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양이 폐실질 질환(Pulmonary Parenchymal Disease in Cats)

아랑드롱드롱 2025. 3. 31. 17:25
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폐실질 질환(Pulmonary Parenchymal Disease in Cats)

고양이의 폐실질 질환은 폐포, 세기관지, 간질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병리적 상태를 포함합니다. 이 질환들은 감염성, 염증성, 종양성, 심혈관성 및 독성 원인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조기에 진단하지 않으면 심각한 호흡곤란과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1. 원인 (Causes)

고양이에서 폐실질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감염성 질환 (Infectious Diseases)

  • 세균성 폐렴 (Bacterial pneumonia)
    •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대장균(Escherichia coli), 클레브시엘라(Klebsiella), 보르데텔라(Bordetella bronchiseptica) 등이 원인균
    • 면역이 저하된 고양이(FIV, FeLV 감염)에서 더욱 취약
  • 바이러스성 폐렴 (Viral pneumonia)
    • 고양이 칼리시바이러스(Feline calicivirus, FCV): 구내염과 함께 폐렴을 유발할 수 있음
    •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 습성(wet form) FIP에서 폐 침윤 발생 가능
    •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ine leukemia virus, FeLV),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FIV): 면역 억제로 인한 기회 감염
  • 진균 감염 (Fungal pneumonia)
    • 히스토플라스마(Histoplasma capsulatum), 크립토코쿠스(Cryptococcus neoformans), 블라스토미세스(Blastomyces dermatitidis) 감염
    • 호흡기 증상 외에도 신경계 및 전신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기생충 감염 (Parasitic pneumonia)
    • 고양이 폐충(Aelurostrongylus abstrusus): 야외 활동이 많은 고양이에서 흔하며, 만성적인 기침과 호흡곤란 유발
    • Toxoplasma gondii 감염 시 폐렴 발생 가능

2) 염증성 폐질환 (Inflammatory Lung Diseases)

  • 고양이 천식 (Feline asthma)
    • 호산구성 기관지염(Eosinophilic bronchitis)과 유사하며 기관지 염증이 심해지면 폐 실질에도 영향을 미침
  • 간질성 폐질환 (Interstitial lung disease, ILD)
    • 알레르기 반응, 환경적 요인(먼지, 연기, 화학물질) 등에 의해 발생
  • 과민성 폐렴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 곰팡이 포자, 미생물, 특정 단백질에 대한 면역반응으로 인해 폐 조직 손상

3) 종양성 질환 (Neoplastic Diseases)

  • 원발성 폐암 (Primary lung cancer)
    • 드문 질환이지만 폐 선암(Adenocarcinoma), 편평상피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 등이 발생할 수 있음
  • 전이성 폐암 (Metastatic lung cancer)
    • 유선종양, 흑색종, 골육종 등의 전이가 흔함

4) 심혈관성 질환 (Cardiovascular Causes)

  • 폐부종 (Pulmonary edema)
    • 심부전(특히 좌심부전)으로 인해 폐 실질에 체액이 차는 현상
    • 비심인성(non-cardiogenic) 원인으로는 패혈증, 신경성 폐부종, 전신적 쇼크 등이 있음
  • 폐혈전색전증 (Pulmonary thromboembolism, PTE)
    • 심장병(HCM, DCM), 고양이 전신성 혈전색전증(FATE)과 연관됨

5) 독성 및 환경적 요인 (Toxic and Environmental Factors)

  • 흡인성 폐렴 (Aspiration pneumonia)
    • 마취 후 회복 과정에서 구토 시 발생 가능
    • 위식도 역류(GERD), 기관식 또는 위관 삽입 후 합병증으로 발생 가능
  • 흡입 독성 (Inhaled toxins)
    • 연기, 화학물질, 향초, 담배 연기 등에 의해 폐 조직 손상

2. 임상 증상 (Clinical Signs)

고양이의 폐실질 질환은 급성 또는 만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인 증상

  • 만성 또는 급성 기침(Cough)
  • 호흡 곤란(Dyspnea), 개구호흡(Open-mouth breathing)
  • 청색증(Cyanosis, 심한 경우)
  • 운동 불내성(Exercise intolerance)
  • 식욕 감소, 체중 감소

청진 소견

  • 습성 수포음(Crackles), 폐음 감소(Diminished breath sounds)
  • 천명음(Wheezing, 기관지 폐질환 동반 시)

3. 진단 방법 (Diagnostic Approach)

1) 영상 진단 (Imaging Studies)

  • 흉부 방사선 촬영(X-ray)
    • 폐 패턴(폐포성, 간질성, 기관지성, 혈관성) 분석
  • 흉부 CT(Computed Tomography, CT)
    • 미세한 폐 병변 확인 및 종양 감별
  • 기관지 내시경(Bronchoscopy)
    • 이물, 염증성 변화, 종양 조직 확인

2) 실험실 검사 (Laboratory Tests)

  • CBC & 생화학 검사: 염증, 감염, 장기 손상 여부 평가
  • 가스 분석 (Arterial blood gas, ABG): 산소화 정도 평가
  • FeLV/FIV 검사: 면역억제 질환 감별

3) 추가 검사

  • 기관폐포세척술 (Bronchoalveolar lavage, BAL): 세포학적 분석 및 병리학적 검사
  • 세균배양 및 감수성 검사: 감염성 폐렴 원인균 확인

4. 치료 방법 (Treatment Approaches)

1) 내과적 치료

  • 항생제(Antibiotics): 세균성 폐렴 치료
  • 항진균제(Antifungal therapy): 크립토코쿠스 등 감염 치료
  • 기관지 확장제(Bronchodilators): 천식 및 기관지염 관리
  • 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 염증성 폐질환 및 천식 치료
  • 산소 요법(Oxygen therapy): 저산소증 환자 관리

2) 대증 치료

  • 수액 요법(Fluid therapy): 탈수 및 전해질 교정
  • 거담제(Mucolytics), 항염증제: 점액 제거 및 호흡기 염증 완화

3) 외과적 치료

  • 폐엽 절제(Lung lobectomy): 종양, 만성 감염 시 적용 가능

5. 예후 및 예방 (Prognosis & Prevention)

예후

  • 감염성 질환은 조기 치료 시 예후 양호
  • 만성 간질성 폐질환 및 폐암의 경우 예후 불량

예방 방법

  • FeLV/FIV 예방 및 정기검진
  • 깨끗한 환경 유지(곰팡이, 화학물질 노출 방지)
  • 예방 접종(FCV, FeLV 등)

고양이 폐실질 질환은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호흡기 증상이 지속되면 즉시 수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