료: doxycycline, prednisolone 병용
5. 선천성 적혈구 질환
1) 피루브산 키네이스 결핍 (PK deficiency)
- Abyssinian, Somali, Bengal 등에서 보고
- 만성 재생성 빈혈, 간비대, 황달
2) 포스포프럭토키네이스 결핍 (PFK deficiency)
- 드물게 보고, 운동 불내성, 빈혈, 근육통 동반 가능
6. 진단 접근법 요약
검사 목적
CBC (RBC, HCT, Reticulocyte) | 빈혈 유무, 재생성 여부 판단 |
혈액도말 | spherocyte, Heinz body, parasite 등 확인 |
Coombs test | IMHA 진단 |
PCR | Mycoplasma haemofelis 등 감염 확인 |
생화학검사 | 간/신장 기능, 전해질, 단백 농도 등 확인 |
영상진단 | 출혈 위치, 종양 등 병변 확인 |
골수검사 | 비재생성 빈혈 감별 (골수형성 여부 확인) |
요약 정리
질환군 대표 질환 특징 및 진단 포인트
빈혈 | 재생성 vs 비재생성 | 망상적혈구 수, 출혈 유무, 용혈 여부 |
적혈구 증가증 | 상대적 vs 절대적 | PCV 증가, EPO 수치, 조직 저산소증 |
용혈성 질환 | IMHA, 신생아 용혈 | spherocyte, Coombs(+), 황달, 농축된 소변 |
감염성 | Haemotropic Mycoplasma | 발열, 빈혈, PCR 양성 |
선천성 | PK 결핍 등 | 특정 품종, 만성 재생성 빈혈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