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의 뇌 질환

아랑드롱드롱 2025. 4. 10. 07:20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의 뇌 질환은 매우 다양한 원인과 임상 증상을 보이며, 신경학적 검사, 영상진단(특히 MRI), 혈액검사, 뇌척수액(CSF) 분석 등을 통해 감별 진단합니다. 아래는 강아지에서 흔하게 또는 중요하게 다뤄지는 뇌 질환들을 병인별로 분류하고, 각 질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강아지의 뇌 질환 분류 및 상세 설명

1. 선천성 뇌 질환

  • 수두증(Hydrocephalus)
    • 뇌실 내 뇌척수액의 과잉 축적 → 두개내압 상승
    • 소형견(치와와, 요크셔테리어, 말티즈 등)에서 흔함
    • 증상: 둥근 두개골, 발작, 시각장애, 둔감, 배뇨조절 장애
    • 진단: MRI에서 확장된 뇌실 확인, 뇌피질 위축
    • 치료: 스테로이드, 이뇨제, 심한 경우 VP-shunt 수술
  • 뇌기형(Malformations)
    • 소뇌위축증(Cerebellar hypoplasia), 대뇌이소증(Lissencephaly) 등
    • 보통 어린 개에서 운동실조, 경련, 방향 감각 장애 등

2. 감염성 뇌염 / 뇌수막염

  • 바이러스성: Canine distemper virus (CDV)
    • 경련, 안구진탕, 근간대성 경련, 진행성 뇌기능 저하
    • MRI: 비정형적 백질 병변, CSF에서 단백 증가, 림프구 증가
  • 세균성 / 진균성 / 원충성 뇌염
    • 톡소포자충증(Toxoplasmosis), 네오스포라증(Neosporosis)
    • 뇌실질 농양, 수막염 가능
  • 비감염성 면역매개성 뇌염
    • 소형견에서 많이 발생하며 MRI 및 CSF 분석으로 진단
    종류별 정리:
    • GME (Granulomatous Meningoencephalitis): 소형견에서 가장 흔함, 급성 또는 만성 진행
    • NME (Necrotizing Meningoencephalitis): 파그(Pug), 말티즈 등
    • NLE (Necrotizing Leukoencephalitis): 요크셔테리어에서 주로
    • 공통증상: 발작, 비틀거림, 방향감각 상실, 안구진탕, 정신상태 변화
    • MRI: 다양한 위치에 T2 고신호 병변
    • 치료: 면역억제제 (프레드니솔론, 사이클로스포린 등)

3. 뇌종양 (Brain Tumor)

  • 원발성
    • 수막종(Meningioma): 가장 흔한 원발성 뇌종양, 주로 노령견
    • 교세포종(Glioma): 대뇌 심부에 위치, MRI로 구분 어려움
  • 이차성
    • 혈행성 전이 (유선종양, 림프종 등)
  • 증상: 발작, 시야 장애, 행동 변화
  • 진단: MRI에서 종괴 확인 (조영증강, 뇌부종 동반)
  • 치료: 수술, 방사선, 항암치료, 경련 조절제 병행

4. 대사성 / 독성 뇌병증

  • 간성 뇌병증(Hepatic encephalopathy): 간문맥단락(PSS), 간부전
    • 증상: 밤에 더 심해지는 혼미, 과다침, 머리누르기(head pressing), 발작
    • 진단: 암모니아 상승, 간기능 저하, MRI 상 basal nuclei 고신호
  • 저혈당성 경련
    • 인슐린종, 신생아, 저체온증, Addison’s, 간질환 등
  • 전해질 이상: 고나트륨혈증, 저칼슘혈증 → 신경증상 유발 가능

5. 외상성 뇌손상 (TBI)

  • 교통사고, 추락 등
  • MRI 또는 CT로 출혈, 부종, 압박 평가
  • 치료: 삼투이뇨제(만니톨), 두개내압 조절, 항경련제, 수술적 감압

6. 혈관성 질환 (Stroke)

  • 허혈성 뇌졸중(Ischemic stroke)
    • 갑작스런 신경학적 증상, 보통 비대칭적
    • MRI DWI에서 제한 확산(high signal)
  • 출혈성 뇌졸중(Hemorrhagic stroke)
    • 응고장애, 고혈압, 종양 침윤 등 원인
    • MRI SWI 또는 GRE 시퀀스에서 출혈 확인

7. 간질 (Epilepsy)

  • 특발성 간질: 1~5세 사이, 뇌병변 없이 반복적 발작
  • 이차성 간질: 뇌염, 종양, 뇌기형, 외상 등으로 인해
  • 진단: MRI로 기질적 병변 유무 확인
  • 치료: 항경련제 (페노바르비탈, 레베티라세탐, 브롬화칼륨 등)

진단 접근 방법 요약

  1. 병력청취 & 신경학적 검사
    • 뇌 기능의 국소화(localization)
  2. MRI: 가장 중요한 영상진단 도구
  3. CSF 분석: 단백, 세포수, 감염 유무 평가
  4. 혈액검사 / 간기능검사 / 전해질 / 암모니아
  5. EEG, BAER 등 보조적 신경생리 검사

 

 

 

강아지 뇌 질환: 상세 설명

강아지의 뇌 질환은 매우 다양하며, 그 원인과 증상, 예후도 천차만별입니다. 뇌는 중추 신경계의 핵심으로, 몸의 거의 모든 기능을 통제하기 때문에 뇌에 문제가 생기면 매우 심각하고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강아지에게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뇌 질환들을 원인별, 종류별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발작성 질환 (Seizure Disorders)

  • 뇌전증 (Epilepsy): 가장 흔한 신경계 질환 중 하나입니다. 특별한 뇌 구조 이상이나 다른 원인 없이 반복적인 발작이 발생하는 경우를 '특발성 뇌전증'이라고 하며, 주로 유전적 소인이 있는 특정 품종(예: 비글, 골든 리트리버, 저먼 셰퍼드 등)에서 1~5세 사이에 처음 발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원인: 특발성 (원인 불명, 유전적 요인 추정), 구조적 (뇌종양, 뇌졸중, 뇌염, 외상 후유증), 대사성 (간질환, 신부전, 저혈당), 중독 등.
    • 증상: 전신 발작 (몸이 뻣뻣해지고 떨림, 쓰러짐, 침 흘림, 대소변 실수), 부분 발작 (얼굴 떨림, 허공 씹기, 특정 신체 부위의 경련), 발작 전조 증상 (불안, 숨기, 낑낑거림), 발작 후 혼란 상태 등.
    • 진단: 다른 원인을 배제하는 과정이 중요 (혈액 검사, 영상 검사 등). 특발성 뇌전증은 다른 원인이 없을 때 진단됩니다.
    • 치료: 항경련제 투여 (평생 관리가 필요한 경우가 많음), 원인 질환 치료 (구조적, 대사성 원인).

2. 염증성/감염성 질환 (Inflammatory/Infectious Diseases)

  • 뇌수막염/뇌염 (Meningitis/Encephalitis): 뇌 또는 뇌를 감싸는 수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감염성(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원인과 비감염성(면역 매개성) 원인이 있습니다. 특히 '괴사성 뇌수막염(NME)', '육아종성 뇌수막염(GME)' 등 면역 매개성 뇌염은 특정 소형견 품종에서 더 잘 발생합니다.
    • 원인: 면역 매개성 (가장 흔함), 감염 (홍역 바이러스, 진드기 매개 질병 등), 원인 불명.
    • 증상: 발열, 목 경직/통증, 발작, 행동 변화 (공격성, 무기력), 보행 이상 (비틀거림, 선회), 시력 상실, 의식 저하 등. 증상이 매우 급격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진단: 신경계 검사, MRI 촬영, 뇌척수액(CSF) 검사 (매우 중요).
    • 치료: 면역 억제제 (면역 매개성), 항생제/항진균제 (감염성), 항경련제, 보조 치료. 예후는 원인과 심각도에 따라 다양합니다.

3. 뇌종양 (Brain Tumors)

  • 뇌 자체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종양 (수막종, 신경교종 등)과 다른 부위에서 전이된 전이성 종양이 있습니다. 나이 든 강아지에게 더 흔하게 발생합니다.
    • 원인: 명확히 밝혀지지 않음. 노령, 특정 품종 소인 등.
    • 증상: 종양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매우 다양함. 서서히 진행되는 행동 변화, 발작 (특히 노령견에서 처음 발생한 경우), 보행 이상, 선회 운동, 두부 압박 (머리를 벽에 기대는 행동), 의식 변화, 시력/청력 문제 등.
    • 진단: 신경계 검사, MRI 또는 CT 촬영 (종양 확인 및 평가).
    • 치료: 수술 (가능한 경우), 방사선 치료, 항암 화학 요법, 증상 완화 치료 (스테로이드, 항경련제). 예후는 종양의 종류, 위치, 치료 반응에 따라 크게 다릅니다.

4. 뇌혈관 질환 (Cerebrovascular Accidents, Stroke)

  • 사람의 뇌졸중과 유사하게 뇌혈관이 막히거나(허혈성) 터져서(출혈성)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입니다.
    • 원인: 고혈압, 심장 질환, 신장 질환, 내분비 질환 (쿠싱, 당뇨), 종양, 감염 등 기저 질환과 연관된 경우가 많음. 특발성(원인 불명)도 있습니다.
    • 증상: 갑작스러운 신경 증상 발현이 특징. 균형 상실, 심한 머리 기울임, 선회 운동, 안구 진탕 (눈동자 흔들림), 편측 마비, 의식 변화.
    • 진단: 신경계 검사, MRI 촬영 (뇌 손상 확인), 기저 질환 검사.
    • 치료: 기저 질환 관리, 보조 치료 (수액, 산소 공급 등), 재활 치료. 회복 가능성은 손상 정도와 위치에 따라 다르며, 일부 영구적인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5. 퇴행성 질환 (Degenerative Diseases)

  • 인지 기능 장애 증후군 (Cognitive Dysfunction Syndrome, CDS): 사람의 치매와 유사한 질환으로, 노령견에서 뇌 기능이 점진적으로 퇴화하면서 발생합니다.
    • 원인: 노화에 따른 뇌 구조 및 화학적 변화.
    • 증상 (DISHA 약자):
      • Disorientation (방향 감각 상실): 익숙한 곳에서 길을 잃거나 멍하게 벽을 보고 있음.
      • Interaction changes (상호작용 변화): 보호자와의 교감 감소, 요구 행동 변화.
      • Sleep-wake cycle changes (수면 주기 변화): 밤에 깨어 돌아다니거나 짖음, 낮잠 증가.
      • House-soiling (배변 실수): 훈련된 배변 습관 상실.
      • Activity level changes (활동성 변화): 목적 없는 배회, 활동량 감소 또는 증가, 불안 행동.
    • 진단: 다른 질병 배제, 행동학적 평가.
    • 치료: 완치는 불가능. 환경 풍부화, 행동 교정, 약물 치료 (뇌 혈류 개선제, 항산화제 등), 특수 처방식.

6. 선천성/발달성 질환 (Congenital/Developmental Disorders)

  • 수두증 (Hydrocephalus): 뇌실 내에 뇌척수액(CSF)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뇌압이 상승하고 뇌 조직이 압박받는 질환입니다. 주로 치와와, 요크셔테리어 등 소형견에서 선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원인: 선천적 (뇌척수액 흐름 경로 기형), 후천적 (뇌종양, 뇌염, 외상으로 인한 뇌척수액 흐름 방해).
    • 증상: 돔 모양의 머리, 크게 벌어진 정수리 숨구멍 (천문), 발작, 학습 능력 저하, 행동 이상, 보행 이상, 사시.
    • 진단: 임상 증상, 초음파 (열린 천문을 통해), MRI 또는 CT 촬영.
    • 치료: 약물 치료 (뇌압 하강제, 이뇨제), 수술 (뇌척수액 단락술 - shunt).

7. 외상성 뇌 손상 (Traumatic Brain Injury, TBI)

  • 교통사고, 낙상 등 외부 충격으로 인해 뇌가 손상되는 경우입니다.
    • 증상: 의식 소실, 발작, 출혈 (코, 귀), 동공 크기 비대칭, 호흡 이상, 쇼크 등. 손상 정도에 따라 매우 다양합니다.
    • 치료: 응급 처치 (산소 공급, 쇼크 관리), 뇌압 관리, 약물 치료, 수술 (필요시). 예후는 초기 손상 정도와 치료 반응에 따라 결정됩니다.

강아지 뇌 질환의 공통적인 의심 증상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동물병원에 내원하여 수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발작 또는 경련
  • 갑작스러운 행동 변화 (공격성, 불안, 무기력 등)
  • 보행 이상 (비틀거림, 다리 끌기, 선회 운동)
  • 머리 기울임 (Head tilt)
  • 안구 진탕 (Nystagmus - 눈동자 흔들림)
  • 의식 수준 변화 (멍함, 혼수)
  • 시력 또는 청력 상실
  • 머리를 벽이나 가구에 대고 미는 행동 (Head pressing)
  • 목 통증 또는 경직
  • 원인 불명의 구토

진단과 치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자세한 병력 청취, 신경계 검사, 혈액 검사, 소변 검사, 영상 검사 (X-ray, 초음파, CT, MRI), 뇌척수액 검사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원인 질환, 증상의 심각도, 강아지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약물 치료, 수술, 방사선 치료, 재활 치료, 식이 요법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뇌 질환은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거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과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과 함께 평소 강아지의 행동과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