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치과질환

아랑드롱드롱 2025. 3. 9. 17:03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 치과질환 

강아지의 치과질환은 매우 흔하며, 특히 3세 이상의 개의 80% 이상이 어느 정도의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강아지의 치과질환은 치아, 잇몸, 턱뼈 등에 영향을 미치며 전신 건강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1. 주요 치과질환

1) 치석 및 치태(플라그, Plaque & Tartar)

  • 치태(플라그)는 세균, 타액, 음식물 찌꺼기 등이 엉겨 붙어 형성됩니다.
  • 시간이 지나면 미네랄화되어 치석으로 변하며, 단단하게 굳어져 칫솔질로 제거가 어려워집니다.
  • 치석은 치주질환의 주요 원인입니다.

2) 치주질환 (Periodontal Disease)

  • 치태와 치석이 누적되면서 잇몸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치은염(Gingivitis): 초기 단계로, 잇몸이 붉어지고 부어오르며 출혈이 발생합니다.
  • 치주염(Periodontitis): 염증이 진행되어 치아를 지탱하는 조직과 뼈가 손상됩니다. 심하면 치아가 흔들리거나 빠질 수 있습니다.
  • 세균이 혈류를 타고 심장, 신장, 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충치 (Dental Caries)

  • 강아지는 타액의 pH가 상대적으로 높고 치아 표면이 매끄러워 충치가 흔하지 않지만, 특정 견종(예: 치와와, 요크셔테리어)에서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로 치아의 홈이나 움푹 들어간 부위에서 발생하며, 검게 변색되거나 통증을 유발합니다.

4) 부정교합 (Malocclusion)

  • 턱의 구조적 문제로 치아가 올바르게 맞물리지 않는 상태입니다.
  • 선천적인 원인이 많으며, 심한 경우 음식 섭취가 어렵고 치아나 잇몸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5) 치아 외상 (Dental Trauma)

  • 딱딱한 장난감을 씹거나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등의 이유로 치아가 부러지거나 깨질 수 있습니다.
  • 노출된 치수가 감염될 경우 심각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6) 치근 흡수병변 (Tooth Resorption)

  • 치아의 뿌리 부분이 서서히 흡수되는 질환으로,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면역 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심한 경우 치아를 발치해야 합니다.

7) 구강 종양 (Oral Tumor)

  • 양성(예: 치성 종양)과 악성(예: 편평상피세포암, 흑색종) 모두 존재합니다.
  • 종양이 클 경우 통증, 출혈, 식욕부진을 유발할 수 있으며, 악성 종양은 빠르게 전이될 수 있습니다.

2. 증상

치과질환이 있는 강아지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구취(입 냄새)
  • 잇몸 출혈, 부종, 발적
  • 음식 섭취 어려움, 식욕 저하
  • 한쪽으로만 씹기, 침 흘리기
  • 앞발로 입을 자주 긁거나 비빔
  • 치아 흔들림, 빠짐
  • 코 주변이나 턱 아래에 부종 발생(치근 감염 시)

3. 원인과 위험 요인

  • 양치질 부족: 가장 큰 원인으로, 구강 위생이 나쁘면 세균이 빠르게 증식합니다.
  • 부적절한 음식: 부드러운 음식 위주의 식단은 치태 제거 효과가 낮아 치석이 잘 쌓입니다.
  • 소형견(특히 단두종): 잇몸과 치아 구조가 밀집되어 있어 치과질환에 취약합니다.
  • 유전적 요인: 일부 견종(치와와, 요크셔테리어, 푸들 등)은 선천적으로 치아 건강이 약합니다.
  • 면역력 저하: 노령견이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치과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4. 진단

  • 구강 검사: 잇몸 상태, 치석 정도, 치아 손상 여부 등을 평가합니다.
  • 치과 방사선(X-ray): 치근 및 턱뼈 상태를 확인합니다.
  • CT 스캔: 구강 내 종양이나 턱뼈 손상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5. 치료 방법

1) 기본적인 치과 치료

  • 스케일링: 초음파 스케일러를 이용하여 치석과 치태를 제거합니다.
  • 치주치료: 심한 치주염의 경우 치은 절제술이나 플랩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치아 보존 치료

  • 충치 치료: 작은 충치는 레진이나 크라운 치료로 보존할 수 있습니다.
  • 신경 치료(근관 치료, Root Canal Therapy): 치아를 보존해야 하는 경우 치수를 제거하고 채우는 치료를 합니다.

3) 발치 (Tooth Extraction)

  • 치주염이 심해 치아가 흔들리거나 감염이 있는 경우 발치가 필요합니다.

4) 구강 종양 치료

  • 양성 종양은 절제술로 제거하며, 악성 종양은 방사선 치료나 항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6. 예방 및 관리 방법

1) 양치질 (가장 중요!)

  • 일일 양치 습관: 부드러운 강아지용 칫솔과 치약(불소 미포함)을 사용해야 합니다.
  • 올바른 칫솔질 방법: 잇몸과 치아 경계부를 중점적으로 닦아야 합니다.

2) 치과용 간식 및 장난감

  • 기능성 치아 간식: 치석 형성을 억제하는 특수 간식(예: 덴탈 츄, 덴탈 스틱)
  • 치아 마모 방지 장난감: 너무 단단한 장난감은 치아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3) 정기적인 스케일링 및 구강 검사

  • 연 1~2회 치과 검진을 통해 초기 문제를 조기에 발견해야 합니다.

결론

강아지 치과질환은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 정기적인 양치질과 치과 검진을 통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 치과질환이 진행되면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예방 조치를 적극적으로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