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강아지의 부갑상샘 장애(parathyroid disorders)

아랑드롱드롱 2025. 5. 12. 16:25
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의 부갑상샘 장애(parathyroid disorders)는 칼슘 항상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내분비 질환으로, 부갑상샘 기능항진증(hyperparathyroidism)과 부갑상샘 기능저하증(hypoparathyroidism)으로 크게 나뉘며, 그 외 이차성 기능항진증이 중요하게 다뤄집니다. 아래에서 병태생리, 임상증상, 진단, 치료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부갑상샘의 생리학 개요

  • 호르몬: PTH (parathyroid hormone)
  • 주요 기능:
    • 혈중 칼슘 ↑
    • 혈중 인 감소
    • 작용 부위: 뼈 (resorption), 신장 (Ca 재흡수, P 배설), 장 (비타민 D 활성화 → Ca 흡수)

2.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Primary Hyperparathyroidism)

정의

  • 부갑상샘의 자율적 과다 PTH 분비로 인해 혈중 칼슘 농도가 상승하는 질환
  • 대부분 단일 선종 (adenoma)이 원인

병태생리

  • 과도한 PTH → 뼈에서 칼슘 유리, 신장에서 칼슘 재흡수 ↑, 인 배설 → 고칼슘혈증(hypercalcemia) 유발

임상 증상

증상                                                            설명

 

다갈/다뇨 (PU/PD) 고칼슘혈증 → 신장에서 ADH 저항성
근력 약화, 무기력 신경근 억제
식욕부진, 구토 위장관 운동 저하
요로결석 고칼슘뇨로 인한 결석 형성
근골격 이상 드물지만 골다공증 가능
 

진단

검사                                 결과
 
혈중 총 칼슘 (tCa) 상승
이온화 칼슘 (iCa) 상승 (보다 정확한 지표)
인 (P) 감소 또는 정상
PTH 고칼슘혈증 상태에서도 높은 수치 → 자율적 분비 의미
PTH-rP 말초종양 유발 고칼슘혈증과 감별 (주로 림프종, 항문주위종양 등에서 분비됨)
부갑상샘 초음파 80% 이상에서 비대 확인 가능
경부 CT/MRI 수술 전 위치 확인 시 고려 가능
 

치료

1. 내과적 관리 (고칼슘혈증 조절)

  • 수액요법: 0.9% NaCl → 칼슘 배설 유도
  • Furosemide: 이뇨제, 칼슘 배출 증가
  • Glucocorticoid: 림프종 등 PTH-rP 관련 시 사용
  • Bisphosphonates (Pamidronate): 뼈 칼슘 유출 억제

2. 외과적 치료

  • 부갑상샘 절제술 (Parathyroidectomy): 선종 확인 시 가장 효과적인 근치 치료

수술 후 저칼슘혈증 위험:

  • 정상 조직이 장기간 억제되어 있었기 때문
  • 저칼슘혈증 증상: 안면 떨림, 보행 이상, 경련
  • 예방: Calcium + Vitamin D (calcitriol) 보충

3. 부갑상샘 기능저하증 (Hypoparathyroidism)

정의

  • PTH 분비 감소로 인한 저칼슘혈증 (hypocalcemia)

원인

  • 자가면역 파괴
  • 경부 수술 후 iatrogenic 손상 (예: 갑상샘절제술)
  • 유전적 결핍 (드물게 보고됨)

임상 증상

증상                                                                       설명

 

근육 경련, 테타니 (tetanus) 저칼슘 → 신경근 흥분 증가
안면 떨림, 귀 움직임 이상  
경련, 발작 심한 경우
불안, 긴장, 발성 증가  
 

진단

검사                                         결과
 
iCa ↓↓↓ (결정적 지표)
PTH 낮거나 감지 불가
인 (P) 상승
Magnesium 필요 시 함께 평가 (Mg 결핍도 저Ca 유발)
 

치료

  • 급성기 치료:
    • IV calcium gluconate
    • ECG 모니터링 필요 (고칼슘 투여는 부정맥 유발 가능)
  • 장기 치료:
    • 경구 칼슘제 (calcium carbonate 등)
    • Calcitriol (활성형 비타민 D) 투여

4. 이차성 부갑상샘 기능항진증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분류

  1. 신성 (Renal):
    • 만성 신부전 → 인 배설 저하 + 비타민 D 활성 감소 → 저칼슘 → PTH 보상성 상승
  2. 영양성 (Nutritional):
    • 저칼슘/고인 식이 → PTH 상승 → 골대사 항진 → 성장기 강아지에서 뼈 변형

임상 징후

  • 뼈 통증, 변형, 병적 골절
  • 구부러진 다리, 턱뼈 약화 ("rubber jaw")
  • 성장 부진

치료

  • 원인 교정: 신질환 관리, 식이 개선 (Ca:P 비율 조절)
  • 활성 비타민 D인 결합제 사용

요약 표

질환                             주요 특징              혈중 칼슘  PTH   인      치료

 

1차 기능항진증 선종 → 고칼슘혈증 수술, 수액, 이뇨제
기능저하증 자가면역/수술 후 칼슘 + Calcitriol
이차성 기능항진증 CRF/영양성 보통 ↓ 원인 치료, 식이 조절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