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양이 비장 종양 절제술(Splenectomy)

아랑드롱드롱 2024. 11. 13. 06:18
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의 비장 종양 절제술(Splenectomy)은 비장의 종양이나 병리학적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비장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절차입니다. 고양이에서는 비장 종양이 개보다 덜 흔하지만, 진단과 치료는 종양의 유형 및 고양이의 상태에 따라 신중히 결정됩니다.


1. 비장 종양의 종류와 특성

양성 종양:

  • 비장 결절성 과형성(Nodular Hyperplasia): 비장의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
  • 혈종(Hematoma): 비장 내 출혈로 인해 발생하며, 악성 종양과 유사한 외형을 가질 수 있음.

악성 종양:

  • 혈관육종(Hemangiosarcoma): 가장 흔한 악성 비장 종양으로, 혈관의 내피 세포에서 발생.
  • 림프종(Lymphoma): 고양이에서 전신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혈액암.
  • 기타 악성 종양: 섬유육종(Fibrosarcoma), 평활근육종(Leiomyosarcoma) 등.

악성 종양은 전이가 흔하며, 특히 간, 폐, 복강 내 장기 등으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


2. 비장 종양 절제술이 필요한 경우

  • 종양 파열: 내출혈이 발생해 복강 내 출혈로 이어질 경우.
  • 종양으로 인한 빈혈: 적혈구 파괴(용혈성 빈혈) 또는 종양이 혈액학적 문제를 일으킬 때.
  • 비장의 크기 증가: 초음파 및 X선 검사에서 비정상적 비장 확대가 확인될 경우.
  • 전이 가능성 차단: 악성 종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예방적 절제.

3. 수술 전 평가

임상 검사:

  1. 혈액 검사:
    • 빈혈, 응고 장애, 백혈구 수 변화 확인.
    • 간 및 신장 기능 평가.
  2. 영상 검사:
    • 복부 초음파: 비장의 크기와 구조를 분석하고 주변 장기의 전이 여부 확인.
    • 흉부 X선: 폐 전이 여부 확인.
  3. 심장 검사:
    • 심장 초음파로 심장 내 혈관육종 여부 평가.
  4. 수액 및 안정화:
    • 심한 출혈이 있는 경우 수액 요법 및 수혈로 순환을 안정화.

4. 수술 과정

1) 마취:

  • 전신 마취를 시행하며, 수술 중 혈압, 산소 포화도, 심박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2) 복강 절개:

  • 고양이 복부를 중앙선(midline)을 따라 절개하여 비장을 노출.

3) 비장의 혈관 결찰:

  • 비장에 연결된 주요 혈관을 결찰하거나 클립으로 고정하여 출혈을 차단.

4) 비장 제거:

  • 비장을 완전히 분리하여 제거.
  • 제거된 비장은 병리검사를 위해 보내져 종양의 성질과 악성 여부를 확인.

5) 복강 확인 및 세척:

  • 출혈 여부를 확인하고 복강을 세척하여 남아 있는 혈액이나 조직 파편 제거.

6) 봉합:

  • 복부를 여러 층으로 봉합하여 수술 부위를 밀봉.

5. 수술 후 관리

입원 및 회복:

  • 수술 후 고양이는 1~3일간 입원이 필요하며, 출혈, 감염, 또는 통증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관찰.

약물 치료:

  1. 진통제:
    • 오피오이드 또는 NSAIDs로 통증 완화.
  2. 항생제:
    • 수술 후 감염 예방을 위해 광범위 항생제 투여.

모니터링:

  • 혈압, 심박수, 체온, 복강 내 출혈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
  • 혈액 검사를 통해 빈혈 및 응고 상태 확인.

병리 결과:

  • 병리 검사 결과에 따라 악성 종양일 경우 화학요법 같은 추가 치료가 필요.

6. 합병증

출혈:

  • 수술 중이나 수술 후 비장의 혈관 결찰 부위에서 출혈 발생 가능.

감염:

  • 복강 내 감염 또는 수술 부위 감염.

빈혈:

  • 비장의 종양 파열로 인한 빈혈이 수술 후에도 지속될 수 있음.

혈전:

  • 비장 제거 후 혈액 응고 과정의 변화로 인해 혈전증 발생 가능.

면역 기능 저하:

  • 비장이 면역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감염에 더 취약해질 가능성 있음.

7. 예후

양성 종양:

  • 수술 후 예후가 매우 좋으며 추가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

악성 종양:

  • 혈관육종이나 림프종의 경우 전이가 흔하여 생존 기간이 제한적.
  • 혈관육종의 경우 평균 생존 기간은 36개월이며, 화학요법 병행 시 9~12개월까지 연장 가능.

8. 비장 제거 후 삶의 질

  • 비장이 없더라도 간이 비장의 일부 기능을 대신하기 때문에 고양이는 비교적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습니다.
  • 그러나 면역 기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감염 예방과 정기 검진이 필요합니다.

요약

고양이의 비장 종양 절제술은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출혈, 악성 종양 등)을 해결하기 위한 외과적 절차입니다. 수술 후 관리와 병리 검사 결과에 따른 추가 치료가 중요하며, 종양의 성질과 전이 여부에 따라 예후가 결정됩니다.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고양이의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비장 종양 절제술

비장이란?

비장은 혈액을 걸러내고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장기입니다. 혈액 속 노폐물과 늙은 적혈구를 제거하고, 림프구를 생성하여 감염에 대한 방어 작용을 합니다.

고양이 비장 종양이란?

고양이 비장에 생기는 혹을 종양이라고 합니다. 종양은 크기와 성질에 따라 양성과 악성으로 나뉘며, 대부분의 비장 종양은 양성입니다. 하지만 악성 종양일 경우 다른 장기로 전이될 가능성이 있어 빠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비장 종양의 증상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건강검진 중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종양이 커지면서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무기력함: 활력이 없고 평소보다 움직임이 적어집니다.
  • 식욕 부진: 식욕이 없어지거나 음식을 먹지 않습니다.
  • 구토: 구토를 자주 합니다.
  • 설사: 설사를 하거나 변비가 생길 수 있습니다.
  • 복부 팽만: 배가 불러 보입니다.
  • 황달: 흰자위나 잇몸이 노랗게 변합니다.

비장 종양 진단

  • 혈액 검사: 빈혈, 혈소판 감소 등을 확인합니다.
  • 초음파 검사: 비장의 크기와 종양의 위치, 크기를 확인합니다.
  • X-ray 검사: 비장뿐만 아니라 다른 장기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 조직 검사: 종양의 성질을 판단하기 위해 조직 검사를 실시합니다.

비장 종양 치료: 비장 절제술

비장 종양의 가장 일반적인 치료 방법은 비장 절제술입니다. 비장을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로, 종양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복강경 수술 또는 개복 수술을 시행합니다.

  • 수술의 필요성:
    • 종양이 커져 다른 장기를 압박하거나 기능을 저하시킬 경우
    • 종양이 파열될 위험이 있을 경우
    • 종양이 악성일 경우
  • 수술 후 관리:
    • 수술 후에는 충분한 휴식과 항생제 투여가 필요합니다.
    •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재발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비장 절제술 후의 삶

비장은 혈액을 걸러내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다른 장기들이 비장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에 비장을 제거해도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면역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평소 건강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비장 종양 예방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비장 종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균형 잡힌 식단과 충분한 운동을 통해 고양이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