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흉강의 질병

아랑드롱드롱 2025. 4. 1. 16:59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의 흉강(Thoracic cavity)에는 심장, 폐, 기관, 식도, 종격동, 흉막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양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주요 흉강 질병을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폐 및 기도 질환

(1) 폐렴 (Pneumonia)

원인

  •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감염
  •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위 내용물 흡입)
  • 알레르기성 반응

증상

  • 기침, 호흡 곤란
  • 발열, 식욕 저하
  • 청진 시 수포음

진단

  • 흉부 방사선 촬영(X-ray): 폐엽 침윤 확인
  • 기관지 세척검사(BAL), 세균배양검사

치료

  • 항생제, 산소 공급
  • 네뷸라이저(흡입 치료), 기관지 확장제

(2) 기관허탈 (Tracheal Collapse)

원인

  • 기관 연골이 약화되어 함몰
  • 소형견(포메라니안, 요크셔테리어)에서 흔함

증상

  • ‘거위 울음(gOOSE HONK)’ 같은 기침
  • 운동 후 호흡 곤란

진단

  • X-ray(흡기와 호기 촬영 비교)
  • 기관조영술, 기관 내시경

치료

  • 체중 조절, 기관지 확장제
  • 심한 경우 스텐트 삽입

2. 흉막 및 종격동 질환

(3) 기흉 (Pneumothorax)

원인

  • 자발성(특발성) 기흉
  • 외상(교통사고, 낙상)
  • 폐 질환(폐종양, 폐렴)

증상

  • 급성 호흡 곤란
  • 청진 시 호흡음 감소

진단

  • X-ray: 폐 허탈 확인
  • 흉부 초음파(Comet tail sign)

치료

  • 흉강천자(Thoracocentesis)로 공기 제거
  • 심한 경우 흉관 삽입

(4) 흉수 (Pleural Effusion)

원인

  • 울혈성 심부전(CHF)
  • 종양, 감염(화농성 흉막염)
  • 저알부민혈증

증상

  • 복식호흡, 호흡 곤란
  • 청진 시 심음, 호흡음 감소

진단

  • X-ray, 초음파(흉강 내 액체 확인)
  • 흉수 분석(세포학, 세균 배양)

치료

  • 흉강천자, 원인 질환 치료

3. 심장 질환

(5)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원인

  • 승모판 질환(MVD)
  • 확장성 심근병증(DCM)

증상

  • 운동 불내성
  • 기좌호흡, 폐수종

진단

  • 심초음파, NT-proBNP 검사
  • 흉부 방사선(X-ray)

치료

  • ACE 억제제, 강심제
  • 이뇨제(푸로세미드)

결론

강아지의 흉강 질환은 다양하며,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특히 심혈관 및 호흡기 질환은 응급 상황이 많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강아지 흉강 질병 상세 설명

강아지의 흉강(가슴 안 공간)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심장, 폐, 식도, 기관, 주요 혈관 및 림프절 등을 보호하고 있는 중요한 부위입니다. 이 공간에 발생하는 질병은 강아지의 호흡과 순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심각하며, 응급 상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강아지 흉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질병들을 구조 및 원인별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흉막강 (Pleural Space) 질환

흉막강은 폐를 감싸는 흉막과 흉벽 내부를 덮는 흉막 사이의 잠재적인 공간입니다. 정상적으로는 소량의 윤활액만 존재하지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액체나 공기가 축적될 수 있습니다.

  • 흉수 (Pleural Effusion): 흉막강 내에 비정상적으로 액체가 고이는 상태입니다. 원인에 따라 액체의 종류와 성상이 다릅니다.
    • 농흉 (Pyothorax): 세균 감염으로 인해 흉강 내에 고름(농)이 차는 경우입니다. 이물질(풀 씨앗 등) 흡인, 폐렴의 확산, 교상, 식도 파열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심한 호흡곤란, 발열, 기력저하, 식욕부진, 통증 반응 등을 보입니다.
    • 유미흉 (Chylothorax): 림프액(유미, chyle)이 흉관(thoracic duct) 손상이나 기능 이상으로 흉강 내로 누출되어 축적되는 상태입니다. 종양, 심장병, 외상, 선천적 기형 등이 원인일 수 있으나, 특발성(원인 불명)인 경우도 많습니다. 고양이보다는 발생 빈도가 낮습니다. 만성적인 호흡곤란과 체중 감소를 유발합니다.
    • 혈흉 (Hemothorax): 혈액이 흉강 내에 고이는 상태입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외상(교통사고, 추락)으로 인한 내부 출혈입니다. 혈액 응고 장애(예: 살서제 중독), 종양(혈관육종 등)의 파열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성 호흡곤란, 창백한 점막, 쇼크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 누출액/변형 누출액 (Transudate/Modified Transudate): 주로 심부전(특히 우심부전), 저알부민혈증(단백 소실성 장병증/신병증, 간부전), 종양으로 인한 혈관 압박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비교적 맑거나 약간 노란색의 액체가 찹니다. 기저 질환의 증상과 함께 호흡곤란이 나타납니다.
    • 종양성 흉수 (Neoplastic Effusion): 흉강 내 원발성 종양(중피종 등)이나 전이성 종양(유선종양, 림프종, 혈관육종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 기흉 (Pneumothorax): 흉막강 내에 공기가 유입되어 폐가 제대로 팽창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 외상성 기흉: 흉벽의 관통상이나 둔상으로 인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폐가 손상되어 발생합니다. 교통사고가 흔한 원인입니다.
    • 자발성 기흉: 폐 질환(폐기포, 폐종양, 폐렴 등)으로 인해 폐 조직이 약해져 저절로 파열되어 공기가 새어 나오는 경우입니다. 시베리안 허스키 등 특정 품종에서 폐기포(pulmonary bullae) 파열로 인한 자발성 기흉이 호발합니다.
    • 긴장성 기흉 (Tension Pneumothorax): 흉강 내로 공기가 유입되지만 배출되지 않아 흉강 내 압력이 계속 상승하는 응급 상황입니다. 심장과 대혈관을 압박하여 심각한 호흡곤란과 순환 부전을 초래합니다.
    •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빠르고 얕은 호흡, 불안, 청색증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2. 폐 (Lung) 질환

폐는 호흡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핵심 기관입니다.

  • 기관지염 (Bronchitis):
    • 만성 기관지염 (Chronic Bronchitis): 특히 노령의 소형견에서 흔하며, 2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적인 기침이 특징입니다. 기도의 만성 염증과 과도한 점액 분비가 원인입니다. 심해지면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감염성 기관지염 (Infectious Tracheobronchitis, "켄넬코프"): 보데텔라균,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다양한 원인체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마르고 거위 소리 같은 발작적인 기침이 특징입니다.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이차적인 세균성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폐렴 (Pneumonia): 폐 실질 조직의 염증으로, 세균, 바이러스(디스템퍼, 인플루엔자 등), 곰팡이, 기생충 감염 또는 이물질/위 내용물 흡인(오연성 폐렴) 등이 원인입니다. 기침(가래 섞인 기침), 호흡곤란, 발열, 기력저하, 식욕부진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오연성 폐렴은 거대식도, 후두 마비, 마취 후 회복 시 등에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 폐수종 (Pulmonary Edema): 폐포 내에 액체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가스 교환을 방해하는 상태입니다.
    • 심인성 폐수종: 좌심부전(특히 승모판 폐쇄부전증, 확장성 심근병증)으로 인해 폐정맥압이 상승하여 발생합니다. 강아지에서 가장 흔한 폐수종의 원인입니다.
    • 비심인성 폐수종: 심장 문제 외의 원인(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 패혈증, 감전, 익수, 기도 폐쇄, 신경계 이상 등)으로 인해 폐 모세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발생합니다.
    • 심한 호흡곤란, 개구 호흡, 기침(때로는 분홍색 거품 섞인 가래), 불안, 청색증 등을 보이며 즉각적인 처치가 필요한 응급 상황입니다.
  • 폐종양 (Lung Neoplasia): 폐 자체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폐종양(선암종이 가장 흔함) 또는 다른 장기(유선, 뼈, 비장 등)의 암이 폐로 전이된 전이성 폐종양이 있습니다. 전이성 폐종양이 훨씬 흔합니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기침만 보이다가 진행되면 호흡곤란, 운동 불내성, 체중 감소, 기력저하 등을 나타냅니다.
  • 폐엽 염전 (Lung Lobe Torsion): 폐의 일부(엽)가 꼬여 혈액 공급과 공기 흐름이 차단되는 드문 질환입니다. 주로 가슴이 깊은 대형견(아프간 하운드 등)이나 퍼그에서 발생하며, 종종 유미흉과 연관되어 나타납니다. 급성 호흡곤란, 기침, 기력저하 등의 증상을 보이며 응급 수술이 필요합니다.
  • 폐섬유증 (Pulmonary Fibrosis): 폐 조직이 점차 흉터 조직(섬유 조직)으로 대체되어 폐가 뻣뻣해지고 가스 교환 능력이 떨어지는 만성 진행성 질환입니다. 웨스트 하이랜드 화이트 테리어(Westie) 등 특정 품종에서 호발하며, 원인 불명인 경우가 많습니다. 마른 기침, 운동 불내성, 점진적인 호흡곤란이 특징입니다.
  • 폐혈전색전증 (Pulmonary Thromboembolism, PTE): 몸의 다른 부위에서 생긴 혈전(피떡)이 혈류를 타고 폐동맥을 막는 질환입니다. 면역 매개성 용혈성 빈혈(IMHA), 단백 소실성 신병증/장병증, 쿠싱 증후군, 심장 질환, 종양, 수술 후 등 다양한 기저 질환과 관련하여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갑작스러운 심한 호흡곤란, 허탈, 청색증 등을 보이며 진단이 어렵고 예후가 불량한 경우가 많습니다.
  • 폐 기생충 감염: 폐충(Lungworm) 감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3. 심장 (Heart) 질환

강아지에서 심장 질환은 매우 흔하며, 다양한 형태가 존재합니다.

  • 만성 판막 질환 (Chronic Valvular Disease) / 승모판 폐쇄부전증 (Mitral Valve Insufficiency/Endocardiosis): 특히 노령의 소형견(카발리에 킹 찰스 스패니얼, 푸들, 치와와, 말티즈 등)에서 매우 흔한 퇴행성 질환입니다.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승모판이 두꺼워지고 변성되어 제대로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합니다. 진행되면 좌심방/좌심실 확장, 폐수종, 기침, 호흡곤란, 운동 불내성, 실신 등을 유발합니다.
  • 확장성 심근병증 (Dilated Cardiomyopathy, DCM): 주로 도베르만 핀셔, 그레이트 데인, 복서, 코커 스패니얼 등 중대형견에서 호발하는 심장 근육 질환입니다. 심장 근육이 약해지고 얇아져 심실이 확장되고 수축력이 저하됩니다. 이로 인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폐수종, 복수, 부정맥, 기력저하, 실신, 급사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최근 특정 그레인프리 사료와의 연관성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 부정맥 유발성 우심실 심근병증 (Arrhythmogenic Right Ventricular Cardiomyopathy, ARVC): 주로 복서 품종에서 발생하는 유전성 심근 질환으로, 우심실 근육이 지방이나 섬유 조직으로 대체되어 심실성 부정맥과 우심부전을 유발합니다. 실신, 급사가 주요 증상일 수 있습니다.
  • 심낭수 (Pericardial Effusion): 심장을 싸고 있는 심낭(주머니) 안에 액체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상태입니다. 원인으로는 특발성(원인 불명), 종양(혈관육종, 심장 기저부 종양 등), 감염, 심부전 등이 있습니다. 심낭수가 많아지면 심장을 압박하여 심장 탐포네이드(cardiac tamponade)를 유발, 급격한 기력저하, 허탈, 복수, 호흡곤란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심장사상충증 (Heartworm Disease): 모기를 통해 감염되는 심장사상충(Dirofilaria immitis)이 폐동맥과 심장 우측에 기생하며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심장과 폐 혈관에 손상을 입히고 심부전, 폐 고혈압, 혈전색전증 등을 유발합니다. 기침, 호흡곤란, 운동 불내성, 복수,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이며,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 선천성 심장 기형 (Congenital Heart Defects): 동맥관 개존증(PDA), 폐동맥 협착증(PS), 대동맥 협착증(SAS), 심실중격결손(VSD) 등이 있으며, 어린 강아지에서 발견됩니다. 심잡음, 성장 부진, 운동 불내성,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4. 종격동 (Mediastinum) 질환

종격동은 양쪽 폐 사이의 공간으로 심장, 대혈관, 식도, 기관, 흉선, 림프절 등이 위치합니다.

  • 종격동 종괴 (Mediastinal Mass): 종격동 내 비정상적인 덩어리.
    • 림프종 (Lymphoma): 종격동 림프절이나 흉선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흉선종 (Thymoma): 흉선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 양성 또는 악성일 수 있습니다. 종종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이나 다른 종양 관련 증후군을 동반합니다.
    • 심장 기저부 종양 (Heart Base Tumor): 대동맥 소체(chemodectoma) 등 심장 근처 대혈관 주변에서 발생하는 종양입니다.
    • 기타: 식도 유래 종양, 신경 유래 종양, 낭종, 농양, 육아종 등.
    • 종괴가 커지면 주변 구조물(식도, 기관, 혈관)을 압박하여 연하곤란, 호흡곤란, 전대정맥 증후군(앞다리와 머리 부종)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종격동염 (Mediastinitis): 식도 파열이나 감염 확산 등으로 인한 종격동의 염증입니다.
  • 기종격동 (Pneumomediastinum): 종격동 내에 공기가 차는 상태로, 기관/식도 파열, 목 부위의 상처나 시술, 폐포 파열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기관 (Trachea) 질환

  • 기관 허탈 (Tracheal Collapse): 특히 요크셔테리어, 포메라니안, 치와와, 퍼그 등 소형견에서 매우 흔한 질환입니다. 기관 연골이 약해져 호흡 시(특히 흥분하거나 목줄을 당길 때) 기관 내강이 좁아지거나 납작해지는 상태입니다. 거위 소리 같은 특징적인 마른 기침(honking cough), 운동 불내성, 호흡곤란, 청색증 등을 유발합니다. 비만, 호흡기 감염, 심장 비대 등이 악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기관 저형성 (Tracheal Hypoplasia): 선천적으로 기관의 직경이 정상보다 좁은 상태로, 주로 불독과 같은 단두종에서 보입니다.
  • 기관 내 이물 (Tracheal Foreign Body): 음식물, 장난감 조각, 풀 씨앗 등이 기관을 막아 급성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6. 식도 (Esophagus) 질환 (흉강 내 통과)

  • 거대식도 (Megaesophagus): 식도의 운동성이 저하되어 식도가 비정상적으로 확장되고 음식물이 위에 도달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선천적이거나 후천적(근무력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 애디슨병, 특발성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은 역류(regurgitation, 토출)이며, 이로 인해 오연성 폐렴 발생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 혈관륜 기형 (Vascular Ring Anomaly): 선천적으로 비정상적인 혈관이 식도를 감싸 압박하는 기형입니다. 이유식 시작 후 역류 증상을 보이는 어린 강아지에서 의심할 수 있습니다.

7. 횡격막 (Diaphragm) 질환

  • 횡격막 탈장 (Diaphragmatic Hernia): 횡격막(가슴과 배를 나누는 근육)의 파열이나 결손을 통해 복강 내 장기(간, 위, 장, 비장 등)가 흉강 내로 이동하는 상태입니다.
    • 외상성 탈장: 교통사고, 추락 등 복부에 강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 선천성 탈장 (PPDH - Peritoneopericardial Diaphragmatic Hernia): 복강과 심낭 사이의 횡격막 결손이 선천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증상이 없거나 경미할 수도 있습니다.
    • 흉강으로 이동한 장기가 폐와 심장을 압박하여 다양한 정도의 호흡곤란, 소화기 증상(구토 등)을 유발합니다.

8. 흉벽 (Chest Wall) 질환

  • 외상: 늑골 골절, 연가양 흉곽(flail chest - 여러 늑골이 두 군데 이상 골절되어 흉벽 일부가 역설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상태) 등. 호흡곤란과 심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 종양: 늑골에서 발생하는 연골육종, 골육종이나 흉벽의 연부조직 육종 등.
  • 농양/감염: 교상 등으로 인한 흉벽의 감염.

주요 임상 증상

강아지의 흉강 질환은 매우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침 (Cough): 마른 기침, 젖은 기침, 거위 소리 기침 등 양상이 다양함.
  • 호흡곤란 (Dyspnea): 빠르고 얕은 호흡, 노력성 호흡(배를 많이 사용), 개구 호흡(입 벌리고 숨쉬기), 호흡 시 그르렁거리거나 쌕쌕거리는 소리.
  • 운동 불내성: 조금만 움직여도 쉽게 지치거나 숨을 헐떡임.
  • 청색증 (Cyanosis): 혀나 잇몸이 파랗거나 보라색으로 변함 (심각한 산소 부족 상태).
  • 기력저하 및 활동량 감소
  • 식욕부진 및 체중 감소
  • 실신 (Syncope) 또는 허탈 (Collapse)
  • 복부 팽만 (복수): 우심부전 시 동반될 수 있음.
  • 특정 자세 유지: 앞다리를 벌리고 목을 빼거나 앉거나 서서 자려고 하는 등 호흡을 편하게 하려는 자세.

진단

흉강 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들이 필요합니다.

  •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사: 품종, 나이, 증상 발생 시기 및 양상 등을 확인하고 청진(심잡음, 폐음 이상 확인), 타진, 시진(호흡 패턴, 점막 색깔 관찰) 등을 시행합니다.
  • 방사선 검사 (X-ray): 흉강 질환 진단의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검사입니다. 폐, 심장, 흉막강, 종격동, 횡격막, 늑골 등의 전반적인 상태를 평가합니다.
  • 심장 초음파 검사 (Echocardiography):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정밀하게 평가하여 심장병의 종류와 심각도를 진단합니다. 심낭수 확인 및 샘플 채취에도 사용됩니다.
  • 복부 초음파 검사: 전이성 종양 확인, 복수 평가, PPDH 진단 등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심전도 검사 (ECG): 부정맥을 진단하고 심장 질환 평가에 도움을 줍니다.
  • 혈액 검사: 전혈구 검사(CBC), 혈청 화학 검사(Chemistry), 혈액 가스 분석, 심장 바이오마커(proBNP) 검사, 심장사상충 검사, 혈액 응고 검사 등 전신 상태 평가 및 원인 감별에 필요합니다.
  • 흉수/복수 천자 및 분석: 흉강이나 복강 내 액체를 채취하여 성상 확인, 세포 검사, 배양 검사 등을 통해 원인 진단에 도움을 받습니다.
  • CT 검사: X-ray보다 훨씬 상세한 단면 영상을 제공하여 복잡한 폐 병변, 종양의 범위 및 수술 계획 수립, 혈관 기형 진단 등에 매우 유용합니다.
  • 기관지경 검사 및 기관지 폐포 세척 (Bronchoscopy & BAL): 내시경으로 기관지 내부를 직접 관찰하고 세척액을 얻어 세포 및 배양 검사를 시행합니다(만성 기관지염, 폐렴 등 진단).
  • 형광 투시 검사 (Fluoroscopy): 기관 허탈, 거대식도 등 움직이는 구조의 기능 이상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치료

흉강 질환의 치료는 원인 질환과 중증도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 응급 처치: 호흡곤란이 심한 경우 산소 공급, 진정, 흉강 천자(흉수/기흉 제거) 등이 최우선적으로 필요합니다.
  • 약물 치료:
    • 심장병: 이뇨제, 혈관확장제, 강심제, 항부정맥제, 항혈전제 등
    • 감염: 항생제, 항진균제, 구충제
    • 염증/면역: 스테로이드, 기관지 확장제, 면역억제제
    • 기침: 진해제
  • 수술: 횡격막 탈장 교정, 종양 제거, 폐엽 절제술, 심장 수술(PDA 결찰 등), 유미흉 수술(흉관 결찰 등), 심낭 절제술 등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 시술: 기관 스텐트 삽입(기관 허탈), 심낭 천자 등
  • 대증 치료 및 지지 요법: 수액 처치, 영양 공급, 산소 치료, 통증 관리 등 전신 상태를 안정시키고 회복을 돕는 치료를 병행합니다.
  • 생활 관리: 비만 관리(기관 허탈, 심장병 등), 저염식(심장병), 활동 제한, 스트레스 관리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결론

강아지의 흉강 질병은 매우 다양하고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침, 호흡 곤란, 운동 능력 저하, 실신 등의 증상은 심각한 기저 질환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을 발견하면 지체 없이 동물병원에 내원하여 수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강아지의 생명과 삶의 질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