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2025/06 20

고양이 수혈의학(Feline Transfusion Medicine)

고양이 수혈의학(Feline Transfusion Medicine)은 강아지보다 더 복잡하고 섬세한 혈액형 시스템, 자연항체 존재, 소형 체중, 응고장애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특히 고양이는 첫 수혈부터 반드시 혈액형 검사와 교차시험이 필요하며, 부적절한 수혈 시 치명적인 용혈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아래에 고양이 수혈의학을 항목별로 상세하게 정리해 드립니다.1. 수혈의 적응증 (Indications for Transfusion in Cats)1) 빈혈 (Anemia)급성 실혈: 외상, 위장관 출혈 등만성 빈혈: 백혈병, FeLV 감염, 골수 질환, 만성 신장질환 등자가면역 용혈성 빈혈(IMHA)PCV가 15~20% 이하이고 임상 증상이 있을 경우 수혈 고려2)..

카테고리 없음 2025.06.29

강아지 수혈의학(Canine Transfusion Medicine)

강아지 수혈의학은 응급의학, 중환자의학, 수의내과, 외과, 종양학, 중독학 등 다양한 임상 분야에서 필수적인 생명 유지 치료법입니다. 수혈은 출혈, 빈혈, 응고장애, 수술 전후 관리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혈의 적응증, 혈액제제의 종류, 혈액형 및 교차시험, 수혈 반응 관리, 수혈 프로토콜 등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안전하고 효과적인 처치를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그 내용을 항목별로 상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1. 수혈의 적응증 (Indications for Transfusion)1) 빈혈 (Anemia)급성 실혈: 외상, 위장관 출혈 등만성 빈혈: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AIHA), 만성 신부전, 골수질환 등헤마토크릿(HCT) 또는 PCV 2) 혈소판 감소증 / 응고장애면역매개 혈소판 감..

카테고리 없음 2025.06.29

고양이의 비장(spleen) 질환

고양이의 비장(spleen)은 개와 마찬가지로 혈액 저장, 면역 반응, 노화 적혈구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병변의 발생 빈도와 양상, 종양의 빈도, 비장 비대에 대한 반응성 등에서 개와는 일부 차이를 보입니다. 고양이에서는 비장의 병변이 드물게 임상 증상을 유발하지만, 전신 질환이나 악성 종양의 일부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1. 고양이 비장의 생리학 요약기능 설명 혈액 저장스트레스나 저혈량 시 혈액 방출면역 기능림프구 성숙, 이물에 대한 항체 생성적혈구 여과노화 또는 비정상 RBC 제거조혈 기능성체에서도 일부 조혈 기능 유지 2. 고양이 비장 질환 분류A. 비장 비대 (Splenomegaly)1) 전신성(미만성) 비장 비..

카테고리 없음 2025.06.24

강아지의 비장(spleen) 질환

강아지의 비장(spleen)은 면역 기능, 혈액 여과, 적혈구 저장 및 파괴, 혈액량 조절 등의 역할을 하는 장기이며, 다양한 비장 비대, 결절, 종양, 출혈 등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장의 이상은 양성에서 악성 종양, 전신성 질환의 반영, 또는 외상에 의한 응급상황까지 다양합니다.1. 비장의 해부학 및 생리학 요약기능 설명 혈액 저장혈액량 조절, 순환혈액 저장소 역할면역 기능림프구 성숙, 항원 감지 및 면역 반응 유도적혈구 처리노화 RBC 파괴, 철 회수조혈 기능태생기 중요, 성체에서도 스트레스 시 조혈 가능 2. 비장 질환의 분류A. 비장 비대 (Splenomegaly)1) 전신성 비장 비대 (Diffuse Splenomegaly)..

카테고리 없음 2025.06.24

고양이의 림프절(lymph nodes)과 림프관(lymphatic vessels) 질환

고양이의 림프절과 림프관 질환은 다양한 면역계, 감염성, 염증성, 종양성, 기생충성 또는 전신성 질환의 일부로 나타나며, 개와 비교해 약간의 병태생리학적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림프계는 고양이의 질병 진단에서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림프종, 감염병, 단백소실성 장질환(PLE) 등의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1. 고양이 림프계의 해부학적 개요구조 특징 림프절 (LNs)항원을 여과하고 면역반응을 유도. 하악, 액와, 서혜, 장간막 림프절 등림프관 (Lymphatics)림프액(단백, 지질, 면역세포 포함)을 흉관을 통해 정맥으로 운반림프소포/면역조직Peyer’s patches, 장 점막 면역 등 포함됨 2. 림프절 질환A. 림..

카테고리 없음 2025.06.20

강아지의 림프절(lymph nodes)과 림프관(lymphatic vessels) 질환

강아지의 림프절(lymph nodes)과 림프관(lymphatic vessels)은 면역 반응과 조직 간 수분 균형을 조절하는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이들의 질병은 감염성, 염증성, 종양성, 면역매개성, 그리고 기계적 폐색성 질환으로 나눠질 수 있으며, 전신성 질환의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1. 림프계 구조 개요구조 설명 림프절 (LNs)림프액을 여과하며 면역세포(림프구, 대식세포)로 병원체 제거림프관말초조직에서 생성된 림프를 림프절 → 흉관 → 정맥으로 운반주요 림프절장액성(외부 노출) 구조 중심: 하악, 액와, 서혜, 장간막, 후슬개, 천장골 2. 림프절 질환A. 림프절 비대 (Lymphadenomegaly)1) 국소 림프절 비대감염(농양, 피부감염), 외상,..

카테고리 없음 2025.06.20

고양이의 응고(coagulation) 및 섬유소용해(fibrinolysis) 질환

고양이의 응고(coagulation) 및 섬유소용해(fibrinolysis) 질환은 개보다 드물지만, 진단과 치료 시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고양이는 출혈의 임상 징후가 미묘하거나 숨겨진 출혈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1. 고양이의 정상 지혈(hemostasis) 과정 요약고양이의 지혈 기전은 개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생리학적 차이점이 있습니다:요소 고양이 특징 혈소판 수정상범위가 개보다 약간 낮음 (200,000–500,000/µL)응고인자대부분 개와 유사하나 일부 고양이 종에서 선천성 결핍 보고피브리노겐개보다 낮을 수 있음응고 검사PT/aPTT 참조치가 고양이 종마다 다를 수 있음 2. 진단 접근필수 검사 항목검사 ..

카테고리 없음 2025.06.19

강아지의 응고(Coagulation) 및 섬유소용해(Fibrinolysis) 질환

강아지의 응고(Coagulation) 및 섬유소용해(Fibrinolysis) 질환은 지혈(hemostasis) 과정의 이상으로 인해 과도한 출혈 또는 혈전 형성의 문제를 유발하는 복잡한 질환군입니다. 이들 질환은 1차 지혈(혈소판 이상), 2차 지혈(응고인자 이상), 그리고 3차 지혈(섬유소용해 및 혈전 해소 이상)으로 나눠 이해할 수 있습니다.1. 정상적인 혈액응고와 섬유소용해 개요정상 혈액응고 과정혈관 손상 → 1차 지혈혈관 수축 + 혈소판의 부착, 활성화, 응집2차 지혈응고인자 활성화 → 트롬빈(thrombin) 생성 → 피브리노겐(fibrinogen) → 피브린(fibrin) 형성 → 혈전 안정화3차 지혈: 섬유소용해혈전 제거: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 → 플라스민(plasmin) → ..

카테고리 없음 2025.06.19

고양이의 혈소판 이상과 폰 빌레브란트병

강아지와 마찬가지로 고양이에서도 혈소판 이상과 폰 빌레브란트병(Von Willebrand Disease, vWD)이 출혈성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고양이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문 편입니다. 고양이의 생리적 특성과 질병 발생률 차이를 고려하여 아래에 상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고양이의 혈소판 이상과 폰 빌레브란트병Ⅰ. 혈소판 이상 (Thrombocytopenia / Thrombocytopathy in Cats)1. 고양이 혈소판 생리학적 특징고양이는 혈소판 수가 개보다 낮은 경향이 있지만, 기능은 정상이면 출혈이 잘 발생하지 않음채혈 후 혈소판 응집(clumping)이 흔해 자동계산기에서 과소평가되는 경우 많음따라서 말초 혈액도말 검사로 직접 확인이 중요2. 고양이 혈소판 감소증 (Thrombocytop..

카테고리 없음 2025.06.18

강아지의 혈소판 이상과 폰빌레브란트병

강아지의 혈소판 이상(platelet disorders)과 폰빌레브란트병(von Willebrand disease, vWD)은 출혈 경향을 보이는 주요한 혈액 질환입니다. 각각의 병태생리, 임상 증상, 진단 및 치료 접근을 구분해서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1. 혈소판 이상 (Platelet Disorders)혈소판 이상은 다음 두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1-1. 혈소판 수의 이상 (Thrombocytopenia / Thrombocytosis)▪ Thrombocytopenia (혈소판 감소증)정의: 혈소판 수가 원인 분류:감소된 생성: 골수 질환 (재생불량빈혈, 백혈병 등)과도한 소비: DIC, 혈관 내 응고면역 매개 파괴: ITP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비장 격리: 비장종대 시 혈소판이 격리되어 감소증상:..

카테고리 없음 2025.06.17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