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의 치아 질병

아랑드롱드롱 2025. 4. 25. 17:26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의 치아 질병은 매우 흔하며, 특히 3세 이상의 개에서는 80% 이상이 치주 질환을 겪는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치아 질병은 단순한 구강 문제를 넘어 전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아래에 주요 치아 및 구강 질병들을 상세히 정리해 드릴게요.


1. 치주 질환 (Periodontal disease)

정의:

치은(잇몸)과 치주 인대, 치조골(치아를 지탱하는 뼈) 등 치아 주변 구조물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

단계별 진행:

  • 치은염 (Gingivitis): 플라그(세균막)가 쌓여 잇몸에 염증 → 출혈과 부종
  • 치주염 (Periodontitis): 염증이 잇몸 깊숙이 퍼져 치조골 파괴, 치아 동요 및 탈락

증상:

  • 입 냄새 (halitosis)
  • 잇몸 출혈 및 부종
  • 치아 동요
  • 식욕 저하
  • 구강 통증

진단:

  • 육안 관찰
  • 치주 프로브 검사
  • 구강 방사선 촬영 (Intraoral X-ray)

2. 치아 파절 (Tooth fracture)

원인:

  • 딱딱한 물체(뼈, 돌 등)를 씹다가 파절
  • 외상

분류:

  • 치관 파절 (Crown fracture)
  • 치근 파절 (Root fracture)
  • 노출 여부에 따라: 치수 노출 여부 (complicated/uncomplicated fracture)

문제점:

  • 치수 노출 시 세균 침투 → 치수염, 근단농양
  • 통증, 씹기 어려움

치료:

  • 치수 치료 (root canal)
  • 발치
  • 수복 치료 (resin, crown 등)

3. 치아 변색 (Tooth discoloration)

내인성 변색:

  • 치수 괴사(죽은 치아)로 인해 회색~보라색 변색
  • 외상 후 흔히 발생

외인성 변색:

  • 음식물, 치석, 약물 등으로 인한 표면 착색

중요성:

내인성 변색은 대부분 비활성 치아(죽은 치아)로 치료가 필요함


4. 유치 잔존 (Retained deciduous teeth)

정의:

영구치가 나왔음에도 유치가 빠지지 않음

문제점:

  • 부정 교합 발생
  • 플라그 축적 → 치주 질환 유발

치료:

  • 발치 (특히 소형견에서 흔함 – 예: 말티즈, 푸들 등)

5. Malocclusion (부정교합)

정의:

치아가 정상적인 위치에 있지 않거나 상하악 치아가 맞물리지 않음

원인:

  • 유전적 (두부 형상과 관련)
  • 유치 문제
  • 외상

분류:

  • Class I: 정상 턱 구조 + 치아 배열 문제
  • Class II (과두형): 상악이 전방에 있음 (오버바이트)
  • Class III (과소형): 하악이 전방에 있음 (언더바이트)

🦷 6. 치아흡수병변 (Tooth Resorption, TR)

정의:

치아 구조 자체가 파괴되는 질환 (사람의 치경부 병변과 유사)

원인:

불명확하지만 염증성 요인 및 면역기전 추정

증상:

  • 통증
  • 음식 거부
  • 구강 출혈

진단:

  • 치과 방사선
  • 탐침 검사 시 딱딱한 부분이 아닌 부드럽게 함몰된 부위

치료:

  • 발치가 일반적

7. 치성 종양 (Odontogenic tumors)

종류:

  • 치근낭종 (Dentigerous cyst)
  • 치아모세포종 (Ameloblastoma)
  • 복합치종 (Compound odontoma)

진단:

  • 방사선학적 영상에서 낭성 병변
  • 조직검사 (histopathology)

진단에 필요한 도구들:

  • 치주 탐침기 (periodontal probe)
  • 치과용 방사선 (intraoral radiography)
  • 전신 마취 하 치과 검사
  • 치과용 유닛 (scaler, polisher, 드릴 등)

치료 및 예방 관리:

  • 정기적인 스케일링 (1년에 1~2회)
  • 매일 칫솔질 (가장 효과적인 예방 방법)
  • 전용 구강 제품 사용 (덴탈 껌, 워터 첨가제, 치약 등)
  • 정기 구강 검진 및 영상 진단

품종별 특이사항:

  • 작은 품종 (요크셔, 치와와 등): 치주 질환, 유치 잔존 흔함
  • 단두종 (퍼그, 불독): 부정교합 흔함
  • 큰 품종 (셰퍼드, 골든리트리버 등): 치아파절 흔함

 

 

강아지 치아 질병 상세 설명

강아지의 치아 건강은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삶의 질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단순히 입 냄새 문제로 치부하기에는 심각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보호자의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주요 강아지 치아 질병과 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치주 질환 (Periodontal Disease): 가장 흔하고 중요한 질환

 

치주 질환은 잇몸과 치아를 지지하는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염증성 질환을 통칭합니다. 단계별로 진행되며, 초기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1단계: 치태 (Plaque) 형성
    • 원인: 음식물 찌꺼기와 입안의 세균이 만나 치아 표면에 얇고 끈적한 세균막(치태)을 형성합니다. 매일 형성되므로 꾸준한 제거가 필요합니다.
    • 증상: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거나 약간 누런 막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특별한 통증이나 눈에 띄는 증상은 없습니다.
    • 관리: 매일 양치질을 통해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 2단계: 치석 (Tartar/Calculus) 형성
    • 원인: 치태가 제거되지 않고 침 속의 칼슘, 인 등의 미네랄과 결합하여 단단하게 굳어진 것입니다. 치석 표면은 거칠어서 더 많은 치태가 쉽게 달라붙게 만듭니다.
    • 증상: 치아 표면에 누렇거나 갈색의 단단한 물질이 보입니다. 입 냄새가 나기 시작할 수 있습니다.
    • 관리: 치석은 칫솔질만으로는 제거되지 않으며, 동물병원에서 스케일링(Scaling) 시술을 통해 제거해야 합니다.
  • 3단계: 치은염 (Gingivitis)
    • 원인: 치태와 치석 속 세균이 독소를 분비하여 잇몸에 염증을 일으킵니다.
    • 증상:
      • 잇몸이 붉게 붓거나 부어오름 (Red, swollen gums)
      • 양치질 시 또는 딱딱한 것을 씹을 때 잇몸 출혈 (Bleeding gums)
      • 입 냄새 심화 (Halitosis)
    • 관리: 스케일링과 폴리싱(Polishing)으로 치태/치석을 제거하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은염 단계에서는 잇몸뼈(치조골) 손상 없이 회복이 가능합니다.
  • 4단계: 치주염 (Periodontitis)
    • 원인: 치은염이 치료되지 않고 악화되면 염증이 잇몸 아래 치아 뿌리(치근)와 치아를 지지하는 뼈(치조골)까지 퍼집니다.
    • 증상:
      • 심한 입 냄새
      • 잇몸 퇴축 (잇몸이 내려앉아 치아 뿌리가 드러남)
      • 치아 흔들림 또는 빠짐 (Loose or missing teeth)
      • 씹는 것을 어려워하거나 통증을 보임 (Dropping food, reluctance to eat)
      • 얼굴이나 턱 주변이 붓거나 고름(농)이 나옴 (Facial swelling, pus)
      • 침 흘림 증가, 피 섞인 침
    • 관리: 스케일링, 치근 활택술(Root planing, 치아 뿌리 표면을 매끄럽게 함), 심한 경우 발치(Extraction)가 필요합니다. 항생제 처방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치조골 손상은 비가역적이므로 완치가 어렵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 전신 영향: 치주염의 세균이 혈류를 타고 심장, 신장, 간 등 다른 장기로 퍼져 심각한 전신 질환(심내막염, 신부전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치아 파절 (Tooth Fracture)

  • 원인: 딱딱한 물건(뼈, 돌, 플라스틱 장난감 등)을 씹거나 외부 충격으로 인해 치아가 부러지거나 깨지는 경우입니다.
  • 증상:
    • 깨진 치아 조각이 보임
    • 출혈 또는 신경 노출 (치수 노출 시 통증 유발)
    • 음식을 한쪽으로만 씹거나 씹는 것을 꺼림
    • 침 흘림 증가
    • 얼굴을 만지는 것을 싫어함
  • 관리: 파절 정도에 따라 다릅니다. 치수(신경)가 노출되지 않은 경미한 경우는 레진 등으로 수복하거나 표면을 다듬을 수 있습니다. 치수가 노출된 경우, 신경치료(근관치료) 후 크라운을 씌우거나 발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방치하면 세균 감염으로 치근단 농양 등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3. 치근단 농양 (Tooth Root Abscess)

  • 원인: 치아 파절, 심한 치주염 등으로 인해 치아 뿌리 끝(치근단)에 세균이 감염되어 고름(농) 주머니가 형성되는 것입니다. 주로 위턱의 네 번째 작은 어금니(상악 제4전구치)에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 증상:
    • 눈 밑이나 얼굴 특정 부위가 부어오름 (Facial swelling below the eye)
    • 부어오른 부위에서 고름이 터져 나옴 (Draining tract)
    • 해당 치아 통증으로 씹는 것을 어려워함
    • 식욕 부진, 기력 저하
  • 관리: 원인이 되는 치아의 발치 또는 신경치료가 필요하며, 항생제 치료가 동반됩니다.

4. 잔존 유치 (Retained Deciduous Teeth)

  • 원인: 유치(젖니)가 빠져야 할 시기(보통 생후 6~7개월)에 빠지지 않고 영구치가 나오는 경우입니다. 특히 소형견에게 흔합니다.
  • 증상: 영구치 옆에 유치가 나란히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문제점: 유치와 영구치 사이에 음식물이 끼기 쉬워 치태/치석 형성이 촉진되고 치주 질환이 조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구치가 제자리로 나오지 못하고 부정교합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 관리: 적절한 시기에 빠지지 않는 유치는 동물병원에서 발치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중성화 수술 시 마취하는 김에 함께 발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5. 구강 종양 (Oral Tumors)

  • 원인: 다양한 원인에 의해 입안(잇몸, 혀, 입천장 등)에 비정상적인 조직(혹)이 자라나는 것입니다. 악성(암)과 양성 종양이 있습니다.
  • 증상:
    • 입안에 혹이나 덩어리가 보임
    • 입 냄새, 출혈
    • 침 흘림 증가
    • 씹거나 삼키는 것을 어려워함
    • 식욕 부진, 체중 감소
    • 얼굴 모양 변화
  • 관리: 조직 검사를 통해 양성/악성 여부를 판단하고, 종양의 종류, 크기, 위치, 전이 여부에 따라 수술적 제거,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 등을 결정합니다. 조기 발견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예방 및 관리의 중요성

  • 매일 양치질: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예방 방법입니다. 어릴 때부터 익숙해지도록 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 전용 치약과 칫솔을 사용해야 합니다.
  • 정기적인 구강 검진: 동물병원 방문 시 꾸준히 구강 상태를 확인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받습니다.
  • 전문 스케일링: 필요시 (보통 1년에 1~2회, 개체별 차이 있음) 마취 하에 스케일링 및 구강 검진을 받아 치석과 초기 질환을 관리합니다.
  • 치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단 및 간식: 치석 제거 효과가 입증된 처방식 사료나 덴탈껌, 장난감 등을 보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너무 딱딱한 것은 치아 파절 위험이 있으니 주의)
  • 딱딱한 물건 씹지 않도록 주의: 뼈, 돌, 매우 단단한 플라스틱 등은 피하게 합니다.

강아지의 치아 질병은 통증과 불편함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식욕 부진, 영양 불균형, 나아가 전신 건강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평소 꾸준한 홈케어와 정기적인 동물병원 검진을 통해 반려견의 건강한 미소를 지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상 징후가 보이면 즉시 수의사와 상담하세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