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강아지 수혈의학은 응급의학, 중환자의학, 수의내과, 외과, 종양학, 중독학 등 다양한 임상 분야에서 필수적인 생명 유지 치료법입니다. 수혈은 출혈, 빈혈, 응고장애, 수술 전후 관리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수혈의 적응증, 혈액제제의 종류, 혈액형 및 교차시험, 수혈 반응 관리, 수혈 프로토콜 등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안전하고 효과적인 처치를 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그 내용을 항목별로 상세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수혈의 적응증 (Indications for Transfusion)
1) 빈혈 (Anemia)
- 급성 실혈: 외상, 위장관 출혈 등
- 만성 빈혈: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AIHA), 만성 신부전, 골수질환 등
- 헤마토크릿(HCT) 또는 PCV < 20%에서 임상증상이 동반될 경우 수혈 고려
2) 혈소판 감소증 / 응고장애
- 면역매개 혈소판 감소증(ITP), DIC, 간부전, 중독 등
- 활성 출혈 + PT/aPTT 연장, 혈소판 수 < 40,000/μL 등에서 적응증
3) 수술 전 예방적 수혈
- 수술 중 출혈이 예상되는 경우
- 이미 PCV가 낮거나 응고장애가 있는 경우
2. 혈액형 및 교차시험 (Blood Typing and Crossmatching)
1) 강아지의 혈액형
- DEA (Dog Erythrocyte Antigen) 시스템 사용
- 가장 중요한 혈액형: DEA 1.1
- DEA 1.1 음성 수혈견은 모든 환자에게 수혈 가능
- DEA 1.1 양성 혈액을 DEA 1.1 음성 환자에게 수혈하면 심각한 면역반응 유발
2) 자연항체 (Naturally occurring antibodies)
- 강아지는 고양이와 달리 일반적으로 자연항체가 없으므로 첫 수혈은 교차시험 없이 가능할 수 있음
- 그러나 안전을 위해 수혈 전 혈액형 검사 + 교차시험(crossmatch test) 권장
3) 교차시험
- 주시험(Major crossmatch): 환자 혈장 + 공혈자의 적혈구
- 부시험(Minor crossmatch): 공혈자 혈장 + 환자 적혈구
- 용혈 또는 응집이 보이면 부적합
3. 혈액제제의 종류 (Types of Blood Products)
혈액제제 성분 사용 적응증
전혈 (Whole blood) | 적혈구 + 혈장 + 응고인자 | 급성 실혈, 다발성 결핍 |
농축적혈구 (pRBC) | 적혈구만 | 빈혈 환자 (혈액량 과부하 피할 때) |
신선동결혈장 (FFP) | 응고인자, 알부민 | 응고장애, 간부전, DIC |
동결침전물 (Cryoprecipitate) | F8, vWF 등 | vWD, 혈우병 A |
혈소판 농축액 | 혈소판 | 혈소판 감소증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 |
4. 수혈 절차 및 프로토콜
1) 수혈 전 준비
- 정맥라인 확보 (18–22G catheter)
- 혈액형 검사 및 교차시험 실시
- 혈액제제 해동 (필요 시 37℃ 워터배스 사용)
- 수혈 전 활력징후 확인
2) 수혈 속도
- 초반 15~30분간 최소속도 (0.25 mL/kg/h)로 시작
- 부작용 없을 시 4–6 mL/kg/h 속도로 유지
- 심부전이 있는 환자: 속도 제한 (1–2 mL/kg/h)
3) 수혈량 계산
필요 수혈량(mL) = 체중(kg) × 혈액용적(90 mL/kg) × (목표 PCV – 현재 PCV) / 공혈자 PCV
5. 수혈 부작용 및 모니터링
1) 급성 수혈반응 (Acute transfusion reactions)
- 면역매개: 용혈성 반응, 발열, 두드러기
- 비면역매개: 패혈증, 대량수혈 증후군, 감염
- 임상증상: 발열, 구토, 빈맥, 저혈압, 호흡곤란, 혈뇨 등
2) 지연성 반응
- 이차 면역반응 → 이후 수혈에 대한 항체 생성
3) 관리
- 수혈 중단, 항히스타민제 및 스테로이드 투여
- 필요 시 수액 및 산소 치료 병행
6. 공혈견의 조건
기준 항목 조건
체중 | 25kg 이상 |
성격 | 순하고 안정적 |
건강상태 | 전염병 및 기생충 음성 |
예방접종 | 완료 |
DEA 1.1 음성 | 이상적 |
정기 헌혈 가능 횟수 | 3주 ~ 2개월 간격 |
7. 수혈 대체제 및 향후 전망
- 산소 운반 대체제 (Hemoglobin-based oxygen carriers) 연구 중
- 자가 적혈구 회수기 (cell salvage): 대형 수술에서 가능성 있음
- 수의 혈액은행의 조직적 운영 필요
8. 실제 임상 적용 예시
예시 1: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 PCV 12%, 맥박 빠름, 점막 창백 → pRBC 수혈
- 교차시험 양성 → 다른 공혈견으로 교체
예시 2: 간부전 + PT/aPTT 연장 + 출혈
- FFP 10 mL/kg 수혈 (2시간 이상에 걸쳐)
이와 같이 강아지 수혈의학은 단순히 혈액을 공급하는 절차가 아니라 혈액형학적 지식, 응급의학적 판단, 정밀한 감시와 사후 관리를 종합적으로 요구하는 고난이도 임상 기술입니다. 실제 임상에서는 수혈 적응증 판단부터 부작용 관리까지 모든 과정이 프로토콜화되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