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

아랑드롱드롱 2025. 2. 20. 10:53
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


1. 개요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은 고양이 장 코로나 바이러스(Feline Enteric Coronavirus, FECV)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전신 감염 질환이다.

  • 면역 매개 질환으로, 전신 염증 반응과 혈관염(vasculitis)을 특징으로 함
  • 주로 어린 고양이(16주~2세)에서 발생하며, 다묘 가정과 보호소에서 위험이 증가
  • 습성(삼출성, Wet)과 건성(비삼출성, Dry)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됨
  • 치료하지 않을 경우 거의 100% 치명적이지만, 최근 GS-441524 및 렘데시비르(Remdesivir) 치료제 개발로 생존율이 높아짐

2. 원인 및 병리 기전

원인

  • FIP는 직접 전염되지 않음!
  • 고양이가 흔히 감염되는 FECV(고양이 장 코로나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FIPV(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us)로 변하면서 발병
  • 변이가 일어난 바이러스가 대식세포(macrophages) 내에서 증식, 전신 염증을 유발
  • 면역 반응이 바이러스 통제에 실패할 경우 혈관염(Vasculitis)과 다발성 장기 손상이 발생

FIP로의 변이 요인

  • 면역력이 약한 어린 고양이, 노령묘
  • 과밀한 환경 (다묘 가정, 보호소 등)
  • 유전적 요인 (특정 혈통에서 발생률 증가, 예: 브리티시 숏헤어, 벵갈, 페르시안)
  • 만성 스트레스 (이사, 입양, 질병, 수술 등)

3. 전파 경로 및 감염 위험 요인

FIP 자체는 전염되지 않음!

  • FIPV는 돌연변이에 의해 개별적으로 발생하며, 고양이 간 직접 전파되지 않음
  • 하지만 FECV는 전염성이 강하여, 다묘 환경에서 감염 위험 증가

감염 위험 요인

  • 다묘 가정 및 보호소 생활
  • 비위생적인 화장실 관리 (FECV 전염 위험 증가)
  • 어린 나이 (16주~2세), 면역력 저하

4. 임상 증상

FIP는 면역 반응과 바이러스 확산 정도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 습성(Wet) FIP: 복수 및 흉수가 주 증상
  • 건성(Dry) FIP: 장기 및 신경계 침범

공통 증상

  • 지속적인 발열 (항생제 반응 없음)
  • 식욕 부진, 체중 감소
  • 무기력, 활력 감소
  • 빈혈, 황달

습성(Wet) FIP (삼출성 형태, Exudative Form)

  • 혈관 염증으로 인해 체액이 복강 또는 흉강으로 누출됨
  • 복수(Ascites, 배가 부름) 또는 흉수(Pleural Effusion, 호흡곤란)
  • 점액질의 황색 삼출액(Protein-rich fluid) 형성
  • 호흡곤란, 복부 팽만
  • 빠른 진행 속도 (수 주 내 치명적)

건성(Dry) FIP (비삼출성 형태, Non-exudative Form)

  • 혈관 염증이 특정 장기(신장, 간, 신경계, 눈 등)에 국한됨
  • 중추신경계 침범 시:
    • 경련, 보행 장애(운동 실조), 마비, 실명
  • 눈 침범 시:
    • 홍채염, 녹내장, 망막 출혈
  • 장기 침범 시:
    • 신부전, 간부전, 림프절 비대
  • 진행이 느리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치명적

5. 진단 방법

1) 병력 및 신체검사

  • 어린 고양이, 다묘 가정에서 발열, 체중 감소, 복수 발생 여부 확인
  • 항생제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만성 발열

2) 혈액 검사

  1. CBC (Complete Blood Count, 혈구 검사)
    • 비재생성 빈혈 (Non-regenerative anemia)
    • 림프구 감소 (Lymphopenia)
  2. 혈청 화학 검사
    • 고단백혈증 (특히 알부민/글로불린 비율이 0.6 이하)
    • 간 수치(AST, ALT) 및 신장 수치 상승 가능

3) 삼출액 분석 (습성 FIP 의심 시)

  • 황색 점액질의 고단백(>3.5 g/dL) 삼출액 확인
  • 변연부 세포침윤 및 면역글로불린 증가

4) PCR 검사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 체액, 혈액, 조직에서 FCoV RNA 검출

5) 면역조직화학 검사 (IHC, Immunohistochemistry) (확진검사)

  • 조직 내 코로나바이러스 항원 검출 (금 표지 면역조직화학법)

6. 치료 방법

FIP는 과거에 치명적인 질병이었지만, 최근 항바이러스 치료제가 개발되면서 생존율이 크게 증가했다.

1) 항바이러스 치료 (현재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

  1. GS-441524 (Remdesivir 유사체)
    • 현재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
    • 84~96% 생존율 보고
    • 12주간 경구 또는 피하 주사 치료
  2. Remdesivir (렘데시비르)
    • GS-441524의 전구약물
    • FIP 치료에 사용 가능

2) 대증 치료 (Supportive Therapy)

  • 스테로이드 (Prednisolone): 염증 억제
  • 항생제 (2차 감염 방지)
  • 수액 요법 (탈수 보충)

7. 예후 및 생존율

과거에는 치명적이었지만, GS-441524 치료로 생존율 상승
치료하지 않으면 대부분 수 주~수 개월 내 사망
습성 FIP가 건성보다 더 치명적이나, 치료 시 생존 가능


8. 예방 방법

FIP 예방 전략

  1. FECV 감염 예방
    • 다묘 가정에서는 위생 관리 철저
    • 화장실 자주 청소 (FECV는 배설물로 전파됨)
  2. 면역력 유지
    • 스트레스 최소화
    • 고품질의 영양 공급
  3. 백신 여부
    • FIP 백신(점비약)이 있으나, 효과는 제한적
    • 일반적으로 예방접종은 권장되지 않음

9. 결론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IP)은 고양이 장 코로나 바이러스(FECV)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 과거에는 치료 불가능한 질병이었으나, GS-441524 및 Remdesivir 치료가 생존율을 크게 향상
  • 초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며, 예방을 위해 위생 관리가 필수적

FIP는 이제 치료 가능한 질병! 조기 진단이 생명을 구한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