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의 말초신경 장애(peripheral neuropathy in dogs)

아랑드롱드롱 2025. 4. 15. 18:26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의 말초신경 장애(peripheral neuropathy)는 중추신경계(뇌와 척수)를 벗어난 말초신경(peripheral nerve)의 손상 또는 기능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말초신경은 감각, 운동, 자율신경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 손상의 위치와 범위에 따라 다양한 임상 증상이 나타납니다. 아래에 상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말초신경계의 구성

말초신경계는 다음과 같은 신경 섬유로 구성됩니다:

  • 운동신경(motor nerves): 골격근에 신호를 전달
  • 감각신경(sensory nerves): 피부, 근육, 관절의 감각을 중추로 전달
  • 자율신경(autonomic nerves): 내장기관, 혈관, 땀샘 등을 조절

말초신경은 신경총(plexus), 개별 말초신경, 척수신경근 등 여러 부위에서 손상될 수 있습니다.


2. 원인

말초신경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감염성

  • Neospora caninum 감염: 특히 강아지에서 대퇴신경과 좌골신경 침범 → 비대칭성 후지 마비
  • Toxoplasma gondii
  • Lyme disease (Borrelia burgdorferi)

대사성/내분비성

  •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Diabetic neuropathy): 고령견에서 흔하며, 특히 후지의 근약화 유발
  • 갑상선기능저하증(hypothyroidism): 말초신경 기능 저하와 근육 위축

독성

  • Vincristine, Thallium, Lead(납) 중독

유전성/선천성

  • 일부 견종에서 선천적 말초신경병증 보고됨
    예:
    • Labrador retriever: 선천성 운동신경병증
    • English Springer Spaniel: 신경초 이상증(dysmyelination)

외상성

  • 자동차 사고, 낙상, 목줄 당김 등 → 신경의 직접 손상 (주로 상완신경총, 좌골신경)

면역매개성

  • Idiopathic polyradiculoneuritis: 사람의 Guillain-Barré 유사 질환. 빠르게 진행하는 전신성 마비

3. 임상 증상

말초신경장애는 대개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입니다:

기능                                 증상
 
운동신경 손상 허약, 보행장애, 근위축, 축 늘어짐 (flaccid paralysis), 드래깅
감각신경 손상 통각 이상, 고통, 감각 저하
자율신경 손상 요실금, 변실금, 동공산대, 구강건조, 발한장애 등

이완성 마비(flaccid paralysis)와 심부건반사 소실(areflexia)는 말초신경 손상의 대표적인 징후입니다.


4. 진단 방법

1. 병력 청취 및 신경학적 검사

  • 대칭성 여부, 감각 반응, 심부건 반사 평가

2. 혈액검사

  • T4, 당수치, 전해질, 감염성 항체 검사 등

3. 근전도(EMG), 신경전도검사(NCV)

  • 전기 생리학적으로 신경 전도 속도 및 근육 반응 평가

4. 뇌척수액 분석

  • 다발성 신경근질환 의심시

5. MRI

  • 신경근/척수/신경총 등 병변 감별

5. 치료

원인                        치료
 
감염성 항원제 치료 (예: 클린다마이신 for Neospora)
대사성 원인 질환 관리 (인슐린, 갑상선 호르몬 등)
독성 노출 중단 및 대증 치료
외상성 수술, 물리치료, NSAIDs
면역성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보조 치료
유전성 예후 불량, 증상 완화 위주

6. 재활치료와 예후

  • 물리치료, 레이저 치료, 수중 재활치료 등 활용 가능
  • 급성 면역성 질환은 수 주 내 회복 가능
  • 외상성 손상은 예후가 다양하며, 신경 재생은 느림(수 mm/day)

7. 요약

  • 말초신경병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신경 종류에 따라 증상이 다름
  • 운동, 감각, 자율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
  • EMG/NCV는 진단에 매우 유용
  •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며, 재활치료가 예후 향상에 중요함

 

강아지 말초신경 장애 (Peripheral Neuropathy in Dogs) 상세 설명

강아지의 말초신경 장애(또는 말초신경병증)는 뇌와 척수(중추신경계)를 제외한 나머지 신체 부위로 뻗어 나가는 신경들, 즉 말초신경에 손상이나 기능 이상이 생긴 상태를 말합니다. 이 신경들은 중추신경계로부터 근육, 피부, 내장 기관 등으로 신호를 전달하거나, 반대로 신체 각 부위의 감각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치 전선처럼 신호를 전달하는데, 이 전선에 문제가 생기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말초신경은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으며, 어느 신경이 영향을 받느냐에 따라 증상이 달라집니다.

  1. 운동 신경 (Motor Nerves): 뇌의 명령을 근육으로 전달하여 움직임을 조절합니다.
  2. 감각 신경 (Sensory Nerves): 피부나 다른 기관에서 통증, 온도, 압력, 촉각 등의 감각 정보를 뇌로 전달합니다.
  3. 자율 신경 (Autonomic Nerves): 심장 박동, 혈압, 소화, 배뇨, 호흡 등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조절되는 신체 기능을 담당합니다.

말초신경 장애의 원인: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때로는 원인을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특발성)도 있습니다.

  1. 대사성/내분비 질환:
    • 당뇨병: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혈당 조절이 잘 안 되면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
    •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호르몬 부족이 신경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쿠싱 증후군 (부신피질 기능 항진증): 과도한 코르티솔 호르몬이 신경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외상성 손상:
    • 교통사고, 낙상, 물림 사고 등으로 인한 직접적인 신경 압박, 절단 또는 손상.
    • 수술 중 신경 손상이나 견인으로 인한 손상.
    • 지나치게 꽉 맨 붕대 등으로 인한 신경 압박.
  3. 중독:
    • 특정 약물 (항암제 등)의 부작용.
    • 중금속 (납 등) 또는 살충제 같은 독성 물질 노출.
  4. 면역 매개성 질환:
    • 급성 특발성 다발신경근염 (쿤하운드 마비 유사 질환): 너구리 침 등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추정되며, 갑작스러운 후지 마비로 시작해 전신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면역 체계가 자신의 신경을 공격하는 자가면역 질환의 일종입니다.
    • 만성 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신경병증 (CIDP):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면역 매개성 신경 손상입니다.
  5. 종양:
    • 신경 자체나 신경 주변 조직에 종양이 생겨 신경을 압박하거나 침범하는 경우.
    • 신체 다른 부위의 종양으로 인한 신경종양증후군 (Paraneoplastic Syndrome): 종양이 분비하는 물질이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6. 감염성 질환:
    • 드물지만 특정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이 신경 손상을 유발하거나,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이 신경을 공격할 수 있습니다.
  7. 유전적/선천적 요인:
    • 특정 품종에서 특정 신경 질환이 더 잘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 일부 품종의 후두 마비).
    • 퇴행성 신경 질환 (예: 퇴행성 골수증 초기 증상과 유사할 수 있음).
  8. 영양 결핍:
    • 심각한 비타민 B군 결핍 등은 신경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균형 잡힌 사료를 먹는 경우 흔하지 않습니다.
  9. 특발성 (Idiopathic):
    • 여러 검사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

주요 증상:

손상된 신경의 종류와 위치, 정도에 따라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 운동 신경 증상:
    • 근력 약화: 특히 뒷다리부터 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점진적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일어나거나 걷는 것을 힘들어합니다.
    • 파행 (절뚝거림): 특정 다리를 잘 사용하지 못합니다.
    • 발등으로 걷기 (Knuckling): 발을 디딜 때 발바닥이 아닌 발등으로 땅을 딛습니다.
    • 비틀거림, 보행 실조 (Ataxia): 걸음걸이가 불안정하고 조절이 안 됩니다.
    • 근육 떨림 또는 경련.
    • 근육 위축: 사용하지 않는 근육의 부피가 줄어듭니다.
    • 반사 감소 또는 소실: 수의사가 무릎 반사 등을 검사했을 때 반응이 약하거나 없습니다.
    • 목소리 변화 또는 호흡 곤란: 후두 마비가 동반된 경우 (후두 신경 손상).
  • 감각 신경 증상:
    • 통증: 신경 손상 부위에 통증을 느끼거나, 만지는 것을 싫어할 수 있습니다 (과민증).
    • 감각 저하 또는 소실: 특정 부위를 만지거나 꼬집어도 잘 느끼지 못합니다. 이로 인해 발을 질질 끌거나 다쳐도 인지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이상 감각: 저리거나 따끔거리는 느낌 (사람의 경우), 강아지는 특정 부위를 반복적으로 핥거나 씹는 행동(자해)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 자율 신경 증상 (덜 흔하거나 다른 증상과 동반됨):
    • 배뇨/배변 조절 문제
    • 동공 크기 변화
    • 심박수나 혈압 변화
    • 침 흘림 변화

진단: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 청취와 신경학적 검사가 매우 중요하며, 원인을 찾기 위해 다양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1. 자세한 병력 청취: 증상 발생 시점, 진행 속도, 식이, 환경 변화, 과거 병력 등.
  2. 신체 검사 및 신경학적 검사: 걸음걸이 평가, 자세 반응 검사(발등 딛기 검사 등), 반사 검사, 근육 촉진(위축 여부 확인), 통증 반응 검사 등.
  3. 혈액 검사: 전혈구 검사(CBC), 혈청 화학 검사, 혈당 검사, 갑상선 호르몬 검사 등 (대사성/내분비 질환 감별).
  4. 영상 검사:
    • X-ray: 뼈의 문제, 종양, 외상 흔적 등을 확인.
    • 초음파: 복강 내 장기나 특정 부위 종양 확인.
    • CT 또는 MRI: 척수, 신경 뿌리, 뇌 또는 연부 조직의 문제를 더 정밀하게 확인.
  5. 전기 진단 검사 (신경 기능 직접 평가):
    • 근전도 검사 (EMG):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평가하여 신경 지배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
    • 신경 전도 속도 검사 (NCS): 신경이 신호를 전달하는 속도를 측정하여 신경 손상 여부 및 정도를 평가.
  6. 뇌척수액 (CSF) 검사: 중추신경계 또는 신경 뿌리의 염증이나 감염 여부 확인.
  7. 신경 및 근육 생검: 염증, 퇴행성 변화, 종양 등을 확인하기 위해 조직 샘플을 채취하여 검사. 면역 매개성 질환이나 특정 퇴행성 질환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치료:

치료는 근본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1. 원인 질환 치료:
    • 당뇨병 관리 (인슐린, 식이요법)
    • 갑상선 기능 저하증 치료 (호르몬 보충)
    • 종양 제거 (수술, 항암 치료, 방사선 치료)
    • 면역 매개성 질환 치료 (스테로이드 등 면역 억제제, 면역글로불린 주사 등)
    • 독성 물질 제거 및 해독
    • 감염 치료 (항생제 등)
  2. 대증 요법 및 지지 요법:
    • 통증 관리: 진통제 (가바펜틴, 아만타딘, NSAIDs 등) 투여.
    • 물리 치료 및 재활: 근육 위축 방지, 관절 가동 범위 유지, 보행 개선 등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수중 런닝머신, 마사지, 스트레칭, 운동 요법 등이 포함됩니다.
    • 보조 기구: 보행이 어려운 경우 슬링, 하네스, 휠체어 등 사용.
    • 영양 관리: 균형 잡힌 영양 공급 및 적절한 체중 유지.
    • 간호: 욕창 방지, 청결 유지, 배뇨/배변 보조 등. 감각이 둔화된 발의 상처 예방 및 관리.

예후:

예후는 원인, 신경 손상의 심각도, 진단 및 치료 시점, 강아지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 좋은 예후: 원인이 명확하고 치료 가능한 경우 (예: 잘 관리되는 당뇨병성 신경병증 초기, 외상 후 신경 재생이 가능한 경우, 쿤하운드 마비 등 일부 면역 매개 질환).
  • 불량한 예후: 진행성 퇴행성 질환, 악성 종양, 심각한 신경 손상,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으로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신경 손상은 회복에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몇 주에서 몇 달), 완전히 회복되지 않고 후유증이 남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보호자의 꾸준한 관리와 노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강아지의 말초신경 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복잡한 상태입니다. 만약 강아지가 다리를 절거나, 걷는 것을 힘들어하거나, 특정 부위를 과도하게 핥는 등의 이상 행동을 보인다면,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 계획을 위해 가능한 한 빨리 동물병원에 내원하여 수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