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의 혈액림프계 질환은 혈액세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조혈기관(골수), 림프조직(림프절, 비장, 흉선 등), 림프관과 림프액에 발생하는 질환을 포함하며, 그 병인은 감염, 자가면역, 종양성, 독성, 유전적 요인 등으로 다양합니다.
다음은 주요 질환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을 상세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적혈구 관련 질환 (빈혈, 적혈구 증가증)
A. 빈혈 (Anemia)
- 원인에 따른 분류
- 출혈성 빈혈: 외상, 위장관 출혈, 벼룩 감염 등
- 용혈성 빈혈: IMHA(면역매개 용혈성 빈혈), 혈액기생충 (Babesia, Mycoplasma)
- 재생불량성 빈혈: 골수기능부전 (화학약물, 방사선, FeLV 등)
- 재생성 여부에 따른 분류
- 재생성 빈혈: 골수가 반응하여 망상적혈구 증가 → 출혈 또는 용혈 원인
- 비재생성 빈혈: 골수 기능 저하 → 만성질환, 만성 신부전, 골수이형성증
- 임상 증상
- 무기력, 창백한 점막, 빈호흡, 빈맥, 황달 (용혈성 시)
- 진단
- CBC (HCT/PCV 감소, 망상적혈구 수 측정)
- 말초 혈도말 (적혈구 응집, 포이킬로시토시스)
- Coombs test, 염색체 검사 (유전성 질환 감별)
B. 적혈구 증가증 (Polycythemia)
- 상대적: 탈수 등으로 혈장량 감소
- 절대적
- 1차: 골수의 자발적 과다 생산 (진성 적혈구증가증)
- 2차: 만성 저산소증 (심장병, 폐질환), 신세포 종양에 의한 EPO 과다
- 증상: 점막 발적, 신경 증상(과점성 혈액으로 인한), 고혈압
2. 백혈구 이상 (백혈병, 백혈구 감소/증가증)
A. 백혈구 증가증 (Leukocytosis)
- 감염성: 세균성, 바이러스성, 기생충
- 염증성: 조직 괴사, 파열
- 스트레스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영향
- 종양성: 백혈병
B. 백혈구 감소증 (Leukopenia)
- 감염성: 파보바이러스, 장티푸스, FeLV/FIV (고양이), Ehrlichia
- 약물/화학물질: 항암제, 면역억제제
- 골수질환: 재생불량 빈혈, 골수섬유화
C. 백혈병 (Leukemia)
- 급성 백혈병: 미성숙 백혈구 과증식, 예후 불량
- 만성 백혈병: 성숙 백혈구 과증식, 상대적으로 예후 좋음
- 진단: CBC, 말초혈액도말, 골수천자, Flow cytometry, PCR
3. 혈소판 이상 및 응고 질환
A. 혈소판 감소증 (Thrombocytopenia)
- 면역매개 (ITP): 자가항체에 의한 혈소판 파괴
- 감염성 질환: Ehrlichia, Anaplasma, Leptospira
- 약물 유발: Sulfa, 항암제
- 소모성: DIC, 혈전성 질환
- 증상: 점상출혈, 자반, 멍, 혈뇨, 혈변
B. 응고인자 이상 (응고장애)
- 선천성: 혈우병 A (Factor VIII), B (IX), Von Willebrand 병
- 후천성: 간질환, 비타민 K 결핍, 항응고제 중독 (warfarin)
- 검사: PT, aPTT, ACT, BMBT, D-dimer
4. 림프계 질환
A. 림프절 비대 (Lymphadenopathy)
- 국소성 vs 전신성
- 원인: 감염(바이러스, 세균, 진균, 기생충), 종양, 면역성
B. 림프구증식 질환
- 림프구성 백혈병 (CLL/ALL)
- 림프종 (Lymphoma)
- 가장 흔한 림프계 종양
- 형태: 다중 림프절형(multi-centric), 위장형, 흉부형 등
- 고든 리트리버, 복서 등 유전적 소인이 있는 품종 존재
- 진단: 림프절 흡인 세포학(FNA), 조직생검, PCR for Antigen Receptor Rearrangement (PARR)
- 치료: CHOP protocol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Vincristine, Prednisolone)
- 예후: 종류에 따라 다양 (예: B-cell lymphoma > T-cell lymphoma)
C. 다발성 골수종 (Multiple Myeloma)
- 형질세포의 악성 증식
- 증상: 골통, 고칼슘혈증, 단백뇨, 출혈경향
- 진단: 혈청 단백전기영동(M-spike), 골수 검사
5. 기타 혈액 관련 질환
A. DIC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 원인: 패혈증, 외상, 종양, 전격성 감염
- 기전: 전신적 미세혈전 → 응고인자 고갈 → 출혈 경향
- 검사: PT, aPTT 연장, D-dimer↑, 혈소판↓
- 예후: 매우 불량
종합적 진단 접근법
검사 항목 목적
CBC | 빈혈, 백혈구 이상, 혈소판 평가 |
말초혈액도말 | 세포 형태 이상, 종양세포 확인 |
Coombs test |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평가 |
골수천자 | 조혈계 질환의 확진 |
PT/aPTT | 응고 장애 평가 |
BMBT | 1차 지혈 평가 |
PCR/ELISA/IFA | 감염성 질환 진단 (Ehrlichia, Babesia 등) |
림프절 흡인세포검사 | 림프종, 전이성 암 평가 |
요약
질환군 주요 대표 질환 핵심 특징
적혈구 이상 | IMHA, 재생불량 빈혈 | 황달, 망상적혈구 변화 |
백혈구 이상 | 백혈병, 감염성 백혈구 변화 | CBC, 도말, 골수 검사 중요 |
혈소판/응고장애 | ITP, DIC, 혈우병 | 출혈성 소견, 응고검사 필요 |
림프계 질환 | 림프종, 골수종 | FNA 및 조직검사로 진단 |
전신성 질환 | DIC, 종양성 질환 | 다기관 이상 동반 가능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