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양이 아스피린 중독증 (Aspirin Toxicosis)

아랑드롱드롱 2024. 12. 21. 07:06
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아스피린 중독증 (Aspirin Toxicosis)

아스피린(아세틸살리실산)은 고양이에게 매우 독성이 강한 약물로, 강아지나 인간보다 대사 능력이 낮아 더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고양이에서의 아스피린 중독은 과량 복용, 장기간 사용, 또는 부주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1. 원인

  1. 부적절한 투여: 보호자가 인간용 아스피린을 고양이에게 투여하거나, 정확한 용량을 계산하지 않은 경우.
  2. 우발적 섭취: 고양이가 약물을 물거나 삼킨 경우.
  3. 장기 사용: 낮은 용량이라도 장기간 사용할 경우 중독 증상이 서서히 나타날 수 있음.

2. 고양이의 대사 특성

고양이는 간에서 글루쿠로닐 트랜스퍼라제(glucuronyl transferase) 효소의 활성이 낮아 아스피린의 대사가 느립니다.

  • 아스피린이 체내에 축적되며, 독성이 증가.
  • 살리실산(salicylic acid) 축적으로 인해 간, 신장, 위장관, 혈액 응고 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침.

3. 독성 작용 기전

  • 위장 점막 손상: 위산 분비 증가와 점막 보호 기능 저하로 인해 궤양과 출혈 발생.
  • 혈소판 억제: 혈소판 응집 방해로 출혈 경향 증가.
  • 산염기 불균형: 살리실산 축적으로 대사성 산증 유발.
  • 간독성: 간세포 손상으로 간 효소 상승 및 기능 저하.
  • 신장 손상: 신장 혈류 감소 및 급성 신부전 위험 증가.

4. 증상

4.1 급성 중독

  • 구토 (피가 섞인 경우 흔함).
  • 식욕 부진.
  • 복통.
  • 설사.
  • 무기력, 혼수.
  • 잇몸 출혈, 코피.
  • 빠른 호흡(대사성 산증의 보상작용).

4.2 만성 중독

  • 체중 감소.
  • 만성 구토 및 설사.
  • 흑색변(장 출혈 신호).
  • 황달(간 손상 징후).
  • 발작, 근육 경련(신경학적 증상).

5. 진단

5.1 병력 확인

  • 아스피린 섭취 여부, 섭취량, 시간 기록.
  • 보호자가 제공한 약물 정보 확인.

5.2 신체 검사

  • 점막 창백(빈혈 징후).
  • 복부 통증.
  • 출혈 소견(피하출혈, 혈뇨 등).

5.3 실험실 검사

  1. CBC(전혈구 검사):
    • 빈혈, 혈소판 감소.
  2. 생화학 검사:
    • 간 효소 상승(ALT, AST).
    • 전해질 불균형(특히 저칼륨혈증).
  3. 혈액 가스 분석:
    • 대사성 산증.
  4. 응고 검사:
    • PT/PTT 연장(출혈 경향).
  5. 요분석:
    • 혈뇨, 단백뇨(신장 손상 징후).

5.4 영상 검사

  • 복부 방사선 또는 초음파:
    • 위장 내 약물 잔여물 확인.
    • 궤양 또는 출혈 징후.

6. 치료

6.1 초기 처치

  1. 구토 유도: 아스피린 섭취 후 2시간 이내라면 구토를 유도하여 약물 제거.
  2. 활성탄 투여: 잔여 약물의 흡수를 억제.
  3. 위세척: 중증 사례에서 병원에서 시행.

6.2 약물 치료

  1. 위장 보호제:
    • 수크랄페이트(Sucralfate): 위벽 보호.
    • 오메프라졸(Omeprazole) 또는 파모티딘(Famotidine): 위산 억제.
  2. 수액 요법:
    • 전해질 균형 조절.
    • 탈수 개선 및 신장 혈류 유지.
  3. 중탄산 나트륨(NaHCO₃):
    • 산증 교정.
  4. 간 보호제:
    • S-아데노실메티오닌(SAMe) 또는 실리마린(Silymarin).

6.3 응급 치료

  1. 출혈 관리:
    • 혈장 또는 신선 냉동 혈장(FFP) 투여.
    • 심한 출혈 시 수혈.
  2. 항경련제:
    • 발작 시 디아제팜(Diazepam) 또는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6.4 지속적인 모니터링

  • 심혈관 및 신장 기능 모니터링.
  • 혈액 검사 및 전해질 상태 주기적으로 확인.

7. 예후

  • 경미한 중독: 조기 진단과 치료 시 완전 회복 가능.
  • 중증 중독: 간 및 신장 손상으로 인해 장기적인 합병증 위험.
  • 만성적인 사용 또는 치료 지연 시 예후 불량.

8. 예방

  1. 투여 금지: 고양이에게 아스피린 사용 금지.
  2. 안전한 보관: 약물을 고양이가 접근할 수 없는 곳에 보관.
  3. 수의사 상담: 고양이의 약물 치료는 항상 수의사와 상의.

9. 요약

고양이는 아스피린 대사 능력이 낮아 독성에 매우 민감합니다. 의심되는 섭취나 중독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수의사에게 연락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예방이 가장 중요한 대처법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