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림프종 (Feline Lymphoma)
1. 개요
고양이 림프종(Lymphoma)은 림프구(lymphocyte)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양으로, 고양이에서 가장 흔한 혈액암입니다. 주로 림프절, 장, 흉강, 신장, 간, 비장 등 다양한 장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 Feline Leukemia Virus) 감염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나, 현재는 백신 접종의 보급으로 FeLV 관련 림프종은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2. 원인 및 위험 요소
고양이 림프종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이 질병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 감염
- FeLV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 FeLV 양성 고양이는 림프종 발생 위험이 60배 증가
- 주로 골수형, 종격동형 림프종과 연관
- FIV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 단독으로는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FeLV와 동시 감염될 경우 림프종 발생 가능성 증가
- FeLV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 수동흡연(Second-hand Smoke)
- 간접 흡연이 림프종 발생 위험을 약 2.5배 증가시킴
- 염증성 장질환(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
- 장 림프종과의 관련성이 제기됨 (IBD → 저등급 림프종 진행 가능성)
- 면역 억제 및 유전적 요인
- 특정 유전적 소인이 있는 고양이에서 발생 가능
3. 림프종의 종류
(1) 해부학적 분류 (발생 부위에 따른 분류)
- 소화기형(Alimentary Lymphoma) - 장 림프종
- 가장 흔한 형태 (~50-70%)
- 주로 소장(jejuno-ileum)에 발생하며, 위 또는 대장 침범 가능
- 체중 감소, 식욕 부진, 구토, 설사 등의 증상 유발
- 종격동형(Mediastinal Lymphoma)
- 종격동(흉강 내 림프절, 흉선)에서 발생
- FeLV 양성 고양이에서 자주 발생
- 호흡 곤란, 흉수(pleural effusion), 기침 등의 증상
- 다중 림프절형(Multicentric Lymphoma)
- 말초 림프절을 포함한 여러 장기에 걸쳐 발생
- 비교적 드문 형태
- 신장형(Renal Lymphoma)
- 신장에 국한되거나 전신성 림프종의 일부로 발생
- 신부전(혈뇨, 단백뇨, 고혈압 등)을 유발할 수 있음
- 중추신경계(CNS)로 전이 가능
- 비강형(Nasal Lymphoma)
- 비강(코)에 국한된 림프종
- 코 막힘, 비출혈, 호흡 곤란 등의 증상 유발
-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음
4. 병리학적 분류 (세포학적 특징에 따른 분류)
고양이 림프종은 고등급(High-grade)과 저등급(Low-grade)으로 나뉩니다.
- 고등급(High-grade) 림프종
- 대형 세포(Diffuse Large B-cell Lymphoma)로 구성
- 세포 분열이 빠르고 공격적인 형태
- 항암치료에 대한 반응이 빠르지만 재발 가능성이 높음
- 저등급(Low-grade) 림프종
- 소형 세포(Small Cell Lymphoma)로 구성
- 천천히 진행되며 생존 기간이 길지만, 치료 반응은 제한적
- 소화기형 림프종에서 흔히 발견됨
5. 증상
림프종의 증상은 발생 부위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 소화기형 림프종: 체중 감소, 식욕 부진, 구토, 설사
- 종격동형 림프종: 호흡 곤란, 기침, 흉수
- 다중 림프절형 림프종: 림프절 비대
- 신장형 림프종: 다뇨, 다갈, 신부전 증상
- 비강형 림프종: 코 막힘, 비출혈
6. 진단 방법
- 신체검사 및 병력 청취
- 세침흡인세포검사(FNA, Fine Needle Aspiration)
- 조직생검(Biopsy) 및 면역조직화학검사(IHC, Immunohistochemistry)
- 혈액 검사 및 생화학 검사
- FeLV/FIV 검사 필수
- 고칼슘혈증 가능성
- 영상진단
- X-ray: 종격동 림프종, 폐 전이 확인
- 초음파: 장 림프종, 신장 림프종 확인
- CT/MRI: 비강형, CNS 침범 평가
7. 치료 방법
(1) 항암 치료 (Chemotherapy) - 1차 치료법
- CHOP 프로토콜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Vincristine, Prednisone)
- 고등급 림프종에 효과적
- 평균 생존 기간: 6~12개월
- 코르티코스테로이드(Prednisolone) 단독 요법
- 일시적인 증상 완화 (2~3개월 생존 연장)
- 클로람부실(Chlorambucil) +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요법
- 저등급 소화기형 림프종에서 사용
- 생존 기간: 2~3년
(2) 방사선 치료
- 비강형 림프종에서 효과적
(3) 수술적 절제
- 국소 림프종(예: 비강형)에서 제한적으로 적용
8. 예후 (Prognosis)
- 무치료 시 생존 기간: 1~2개월
- CHOP 항암 치료 시: 6~12개월
- 저등급 림프종(소화기형): 2~3년
- 비강형 림프종: 1~2년 (방사선 치료 시)
9.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eLV 감염 여부: FeLV 양성일 경우 예후 나쁨
- 림프종의 등급: 고등급은 치료 반응이 좋지만 재발 가능성 높음
- 초기 치료 반응 여부: 항암제에 대한 반응이 빠를수록 예후가 좋음
10. 예방 및 관리
- FeLV/FIV 예방 접종
- 건강한 생활 환경 조성 (간접 흡연 피하기)
- 정기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
고양이 림프종은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면 생존 기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저등급 림프종의 경우 수년간 관리가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