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양이 수혈의학(Feline Transfusion Medicine)

아랑드롱드롱 2025. 6. 29. 15:58
728x90
반응형
SMALL

고양이 수혈의학(Feline Transfusion Medicine)은 강아지보다 더 복잡하고 섬세한 혈액형 시스템, 자연항체 존재, 소형 체중, 응고장애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특히 고양이는 첫 수혈부터 반드시 혈액형 검사와 교차시험이 필요하며, 부적절한 수혈 시 치명적인 용혈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아래에 고양이 수혈의학을 항목별로 상세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1. 수혈의 적응증 (Indications for Transfusion in Cats)

1) 빈혈 (Anemia)

  • 급성 실혈: 외상, 위장관 출혈 등
  • 만성 빈혈: 백혈병, FeLV 감염, 골수 질환, 만성 신장질환 등
  •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IMHA)
  • PCV가 15~20% 이하이고 임상 증상이 있을 경우 수혈 고려

2) 응고장애

  • 간부전, DIC, 중독(예: 항응고제 중독) 등
  • 활성 출혈과 PT, aPTT 연장 시

3) 혈소판 감소증

  • ITP, 감염병 (FeLV, FIV), 골수 질환 등
  • 실질적인 혈소판 농축액은 고양이에서 매우 제한적

2. 고양이의 혈액형과 면역학적 특성

1) AB 혈액형 시스템

  • A형: 가장 흔함 (미국/한국: >90%)
  • B형: 일부 품종에서 흔함 (브리티시숏헤어, 데본렉스, 코니시렉스 등)
  • AB형: 매우 드묾

2) 자연항체(Naturally Occurring Alloantibodies)

  • 고양이는 자연항체를 가지고 있음
  • B형 고양이는 강력한 A형에 대한 항체 보유 → A형 수혈 시 급성 용혈성 반응

3) 혈액형 미스매치 시 결과

수혈 상황                                  결과

 

A형 → A형 안전
B형 → B형 안전
A형 → B형 치명적인 용혈 (반드시 피해야 함)
B형 → A형 용혈은 적지만 짧은 생존
AB형 고양이 A 또는 B형 수혈 가능 (이상적으론 AB형)
 

4) 혈액형 검사 키트

  • Rapid slide agglutination test (예: Alvedia, RapidVet)

3. 교차시험 (Crossmatching)

1) 언제 필요한가?

  • 이전 수혈 이력 있는 고양이
  • 미지의 혈액형, 또는 혈액형 일치해도 항체 가능성 있는 경우
  • 4일 이상 생존한 적혈구에 대한 항체 생성 가능

2) 방법

  • 주시험(Major crossmatch): 환자 혈장 + 공혈자 적혈구
  • 부시험(Minor crossmatch): 공혈자 혈장 + 환자 적혈구
  • 응집(agglutination) 또는 용혈이 있으면 부적합

4. 수혈제제 종류 (Types of Blood Products)

혈액제제                                            주요 성분                       적응증

 

전혈 (Whole Blood) 적혈구 + 혈장 + 혈소판 실혈, 빈혈 + 응고장애
농축적혈구 (pRBCs) 적혈구 빈혈만 있을 때 (심혈관 부하 줄임)
신선동결혈장 (FFP) 응고인자, 알부민 간질환, 응고장애
냉동혈장 (Frozen plasma) 응고인자 일부 Vit K 중독 등
자가혈 (Auto-transfusion) 출혈 복강혈 등 선택적, 무균 필요
 

※ 고양이 혈소판 제제는 상용화되어 있지 않으며 현실적으로 구하기 어려움


5. 수혈량 계산 및 절차

1) 수혈량 계산 공식

 
필요 수혈량 (mL) = 체중(kg) × 66 mL/kg × (목표 PCV – 현재 PCV) / 공혈자 PCV
  • 일반적으로 10–20 mL/kg 수혈로 PCV 10%p 상승 가능

2) 수혈 방법

  • IV 또는 IO 라인 확보
  • 수혈 속도: 처음 15분간 0.25–0.5 mL/kg/h로 천천히 시작
  • 이상 반응 없을 시 5–10 mL/kg/h로 증량

3) 주입 장비

  • 필터(170 µm) 포함된 수혈 세트 사용
  • 주사기 펌프 필요 시 적혈구 손상 주의

6. 수혈 반응 및 부작용 관리

1) 면역학적 반응

종류                                         증상                                      대처

 

급성 용혈성 반응 발열, 구토, 허탈, 혈뇨 즉시 수혈 중단, 스테로이드/수액 치료
발열성 비용혈 반응 체온 상승, 식욕 저하 해열제, 느린 수혈 속도
알레르기 반응 두드러기, 가려움 항히스타민제 투여
 

2) 비면역학적 반응

  • 수혈 후 과다혈량증 (호흡곤란, 폐수종 등)
  • 감염 (예: Mycoplasma haemofelis, FeLV 등) 전염 가능성 → 공혈자 스크리닝 필수

7. 공혈묘 조건 (Blood Donor Cat Criteria)

조건                                       설명

 

연령 1–7세
체중 > 4.5kg 이상 (무비만)
건강상태 예방접종 완료, 기생충 음성
감염병 음성 FeLV, FIV, Mycoplasma, Bartonella
혈액형 A형 혹은 AB형 (B형 공혈묘는 드묾)
헌혈 간격 최소 8주 간격으로 1회 10% 혈액채취 가능
 

8. 실제 임상 적용 예시

예시 1: FeLV 양성 + 중등도 빈혈

  • PCV 14%, 무기력
  • 혈액형 검사 결과 A형 → A형 공혈묘로 pRBC 수혈
  • 10 mL/kg 3시간 동안 수혈

예시 2: B형 고양이, 급성 실혈

  • 출혈성 복수, 쇼크
  • B형 혈액이 없어 자가혈(transabdominal collection) 회수 및 수혈 고려

9. 수혈 대체 전략 및 미래 전망

  • 혈액형 유전자 검사 (ABCB gene type)
  • 인공혈액(HBOC): 연구단계
  • 자가혈 회수기: 고양이 체중상 현실적 제한
  • 고양이 전용 혈액은행: 전문화 필요

10. 요약 Flowchart

 
빈혈 환자 → 혈액형 검사 → 교차시험 → 수혈제제 선택
수혈 전 활력징후 체크 → 천천히 수혈 시작
15분간 부작용 모니터링 → 이상 반응 시 즉시 중단
수혈 완료 후 PCV 재확인 및 모니터링

 

728x90
반응형
LIST