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FIV) 감염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FIV)는 고양이의 면역 체계를 공격하는 렌티바이러스(lentivirus)로, 사람의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와 유사한 방식으로 면역 기능을 저하시킵니다. 감염된 고양이는 면역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어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등에 의한 2차 감염에 취약해집니다.
1. 원인 (Etiology)
- FIV는 렌티바이러스(lentivirus) 계열에 속하며, 이 계열의 바이러스는 만성 감염을 유발하고 숙주의 면역계를 서서히 파괴하는 특징을 가집니다.
- FIV는 종 특이성(species-specific)이 있어 사람이나 개와 같은 다른 동물에게 전파되지 않습니다.
2. 감염 경로 (Transmission)
1) 주요 감염 경로
- 심한 물림(bite wound)을 통한 감염
- FIV는 주로 타액(saliva)을 통해 감염되며, 감염된 고양이가 건강한 고양이를 심하게 물 때 가장 흔하게 전파됩니다.
- 따라서 야외에서 싸움을 자주 하는 수컷 고양이가 감염될 확률이 높습니다.
2) 수직 감염(Vertical Transmission)
- 어미 고양이에서 태아로의 전파 가능성은 낮지만, 감염된 어미의 모유를 통해 새끼에게 전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기타 감염 경로
- 혈액, 침, 점막을 통한 감염 가능성이 있으나, 일반적인 접촉(그루밍, 공동 사료 사용)으로는 감염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병리 기전 (Pathogenesis)
FIV는 감염 후 주로 CD4+ T 세포(도움 T 세포)를 공격하여 면역계를 점진적으로 약화시킵니다.
- 급성 감염기 (Acute Phase, 1~3개월)
- 바이러스가 T 림프구에 감염되어 증식하며, 일시적으로 면역 기능이 약화됩니다.
- 이 시기에는 발열, 림프절 비대, 식욕 감소 등의 경미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대부분 자연 회복됩니다.
- 잠복기(무증상기, Asymptomatic Phase, 수년간 지속)
- 바이러스가 체내에 잠복하여 면역세포를 서서히 감소시키지만, 특별한 임상 증상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 이 단계에서 감염된 고양이는 건강하게 보이며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 면역 저하기(AIDS 유사 단계, Immunodeficiency Phase)
- 면역력이 심각하게 약화되어 세균 감염, 곰팡이 감염, 바이러스 감염 등이 쉽게 발생하며, 만성 질환(구내염, 피부병, 호흡기 질환 등)이 나타납니다.
- 만성 설사, 체중 감소, 빈혈, 림프절 비대, 치주 질환, 신경학적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이 단계에서 2차 감염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증가합니다.
4. 임상 증상 (Clinical Signs)
FIV 감염은 개별 고양이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2차 감염에 의해 증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초기 증상 (급성기)
- 미열
- 림프절 종대(부어오름)
- 일시적인 식욕 부진
- 경미한 무기력증
2) 잠복기 (무증상기)
- 증상이 거의 없음
- 정상적인 생활 가능
- 수년간 지속될 수 있음
3) 면역 저하기 (AIDS 유사 단계)
- 만성 치주염 및 구내염(입안 염증, 심한 침 흘림, 통증)
- 피부 감염(곰팡이성 피부염, 세균성 피부 감염)
- 호흡기 감염(재발성 재채기, 콧물, 만성 호흡기 질환)
- 만성 설사
- 신경학적 증상(경련, 행동 변화)
- 체중 감소 및 소모증(cachexia)
- 빈혈 및 혈액 질환
5. 진단 (Diagnosis)
1) 신속 항체 검사(Snap Test, ELISA)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검사법
- 혈액 내 FIV 항체를 검출하여 감염 여부를 판단
- 단점: 감염 초기에 위음성(false negative) 가능, 백신 접종 이력으로 인한 위양성(false positive) 가능
2) PCR 검사 (Polymerase Chain Reaction)
- 바이러스의 유전자를 직접 검출하는 방법으로, 감염 초기에 더욱 정확한 진단 가능
- 그러나 검사 비용이 비싸며, 일부 연구에서는 낮은 민감도(sensitivity) 문제가 지적됨
3) 면역형광항체검사(IFA) &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 추가적인 FIV 감염 확인 검사법이지만, 일반적으로 ELISA와 PCR이 가장 널리 사용됨
6. 치료 (Treatment)
현재까지 FIV를 완치할 수 있는 치료법은 없습니다.
치료는 면역력을 유지하고 2차 감염을 방지하는 것에 중점을 둡니다.
1) 일반적인 치료 및 관리
- 실내 생활 유지 (야외 활동 제한)
- 스트레스 최소화
- 고품질의 영양 공급
- 정기적인 구강 및 전신 건강 관리
2) 면역 조절 치료
- 인터페론 오메가(Interferon-omega, IFN-ω): 면역 증강 효과가 있어 일부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 보고됨
- 항바이러스제(AZT, Zidovudine): HIV 치료제와 유사한 기전으로 작용하지만, 고양이에서 장기간 사용 시 빈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
3) 2차 감염 관리
- 세균 감염 시 항생제 투여
- 진균 감염 시 항진균제 투여
- 구내염 치료를 위한 스테로이드 사용 고려
7. 예방 (Prevention)
1) 백신 (FIV Vaccine)
- 일부 국가에서 사용 가능하나, 백신 접종 후 항체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일 수 있어 제한적 사용
- 백신이 100% 예방 효과를 보장하지 않음
2) 감염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 FIV 감염된 고양이와 비감염 고양이를 분리
- 실내 생활을 유지하여 다른 고양이와의 접촉 최소화
- 중성화 수술을 통해 싸움을 줄여 감염 가능성을 낮춤
8. 결론 (Conclusion)
- FIV는 고양이에서 면역 저하를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주로 물림을 통해 전파됩니다.
- 감염된 고양이는 평균적으로 수년간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으나, 면역 저하기에 접어들면 다양한 2차 감염에 취약해집니다.
- 현재 완치법은 없으며, 실내 생활 유지, 스트레스 관리, 고품질의 영양 공급 및 정기적인 건강 검진이 가장 중요한 관리 방법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