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심장판막질환(Valvular Heart Disease, VHD)의 증상
고양이에서 심장판막질환(VHD)은 개에서보다 드물며, 가장 흔한 심장질환인 비대성 심근병증(HCM, Hypertrophic Cardiomyopathy)과 연관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승모판 폐쇄부전증(Mitral Valve Regurgitation, MR)이나 대동맥판 협착(Aortic Stenosis, AS)과 같은 판막 질환도 보고됩니다.
고양이의 심장질환은 개와 다르게 증상이 모호하거나 숨기는 경향이 있어 발견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심부전으로 진행될 때까지 별다른 이상이 보이지 않기도 합니다.
1. 초기(보상기, Asymptomatic Stage)
이 단계에서는 심장의 보상 기작이 작동하여 임상 증상이 거의 없거나 미미합니다.
- 무증상 (Silent Phase)
- 고양이는 개보다 심장 질환을 감추는 경향이 강함.
- 보호자가 이상을 알아차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음.
- 청진 시 심잡음(Murmur)
- 정기 건강검진 중 발견되는 경우가 많음.
- 승모판 역류(MR)가 있으면 좌측 심첨부에서 수축기 잡음(Systolic Murmur)이 들림.
- 하지만, 고양이 심장질환은 심잡음이 없어도 진행될 수 있음.
- 심박수 증가(Tachycardia, 빈맥)
- 보상 기전으로 심장이 빠르게 뛰지만, 보호자가 알아차리기 어려움.
- 정상 고양이 심박수: 140~220회/분, 심질환 시 220회 이상 가능.
2. 중기(보상부전기, Mild to Moderate Stage)
심장의 부담이 커지면서 서서히 임상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입니다.
- 운동 불내성(Exercise Intolerance)
- 놀이 시간을 줄이거나 쉽게 피곤해함.
- 높이 뛰는 것을 피하거나, 계단을 오를 때 힘들어함.
- 호흡 패턴 변화(Respiratory Changes)
- 평소보다 숨소리가 거칠어짐.
- 쉬는 동안 호흡수가 증가함(정상: 20~30회/분, 질환 의심: 30회 이상).
- 복식호흡(배를 이용한 호흡)이 나타날 수 있음.
- 식욕 감소 및 체중 감소
- 심장질환이 진행되면서 에너지 대사가 영향을 받아 점진적인 체중 감소가 발생.
- 만성적인 피로와 식욕 저하.
3. 말기(울혈성 심부전기,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심장이 더 이상 보상할 수 없는 상태로, 폐울혈 및 체순환 정체 증상이 나타납니다.
(1) 좌심부전(폐울혈, Pulmonary Congestion) 증상
- 심한 호흡곤란(Dyspnea) 및 청색증(Cyanosis)
- 산소 부족으로 인해 잇몸과 혀가 파랗게 변함(청색증).
- 구강 내 점막이 창백해질 수도 있음.
- 가슴을 벌리고 숨을 쉬거나, 앉은 자세에서 목을 앞으로 빼는 자세(Orthopneic Position)를 취함.
- 기침(Coughing) 발생 가능 (드물지만 가능)
- 개에서 흔하지만 고양이에선 비교적 드물게 나타남.
- 그러나 폐부종이 심하면 기침과 거품 섞인 분홍색 가래 발생 가능.
- 야간 호흡곤란(Paroxysmal Nocturnal Dyspnea)
- 밤에 더 심한 호흡곤란이 나타날 수 있음.
- 수면 중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불안 증세를 보임.
(2) 우심부전(체순환 정체, Systemic Congestion) 증상
- 흉수(Chylothorax) 및 복수(Ascites) 형성
- 흉강 내 체액이 차면서 호흡이 더욱 어려워짐.
- 복강 내 체액이 차면서 복부 팽만 발생.
- 사지 부종(Peripheral Edema)
- 고양이에서는 드물지만, 심한 경우 사지 및 얼굴에 부종이 나타날 수 있음.
- 경정맥 팽창(Jugular Vein Distension)
- 심박출량이 감소하여 목 정맥이 확장되고 도드라짐.
4. 급성 악화(급성 폐부종 또는 급성 혈전색전증)
고양이의 심장판막질환은 종종 급성 혈전색전증(ATE, Arterial Thromboembolism)과 연관될 수 있으며, 이는 응급 상황입니다.
- 고양이 동맥 혈전색전증(FATE, Feline Arterial Thromboembolism)
- 급성 후지 마비(Paralysis of Hindlimbs) 발생
- 혈전이 대동맥 말단에서 혈류를 차단하면서 뒷다리가 차갑고 창백해짐.
- 갑작스러운 절뚝거림 또는 완전한 마비.
- 극심한 통증으로 인해 소리를 지르거나 몸을 움츠림.
- 급성 후지 마비(Paralysis of Hindlimbs) 발생
- 응급 폐부종(Pulmonary Edema)
- 심한 호흡곤란과 산소 부족으로 패닉 상태.
- 혀와 잇몸이 파랗게 변함(청색증).
- 복식호흡이 두드러지고, 호흡이 점점 느려지다가 결국 무호흡 가능.
이러한 급성 상황에서는 즉각적인 응급 치료(산소 치료, 이뇨제, 항응고제 치료 등)가 필요합니다.
결론
고양이의 심장판막질환은 증상이 불명확하여 조기 발견이 어렵지만, 진행되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증상은 운동 불내성, 호흡 패턴 변화, 체중 감소, 호흡곤란이며, 심한 경우 폐울혈, 흉수, 혈전색전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조기 발견을 위해 정기적인 심장 검사(청진, 심초음파, 흉부 방사선 등)를 권장하며, 특히 심잡음이 들리거나 호흡수가 증가한 경우 즉시 수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