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횡격막 허니아 (Diaphragmatic Hernia)
횡격막 허니아(Diaphragmatic Hernia)는 횡격막(Diaphragm)에 결손(구멍)이 생겨 복부 장기(간, 위, 소장, 비장 등)가 흉강(Thoracic Cavity)으로 이동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호흡 곤란, 흉부 압박, 소화기 문제가 발생하며, 선천성(Peritoneopericardial Diaphragmatic Hernia, PPDH)과 후천성(외상성)으로 나뉩니다.
1. 원인 (Causes)
(1) 선천성 횡격막 허니아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 출생 시 횡격막 형성 이상으로 인해 결손이 존재
- 가장 흔한 형태: 복막심막 횡격막 허니아 (PPDH, Peritoneopericardial Diaphragmatic Hernia)
- 복부 장기(간, 장 등)가 심낭(Pericardial Cavity)으로 이동
- 페르시안(Persian), 메인쿤(Maine Coon) 등에서 유전적으로 보고됨
- 일반적으로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거나 성묘가 될 때까지 발견되지 않을 수 있음
- 심한 경우 심장 압박으로 심부전 발생 가능
(2) 후천성(외상성) 횡격막 허니아 (Acquired Diaphragmatic Hernia)
- 교통사고(Trauma, Hit by Car, HBC)가 가장 흔한 원인
- 높은 곳에서 추락(Fall from Height)
- 복부 외상으로 인해 횡격막이 파열되면서 복부 장기가 흉강으로 이동
- 일반적으로 갑작스럽게 심각한 호흡곤란 발생
2.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1) 복부 장기 이동 → 흉강 압박
- 복부 장기가 흉강으로 이동하며 폐를 압박 → 폐 확장 감소 → 호흡곤란(Dyspnea)
- 심한 경우 심장을 압박하여 순환기 장애 발생
(2) 폐 확장 제한 (Restrictive Lung Expansion)
- 폐가 충분히 확장되지 못해 산소 부족(Hypoxia) 발생
- 흉부가 비대칭적으로 보이거나 청진 시 심음 위치가 변함
(3) 복부 장기의 기능 장애
- 위장관 장애: 장이 흉강으로 이동하면 꼬이거나 압박을 받아 구토, 식욕 저하 발생
- 간 혈류 장애: 간이 흉강 내에서 꼬이면 담즙 정체 및 간 기능 이상
3. 증상 (Clinical Signs)
증상은 허니아의 크기, 장기의 탈출 정도, 발생 속도에 따라 다릅니다.
(1) 급성 횡격막 허니아 (Acute Diaphragmatic Hernia) - 주로 외상성
- 심한 호흡곤란(Dyspnea) → 횡격막이 파열되면서 폐가 압박됨
- 청색증(Cyanosis) → 산소 부족으로 점막이 푸르게 변함
- 심박수 증가(Tachycardia), 빈호흡(Tachypnea)
- 흉부 비대칭 (Asymmetrical Thorax) → 복부 장기가 한쪽 폐를 심하게 압박
- 청진(Auscultation)
- 심장음이 정상 위치에서 들리지 않음 (Displaced Heart Sounds)
- 흉강 내에서 장음(Auscultation of Bowel Sounds in Thorax)
(2) 만성 횡격막 허니아 (Chronic Diaphragmatic Hernia)
- 서서히 진행되며 증상이 미약할 수 있음
- 운동 불내성(Exercise Intolerance)
- 간헐적인 호흡곤란, 기침
- 만성적인 구토, 식욕 저하
4. 진단 (Diagnosis)
(1) 신체검사 (Physical Examination)
- 복부 촉진 시 장기가 흉강으로 이동하여 복부가 평평하게 만져질 수도 있음
- 청진(Auscultation):
- 심장음 위치 변화
- 흉강에서 장음 들림
(2) 방사선 검사 (Radiography, X-ray)
- 횡격막의 윤곽 소실
- 흉강 내 장기 확인 가능 (위장, 장, 간 등)
- 심장 위치 변형
(3) 초음파 검사 (Ultrasonography)
- 간, 비장, 장기 등이 횡격막을 넘어 흉강 내 존재 여부 확인 가능
- 심낭강 내 장기 확인 (PPDH 의심 시)
(4) CT 스캔 (Computed Tomography)
- 고해상도 이미지로 장기 배치 확인 가능
- 수술 계획을 세우기 위한 추가 검사
5. 치료 (Treatment)
(1) 안정화 (Stabilization)
- 산소 공급 (Oxygen Therapy)
- 호흡 곤란이 심할 경우 산소 케이지(Oxygen Cage) 사용
- 흉강 천자 (Thoracocentesis)
- 공기 또는 액체가 차 있는 경우 흉강 내 압력 조절
(2)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 횡격막 복원 수술 (Diaphragmatic Herniorrhaphy)
- 장기를 원래 위치로 복귀
- 횡격막 결손을 봉합
- 수술 시 장기 허혈(Ischemia) 여부 확인 필수
(응급 수술이 필요한 경우)
- 위나 장이 꼬이거나(Gastric or Intestinal Volvulus) 심한 압박을 받을 때
- 호흡 곤란이 심한 경우
(3) 수술 후 관리 (Postoperative Care)
- 흉관(Thoracic Drain) 삽입: 수술 후 공기 및 체액 제거
- 항생제 및 진통제 투여
- 산소 공급 지속
6. 예후 (Prognosis)
- 조기 수술 시 생존율 높음
- 외상성 횡격막 허니아의 경우 빠르게 치료해야 예후가 좋음
- 만성 횡격막 허니아의 경우, 수술 후 합병증 가능성 있음 (유착, 폐부종 등)
7. 결론
고양이의 횡격막 허니아는 선천성(PPDH) 또는 후천성(외상성)으로 발생하며,
복부 장기가 흉강으로 이동하여 호흡곤란, 흉부 압박, 소화기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X-ray, 초음파, CT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며,
심한 경우 응급 외과적 치료(횡격막 복원 수술)가 필요합니다.
➡ 교통사고나 외상 후 호흡곤란이 지속된다면 횡격막 허니아를 반드시 의심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