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의 간담도계 질병(hepatobiliary diseases) 은 간, 담낭, 담관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질환을 포함합니다. 질환의 종류가 다양하며, 급성 또는 만성 경과를 가지며, 전신 질환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아래에 구조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간 실질성 질환 (Parenchymal Liver Diseases)
A. 급성 간염 (Acute Hepatitis)
- 원인: 감염(Leptospira, Adenovirus), 독성(진통제, 곰팡이), 면역 매개성 등
- 증상: 식욕감퇴, 구토, 무기력, 황달, 발열
- 검사: ALT, AST 상승 / Bilirubin 증가 / PT, aPTT 연장 / 복수
- 치료: 수액, 간 보호제 (SAMe, silymarin), 비타민 K, 항생제
B. 만성 간염 (Chronic Hepatitis)
- 원인: 특발성 (가장 흔함), 구리 축적 (특히 베들링턴 테리어), 자가면역성
- 증상: 체중 감소, 간헐적 구토/설사, 복수, 출혈성 경향
- 진단: ALT, ALP 상승 / 초음파상 간 불균질 / 간 생검으로 확진
- 치료: 구리배출제(penicillamine), 스테로이드, ursodiol, 간 보호제
2. 대사성 또는 유전성 간질환
A. 문맥전신단락(PSS, Portosystemic Shunt)
- 선천성: Extrahepatic (말티즈, 요크셔테리어), Intrahepatic (대형견)
- 후천성: 만성 간질환에 따른 문맥압 항진
- 증상: 성장부진, 신경증상 (hepatic encephalopathy), 구토, 설사, 요석
- 진단: 혈청 암모니아 ↑, 단백 저하, bile acid test / CT, 포탈 조영술
- 치료: 외과적 결찰 또는 아말감 코일 폐색술, 저단백식, lactulose
B. 구리 관련 간병증 (Copper-Associated Hepatopathy)
- 고위험 견종: 베들링턴 테리어, 도베르만, 웨스트 하이랜드 화이트 테리어
- 병리: 간세포 내 구리 축적 → 만성염증 및 섬유화
- 진단: 간 생검 + rhodanine stain / 간 구리 정량
- 치료: 구리 제한식, Penicillamine, 아연 보충
3. 담도계 질병 (Biliary Tract Diseases)
A. 담관염 / 담즙정체성 간염 (Cholangitis / Cholangiohepatitis)
- 원인: 세균성 역행 감염, 장내 세균, IBD 연관
- 증상: 구토, 식욕감퇴, 발열, 복통, 황달
- 진단: ALP, GGT 상승 / 초음파상 담관 확장, 담즙 점도 증가
- 치료: 광범위 항생제 (amoxicillin-clavulanate, metronidazole), ursodeoxycholic acid
B. 담낭점액종 (Gallbladder Mucocele)
- 정의: 점성이 강한 점액성 담즙이 담낭에 축적되어 형태 이상을 초래
- 고위험 견종: 쉬나우저, 코카 스파니엘
- 증상: 무증상 ~ 구토, 식욕부진, 황달, 복막염
- 초음파 소견: ‘키위’ 패턴의 담낭 내용물, 담낭벽 비후
- 치료: 무증상이면 경과관찰, 증상 있으면 담낭절제술 + 수액, 항생제
C. 담석증 (Cholelithiasis)
- 드묾. 대부분은 무증상
- 문제 발생 시: 담관 폐색, 담낭염, 간수치 상승
- 치료: 필요 시 외과적 제거
4. 종양성 간질환 (Hepatic Neoplasia)
A. 원발성 종양
- 양성: hepatocellular adenoma, bile duct adenoma
- 악성: hepatocellular carcinoma, bile duct carcinoma
- 진단: 초음파, CT, FNA 또는 생검
B. 전이성 종양
- 림프종, 혈관육종, 유선종양, 비장종양 등 → 간으로 전이 가능
5. 진단 접근법 요약
검사 항목 의의
ALT/AST | 간세포 손상의 민감 지표 (ALT는 특히 간 특이적) |
ALP/GGT | 담즙 정체 또는 담관 세포 반응 지표 |
빌리루빈 | 폐쇄성/간세포성 황달 감별 |
총단백/알부민 | 간 합성 기능 반영 |
혈액 응고 (PT/aPTT) | 간의 응고인자 합성 기능 반영 |
Bile Acid Test | 문맥순환 기능 평가 |
초음파/CT | 구조적 이상 확인, 담낭점액종, PSS 등 평가 |
간 생검 | 확진, 질병 원인 구분 (염증, 섬유화, 종양, 구리 축적 등) |
치료 원칙 요약
치료 대상 접근법
염증성 질환 | 항생제, 항염증제, 면역억제제 |
담즙정체 | Ursodeoxycholic acid, 담즙배출 촉진 |
간세포 보호 | SAMe, Silymarin, Vit E |
간성 뇌병증 | Lactulose, 저단백식, 항생제 |
간 기능부전 | 수액, 전해질 보정, 비타민 K |
구조적 이상 (PSS, 담낭점액종 등) | 외과적 치료 고려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