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의 비장(spleen)은 면역 기능, 혈액 여과, 적혈구 저장 및 파괴, 혈액량 조절 등의 역할을 하는 장기이며, 다양한 비장 비대, 결절, 종양, 출혈 등의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장의 이상은 양성에서 악성 종양, 전신성 질환의 반영, 또는 외상에 의한 응급상황까지 다양합니다.
1. 비장의 해부학 및 생리학 요약
기능 설명
혈액 저장 | 혈액량 조절, 순환혈액 저장소 역할 |
면역 기능 | 림프구 성숙, 항원 감지 및 면역 반응 유도 |
적혈구 처리 | 노화 RBC 파괴, 철 회수 |
조혈 기능 | 태생기 중요, 성체에서도 스트레스 시 조혈 가능 |
2. 비장 질환의 분류
A. 비장 비대 (Splenomegaly)
1) 전신성 비장 비대 (Diffuse Splenomegaly)
- 양측성, 균질, 혈관이 증가된 형태
- 원인:
- 울혈: 심부전, 간문맥 고혈압
- 면역 반응성: IMHA, 전신감염, 면역질환
- 약물 반응: 페노바르비탈, 티아졸리딘
- 조혈 활성 증가: 혈액 질환
- 진단:
- 초음파: 균일한 저에코성, 경계 명확
- CBC: 재생성 빈혈, 백혈구 증가
- Coombs, ANA 등 면역검사
2) 국소성 비장 병변 (Focal mass/nodule)
- 비장 결절 또는 종괴 형성
- 양성: 혈종, 과형성결절, 낭종
- 악성: 혈관육종(HSA), 림프종, 조직구육종, 전이암
B. 비장 종양
1) 혈관육종 (Hemangiosarcoma, HSA)
- 가장 흔한 비장 악성 종양
- 고령 대형견(예: 골든리트리버, 저먼셰퍼드)
- 특징:
- 혈관성 종양 → 자주 파열 → 복강내 출혈
- 종양 + 출혈이 동반된 경우 ⅔가 HSA일 가능성
- 증상: 급성 허탈, 복부 팽만, pale mucosa, tachycardia
- 진단:
- 초음파: heterogenous mass, free fluid
- X-ray: 복강내 연조직 음영, 마비된 장 루프
- 복수 검사: 비응고성 혈액 (non-clotting blood)
- 확진: 병리조직검사
- 치료:
- 응급 개복술 + 비장절제술
- 항암치료 (도소루비신 기반)
- 예후: 악성 HSA의 평균 생존기간은 1~3개월 (수술 단독 시), 항암 병행 시 6개월
2) 혈종 (Hematoma)
- benign, 자발성 출혈성 결절
- 초음파/CT에서 HSA와 구별 어려움
- 병리학적 검사 필수
- 수술 후 예후는 매우 좋음
3) 결절성 비장 과형성 (Nodular Hyperplasia)
- 노령견에서 흔함, 대부분 무증상
- FNA로 진단 어려움 → 병리검사 필요
4) 조직구육종 (Histiocytic Sarcoma)
- Bernese Mountain Dog 등에서 고위험
- 빠른 진행, 다발성 전이 가능
- 치료: 항암(로무스티노), 예후 나쁨
C. 비장 비대 외 다른 이상
1) 비장 비틀림 (Splenic torsion)
- 단독 or 위확장복회전(GDV)과 동반
- 폐쇄 → 혈액울혈 → 괴사
- 증상: 갑작스런 복통, 무기력, pale mucosa
- 진단:
- X-ray: 비장 변위, S자 모양
- 초음파: 비정상적 혈류 (도플러 이용)
- 치료: 비장 절제술, GDV 동반 시 위고정술 추가
2) 외상에 의한 비장파열
- 교통사고, 낙상 등
- 급성 출혈 → hypovolemic shock
- 응급 복부 초음파 (FAST scan)로 진단
- 치료: 출혈 조절, 수술적 절제
3. 진단 접근법 요약
진단 방법 목적
CBC/Chem | 빈혈, 백혈구, 혈소판, 간수치, Alb 평가 |
초음파 | 비장 크기, 내부 구조, 종괴, 혈류 도플러 확인 |
복수천자 | 비응고성 혈액이면 종양 파열 가능성↑ |
FNA | 과형성/염증 가능성 감별, 단 종양 진단력은 제한적 |
병리조직검사 | 확진에 필수. 수술적 절제 후 분석 필요 |
CT | 종괴 위치, 장기 침습성 평가, 수술 계획 시 유리 |
감별 진단 비교표
병변 특징 초음파 소견 예후
혈관육종 | 종괴 + 출혈, 악성 | 이질적 종괴, 출혈 | 매우 나쁨 |
혈종 | 양성 출혈성 결절 | 종양과 유사 | 좋음 (절제 시 완치) |
과형성결절 | 무증상 노령견 | 균질한 저에코 결절 | 좋음 |
조직구육종 | 다발성 침습성 | 다기관 종괴 | 나쁨 |
비장염 | 전신 감염 동반 | 균질한 비대 | 양호 |
비장 비틀림 | 급성 통증, 괴사 | 혈류 없음, 팽창 | 조기 절제 시 양호 |
결론
강아지의 비장 이상은 대부분 영상적으로 식별 가능하나, 초음파만으로 양성·악성 감별은 어려워 반드시 병리조직검사를 통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특히 비장 종괴 + 출혈성 복수가 있다면 HSA 가능성을 항상 고려해야 하며, 응급성 있는 출혈성 질환인 만큼 빠른 진단과 수술 결정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