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양이 갑상선 절제술 (Thyroidectomy)

아랑드롱드롱 2025. 2. 9. 18:01
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갑상선 절제술 (Thyroidectomy) 

1. 개요

고양이에서 갑상선 절제술(Thyroidectomy)은 주로 갑상선 기능항진증(Feline Hyperthyroidism) 치료를 위해 시행된다.
갑상선 기능항진증은 노령 고양이에서 가장 흔한 내분비 질환 중 하나로, 양성 종양(선종, Adenoma) 또는 결절성 과형성(Hyperplasia) 에 의해 발생한다.

  • 대부분(>95%) 한쪽 또는 양쪽 갑상선의 비종양성 증식에 의해 발생
  • 악성 종양(갑상선 선암, Thyroid carcinoma)는 드물다(1~3%)
  • 치료법 선택지: 약물 치료(Methimazole), 방사성 요오드 치료(I-131), 외과적 절제술(Thyroidectomy)

2. 적응증 (Indications)

갑상선 기능항진증 (Feline Hyperthyroidism) 치료

  • Methimazole(항갑상선제)에 부작용이 있는 경우
  • 약물 치료가 장기적으로 어려운 경우
  • 방사성 요오드 치료(I-131) 불가능한 경우

결절성 과형성 (Nodular Hyperplasia)

  • 한쪽 또는 양쪽 갑상선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면서 과도한 호르몬 분비

갑상선 종양 (Thyroid Tumor)

  • 갑상선 선암(Thyroid carcinoma)은 드물지만, 발견 시 절제 필요

3. 수술 전 준비 (Preoperative Considerations)

1) 전신 건강 평가

  • 고양이의 갑상선 기능항진증은 심장, 신장, 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심혈관계, 신장 기능을 고려하여 마취 및 수술 계획 수립

2) 필수 검사

  • 혈액검사 (CBC, 혈청화학, 전해질 검사)
  • 갑상선 호르몬 검사 (T4, fT4, TSH)
  • 심장 초음파 (Echocardiography) 및 심전도 (ECG): 갑상선 기능항진증으로 인한 심장 질환(비대성 심근증, 고혈압 등) 평가
  • 신장 기능 평가 (BUN, 크레아티닌): 갑상선 기능이 정상화되면 신장 기능이 악화될 가능성 있음
  • 경부 초음파 (Thyroid Ultrasound): 갑상선 크기, 위치, 결절 유무 평가

3) 마취 준비

  • 갑상선 기능항진증이 있는 고양이는 고혈압 및 심장 부정맥 위험 증가
  • 안정화 후 수술 진행 (수술 전 Methimazole 또는 Atenolol 투여 고려)
  • 기관 압박 여부 확인 (갑상선이 커지면 기관을 눌러 마취 중 호흡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4) 수술 전 약물 치료

  • Methimazole을 2~4주 동안 사용하여 갑상선 호르몬을 안정화 → 수술 후 갑상선 기능 저하증 예방
  • 고혈압이 있는 경우 β-차단제(Atenolol) 사용
  • 심부전이 있는 경우 ACE 억제제(Benazepril) 사용

4. 수술 방법 (Surgical Procedure)

1) 마취 및 환자 준비

  • 정맥 마취 유도 후 기관 내 삽관(Intubation)
  • 혈압, 산소포화도, 심전도, 체온 모니터링
  • 경부(ventral neck) 면도 및 소독

2) 접근법 (Surgical Approach)

  • Ventral midline cervical incision (경부 정중 절개)
  • 피하 조직 및 근육을 분리하여 갑상선 노출

3) 갑상선 절제술 (Thyroidectomy Techniques)

  • Unilateral Thyroidectomy (일측 갑상선 절제술)
    • 한쪽 갑상선만 절제 (반대쪽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면 갑상선 호르몬 보충 불필요)
  • Bilateral Thyroidectomy (양측 갑상선 절제술)
    • 양쪽 갑상선을 모두 절제 (부갑상선 손상을 최소화해야 함)

4) 부갑상선 보존 방법

  • 갑상선 절제 시 부갑상선 손상을 최소화해야 저칼슘혈증(Hypocalcemia) 예방 가능
  • 부갑상선이 손상되거나 제거될 경우, 자가 이식 (Parathyroid Autotransplantation) 시행 가능

5. 수술 후 관리 (Postoperative Care)

1) 모니터링 (Postoperative Monitoring)

  • 저칼슘혈증 (Hypocalcemia) 모니터링
    • 양측 절제 후 48시간 이내에 나타날 가능성이 높음
    • 증상: 경련, 근육 경직, 안면 떨림, 무기력
    • 치료: Calcium gluconate IV, 이후 경구 칼슘 및 비타민 D 보충

2) 갑상선 기능 평가

  • 일측 절제 후: 반대쪽 갑상선이 기능을 대신하면 갑상선 호르몬 보충 필요 없음
  • 양측 절제 후: 갑상선 호르몬(T4) 모니터링 필수 → 필요시 L-thyroxine 보충

3) 기타 합병증 예방

  • 후두 신경 손상 (Laryngeal Nerve Damage)
    • 드물지만 후두 마비로 인해 호흡 곤란 발생 가능
  • 출혈 및 혈종 (Hematoma)
    • 경부 수술 후 발생 가능 → 출혈 예방을 위해 지혈 철저히 해야 함

4) 장기적인 관리

  • 수술 후에도 신장 기능 평가 필수
  • 갑상선 기능저하증 발생 여부 확인 후 호르몬 보충 필요 여부 결정

6. 예후 (Prognosis) 및 대체 치료법

수술 성공률 높음 (90% 이상)

  • 단측 갑상선 절제술: 예후 매우 좋음
  • 양측 갑상선 절제술: 부갑상선 손상 여부에 따라 저칼슘혈증 위험

수술 외 대체 치료

  • Methimazole(항갑상선제): 장기 복용 가능하지만 부작용(구토, 간독성, 혈액 이상 등) 발생 가능
  • 방사성 요오드 치료(I-131): 가장 효과적이지만 비용이 높고 시설이 제한적
  • 식이 요법 (요오드 제한 사료): 경증 환자에게 적용 가능

7. 결론

  • 고양이 갑상선 절제술은 주로 갑상선 기능항진증 치료를 위해 시행됨
  • 단측 절제(Unilateral Thyroidectomy)는 합병증이 적고 예후가 좋음
  • 양측 절제(Bilateral Thyroidectomy)는 부갑상선 기능 저하 및 저칼슘혈증 위험이 있음
  • 대체 치료법(방사성 요오드 치료, Methimazole 등)과 비교하여 적절한 치료법 선택이 중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